[[분류:게임기]][[분류:메타 문서/게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게임기, top2=전기·전자 관련 정보, top3=장난감 관련 정보)] [목차] ||발매년도는 최초 출시 기준으로 기재했다.[br]같은 회사에서 2개 이상 출시된 경우 따로 분리해서 서술했다.[br]게임에 특화된 컴퓨터는 [[게이밍 PC]] 참조.|| {{{#!folding [ 세대별 틀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1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2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3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4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5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6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7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8세대 콘솔 게임기)] [include(틀:9세대 콘솔 게임기)] }}} == 가정용(거치용) == {{{#!folding [ 관련 영상 펼치기 · 접기 ] * [[http://www.youtube.com/watch?v=D59-bodcBlc|Sega+Xbox 콘트롤러 변천사]] * [[http://www.youtube.com/watch?v=gofbhk714hw|Playstation 콘트롤러 변천사]] * [[http://www.youtube.com/watch?v=QMjidcKCGvQ|任天堂(닌텐도) 콘트롤러 변천사]] *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wii+u+controller| Wii_U 콘트롤러 비교]] * [[https://www.youtube.com/watch?v=847wBf-9Z9w|닌텐도 콘솔의 역사]] * [[https://www.youtube.com/watch?v=XgWRcGVyszE|비디오 게임 콘트롤러 변천사]] }}} === 제작사별 분류 === ==== [[닌텐도]] ==== [include(틀:닌텐도 게임기)] * [[컬러 TV 게임]](1977) * [[패밀리 컴퓨터]](1983) * [[트윈패미컴]][* [[샤프(기업)|샤프]]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발매된 패밀리 컴퓨터의 호환기종.](1986) * [[슈퍼 패미컴]](1990) * [[Nintendo 64]](1996) * [[닌텐도 게임큐브]](2001) * [[Wii]](2006) * [[Wii U]](2012)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include(틀:플레이스테이션)] * [[PlayStation(콘솔)|PlayStation]](1994) * [[PlayStation 2]](2000) * [[PlayStation 3]](2006) * [[PlayStation 4]](2013) * [[PlayStation Vita#s-3.3|PS Vita TV]](2013) * [[PlayStation 4 Pro]](2016) * [[PlayStation 5]](2020) ==== [[Microsoft]] ==== [include(틀:엑스박스)] * [[Xbox(콘솔)|Xbox]](2001) * [[Xbox 360]](2005) * [[Xbox One]](2013) * [[Xbox One X]](2017) * [[Xbox Series X\|S]](2020) * [[Xbox Series X]](2020) * [[Xbox Series S]](2020) ==== [[세가]] ==== [include(틀:세가)] * [[SG-1000]](1983) * [[세가 마스터 시스템]](1985) * [[메가 드라이브]](1988) * [[세가 새턴]](1994) * [[드림캐스트]](1998) * [[메가 드라이브 미니]](2018) ==== [[아타리]] ==== [include(틀:아타리 게임기)] * [[퐁]](1972) * [[아타리 2600]](1977) * [[아타리 5200]](1982) * [[아타리 7800]](1984) * [[아타리 XEGS]](1987) * [[아타리 재규어]](1993) * [[아타리 플래시백 시리즈|아타리 플래시백]](2004) * [[아타리 VCS]](2020) ==== 기타 ==== * [[에폭]] [include(틀:에폭)] * [[테레비 테니스]](1975) * [[테레비 베이더]](1980) * [[카세트비전]](1981) * [[슈퍼 카세트비전]](1984) * [[SNK]] [include(틀:SNK)] * [[네오지오]](1990) * [[네오지오 CD]](1994) * [[네오지오 아케이드 스틱 프로]](2019) * [[NEC]] * [[PC 엔진]](1987) * [[PC-FX]](1994) * [[MSX]] 계열 * [[재믹스]]([[대우전자]], 1985) * [[재미나]](새한상사) ----- * [[마그나복스 오디세이]](1972) * RCA 스튜디오 II ([[RCA]], 1977) * 비지콤 COM-100 ([[도시바]], 1978) [* 도시바에서 냈던 게임기. 위의 RCA 스튜디오를 개량한 물건인데 출시년도가 1978로 1세대 게임기 항렬로 분류할수있지만 게임도 얼마 없고 [[일본어 위키백과]]에만 문서가 있을 정도로 자료가 얼마 없다.] * [[인텔리비전]](마텔 일렉트로닉스, 1979) * [[콜레코비전]](콜레코, 1982) * [[벡트렉스]](GCE, 1982) * 컨트롤 비전[* NEMO라는 코드네임으로도 알려짐]([[해즈브로]], 1985) [* 해즈브로가 인터랙티브 게임을 위한 게임기로 개발하려했는데, [[VHS]](!)를 매체로 사용하는게 특징이었다. 그러나 일본에서 막 들여온 트랜스포머가 반응이 좋았는지 이내 잊어버리고 말았다. 자세한건 [[FMV]] 및 해즈브로 문서 참조.] * [[CD-i]]([[필립스]], 1991) * [[3DO]](1993) * [[Apple Pippin]]([[Apple|애플]]·[[반다이]], 1996) * [[엑스티바]][* [[http://blog.naver.com/jwy701/100040247381|이 글 참조]]. 사실 게임기도 아니고 그냥 3DO처럼 규격에 따라 만든 게임기 겸 AV 재생기일 뿐이었다. 문제는 그 규격이 NUON 이라는 처절하게 망한 듣보잡 규격이었다는 거... 컨트롤러는 닌텐도 64의 규격을 '''배껴온 듯하다(...)''']([[삼성전자]], 2000) * [[OUYA]][* 안드로이드 기반 콘솔](2013) * [[NVIDIA SHIELD|NVIDIA SHIELD Android TV]]([[NVIDIA]], 2015) * --타이토 WoWoW시스템--[* 가칭]([[타이토]]) [* 타이토가 일본굴지의 위성방송 사업체인 WoWoW와 협력을 통해 위성 스트리밍이 가능한 CD-ROM매체의 게임기를 개발하려고했다. 타이토 문서 참조. '''물론 기술의 한계로 인해 철처히 프로젝트가 묻혔다'''.][* 슈퍼 패미컴의 사테라뷰와 메가 드라이브의 세가 CD의 형태를 절묘하게 절충한 게임기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 [[레트로프리크]](사이버가젯)[* 게임기는 게임기인데, 옛날 [[패미컴]], [[슈퍼패미컴]], [[메가드라이브]], [[PC엔진]], [[게임보이]],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게임들을 할 수 있는 게임이다. 자세한 건 항목 참고.] * [[굿보이]](1980년대말) * [[캡콤 홈 아케이드]] * [[스팀 링크]]([[밸브 코퍼레이션]]) === 세대별 구분 === [[거치형 콘솔 게임기]]의 세대 분류에 대해 정립된 이론은 없지만, 영어판 [[위키백과]]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Home_video_game_console_generations|#영어 위키백과]] 나무위키도 1세대부터 9세대까지 영어판 위키백과의 분류를 따르고 있는데 나무위키에서 자세한 내용은 본 문서 최상단에 있는 '세대별 틀 펼치기' 틀이나 [[거치형 콘솔 게임기#세대|거치형 콘솔 게임기#세대]], [[거치형 콘솔 게임기#게임기 목록|거치형 콘솔 게임기#게임기 목록]] 문서 참조. == 휴대용 == === 제작사별 분류 === ==== [[닌텐도]] ==== [include(틀:닌텐도 게임기)] * [[게임 & 워치]](1980) * [[게임보이]](1989) * [[버추얼 보이]](1995) * [[게임보이 컬러]](1998) * [[게임보이 어드밴스]](2001) * [[닌텐도 DS]](2004) * [[닌텐도 DSi]](2008) * [[닌텐도 3DS]](2011) * [[New 닌텐도 3DS]](2014) * [[Nintendo Switch]][* 가정용도 겸하는 하이브리드.](2017) * [[Nintendo Switch Lite]][* [[Nintendo Switch]]의 휴대형 전용 버전](2019)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include(틀:플레이스테이션)] * [[PlayStation Portable]](2004) * [[PlayStation Vita]](2011) ==== [[세가]] ==== [include(틀:세가)] * [[게임 기어]](1990) * [[노매드(휴대용 게임기)|노매드]](1995) ==== [[SNK]] ==== [include(틀:SNK)] * [[네오지오 포켓]](1998) * [[네오지오 포켓|네오지오 포켓 컬러]](1998) * [[네오지오 X]][* 타 회사에서 SNK와 제휴해서 [[네오지오]]를 휴대용으로 복각. 실제로 OEM 생산이라고 한다.](2012) ==== 기타 ==== * [[에폭]] [include(틀:에폭)] * [[게임 포켓 컴퓨터]](1984) * [[바코드 배틀러]](1991) * [[NEC]] * [[PC엔진 GT]](1990) * [[PC엔진 LT]](1991) * [[반다이]] * [[원더스완]](1999) * [[원더스완|원더스완 컬러]](2000) * [[원더스완|원더스완 크리스탈]](2002) * [[게임파크]]/[[게임파크 홀딩스]] [include(틀:게임파크 게임기)] * [[GP32]](2001) * [[GP2X]](2005) * [[GP2X Wiz]](2009) * [[CAANOO]](2010) * [[NVIDIA]] * [[NVIDIA SHIELD|NVIDIA SHIELD Portable]](2013) * [[NVIDIA SHIELD|NVIDIA SHIELD Tablet K1]](2014) * [[GPD]] * [[GPD WIN]][* 시스템상으론 태블릿PC지만 게임기 형태에 조이스틱이 달려있어서 그런지 게임에 특화되어 있다.](2016) * [[GPD WIN 2]](2018) ----- * [[아타리 링스]]([[아타리]], 1989) * 게임마스터 (하르퉁 外 3개사[* 제작은 독일의 하르퉁에서 주도적으로 했지만, 영국에서는 시스테마, 프랑스에서는 비디오젯과 델플레이에 제작을 위탁했다. 유럽 시장에서만 발매된 마이너한 게임기로 스펙은 게임보이보다 낮았으며 그래픽 디스플레이 수준은 대충 다마고치와 게임보이 사이의 수준쯤 되는 흑백도트매트릭스이다.], 1990) * Game.com([[타이거 일렉트로닉스]], 1997) * [[조디악(탭웨이브)|조디악]](탭웨이브, 2003) * [[기즈몬도]](타이거 텔레매틱스, 2005) * [[Dingoo A320]](거메이, 2009) * [[Steam Deck]]([[밸브 코퍼레이션]], 2022) * [[ASUS ROG Ally]]([[ASUS]], 2023) === 세대별 구분 === 대개 7개의 시기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 세대 구분 || 시기별 구분 || 대표적 게임기 || || 1세대 || 1970년대 중후반 || 마텔 오토 레이스, 마텔 풋볼, 마이크로 비전 || || 2세대 || 1980년대 초중반 || [[게임 & 워치]] || || 2.5세대 || 1980년대 중후반 || [[게임 포켓 컴퓨터]] || || 3세대 || 1990년대 초중반 || [[링스|Atari Lynx]], [[게임보이]], [[PC엔진 GT]], [[게임기어]], [[PC엔진 LT]], [[노매드]] || || 4세대 || 1990년대 중후반 || [[원더스완]], [[게임보이 컬러]], [[네오지오 포켓]], [[네오지오 포켓|네오지오 포켓 컬러]] || || 5세대 || 2000년대 초중반 || [[원더스완|원더스완 컬러]], [[원더스완|원더스완 크리스탈]], [[GP32]], [[게임보이 어드밴스]] || || 6세대 || 2000년대 중후반 || [[닌텐도 DS]], [[PSP]], [[GP2X]], [[GP2X Wiz]], [[Dingoo A320]] || || 7세대 || 2010년대 초중반 || [[닌텐도 3DS]], [[PS Vita]], [[네오지오 X]], [[NVIDIA SHIELD#s-2.1|NVIDIA SHIELD Portable]] || == 기타 게임기 == * [[아케이드 게임]] * [[체감형 게임기]] * [[문방구 게임기]] * [[기판]] * 목록은 항목 참조. * --[[오락실 딱딱이]]-- * [[SV휴대용미니게임기]] * [[중국제 테트리스 게임기]] * [[패미클론]] * [[에뮬레이터]] 콘솔 == [[주변기기]] == === 콘솔 주변기기 === * 닌텐도 * [[패밀리 컴퓨터#s-10|패밀리 컴퓨터/주변기기]] * [[패밀리 컴퓨터 로봇]] - 같이 플레이해주는 로봇(...) [[AVGN]] 100회 참조. *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2.8인치 퀵 디스크[* 일본 미츠미 전기사에서 개발된 규격이다. 본 문서의 [[https://namu.wiki/w/주변기기?rev=54|r54 버전]]까지는 3.5인치 디스켓이라고 잘못 기재되어 있었다.])[*확장매체 추가로 미디어 드라이브 등을 달아서 본체에서 인식할 수 없는 매체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기.] * [[슈퍼 패미컴]] * [[슈퍼 게임보이]][*애드온 본체에 의존하는 연산장치 등을 달아서 본체만으로 실행할 수 없거나 기능이 제한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기.] * [[사테라뷰]][*네트워크 추가로 달아서 본체 또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 * [[닌텐도 64#s-5|닌텐도 64/주변기기]] * [[64DD]][*확장매체] * [[게임큐브]] * [[게임보이 플레이어]][*애드온] * [[Wii#s-4.4|Wii/주변기기]] * [[게임보이#s-2.2|게임보이/주변기기]] * [[게임보이 어드밴스#s-5|게임보이 어드밴스/주변기기]] * [[닌텐도 DS/주변기기]] * 세가 * [[메가 드라이브]] * [[슈퍼 32X]][*애드온] * [[메가 CD]][*확장매체] * 세가 채널[*네트워크] : 북미에서만 발매된 [[메가 드라이브]]의 주변기기로 인터넷 상에서 게임을 다운받을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지원했다. 당연히 지금은 지원 종료. 그런데 인지도가 너무 없~~어서 나무위키에서는 유일하게 이 문서에서만 언급이 될 것이~~다. [[The Angry Video Game Nerd|AVGN]] 에피소드 136 '[[씨맨]]'에서 --세가가 세계를 정복하려 했다고 오두방정을 떨며-- 잠시 언급이 되었다. [[https://en.m.wikipedia.org/wiki/Sega_Channel|영문 위키백과 해당 문서]] * [[세가 새턴#s-8|세가 새턴/주변기기]] * 소니 * [[플레이스테이션#s-6|플레이스테이션/주변기기]] * [[플레이스테이션 4#s-5|플레이스테이션 4/주변기기]] * [[플레이스테이션 VR]] * 아타리 * 콜레코비전 아타리 애드온[*애드온] * [[아타리 재규어]] CD-ROM[*확장매체] * [[PC엔진]] * CD-ROM^^2^^[*확장매체] * XBAND[*네트워크]: [[슈퍼패미컴]]과 [[메가드라이브]]용으로 나온 멀티플레이어용 기기. 제조사는 미국의 Catapult Entertainment로 당시 둠의 인기의 힘입어 멀티플레이가 화두가 되고, 이어 둠도 콘솔로 이식되자 콘솔에서도 네트워크 플레이를 즐기기 위해서 내놓은, 콘솔상의 네트워크 멀티플레이 기능만 따지면 원시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물론 일본에서도 판매 및 서비스되었으며 일본에서는 당시 [[PC통신]]이었던 니프티서브를 운영하던 닛쇼이와이[* 日商岩井, 현재는 [[소지츠]]상사로 합병됨.]가 캐터펄트사와 제휴했다. 이후 일본의 XBAND는 [[세가 새턴]]까지 지원했다고 한다. 다만 캐터펄트 본사가 1997년 XBAND 사업에서 철수해서 새턴 XBAND의 운영권은 세가로 넘어갔고, 1999년까지 서비스되었다고 한다. ~~사실상 새턴 끝물까지 우려먹었다는 소리.~~ X-Band라고 쓰면 [[X-Band 레이더|레이더 주파수의 일종]]을 뜻하게 된다(...) * [[엑스박스 360]] HD DVD 애드온 ODD * [[메모리 카드]] - 게임 중간저장방식을 안정적이고 반영구적인 플래시 메모리로 전환하여, 획기적 방식으로 바꿔준 매체. === [[컨트롤러]] === * [[게임패드]] * [[조이스틱]] ([[트윈스틱]]) * [[레이싱 휠]] * [[마우스(입력장치)|마우스]], [[키보드]] : [[키마 플레이]] PC용 입력기. * [[연사장치]] * [[게이밍 기어]] * [[패들]] ([[노브]]/[[다이얼]]) * [[십자키]] * 그립 * 건콘 ----- * '''닌텐도''' * [[게임패드/닌텐도]] : 관련항목 목록은 해당 문서 참조. * [[게임큐브 컨트롤러]] * [[Wii 리모컨]][*사용자인식 주변기기]/[[Wii 클래식 컨트롤러]] * [[Joy-Con]]/[[Nintendo Switch Pro 컨트롤러]] * [[파워 글러브]] * [[재퍼]] * [[닌텐도 DS]] 조그 컨트롤러[* GBA 슬롯을 사용하기 때문에 닌텐도 DSi/3DS 에서는 호환 불가능] * [[닌텐도 3DS]]용 확장 슬라이드 패드 * '''세가''' * 6버튼 패드[*게임패드 [[게임패드]]] * [[새턴 패드]][*게임패드] * '''소니''' [include(틀:플레이스테이션 게임 패드)] * [[아이토이]][*사용자인식 주변기기][* PS MOVE의 전신격. 이를 이용한 [[리듬게임]]이 나오거나 일부 [[댄스 댄스 레볼루션]] 콘솔 이식판에서 이것을 지원하는 게임모드가 포함되기도 하였다.] * [[PlayStation 3 #s-10|PS MOVE]][*사용자인식 주변기기] * '''MS''' [include(틀:Xbox 컨트롤러)] * [[엑박패드]][*게임패드] * [[키넥트]][*사용자인식 주변기기] * [[샤오미 게임패드]] * [[스팀 컨트롤러]] * [[기어 VR]] [[rink]] 컨트롤러 * [[THQ|uDraw]][* uDraw는 [[THQ]]가 패망한 큰 원인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한다.] ==== 특정 타이틀 전용 ==== * [[비마니 시리즈]] 관련 컨트롤러 * [[비트콘]] 계열 * DJ PRO (5건반 [[비트매니아]] 코나미 공식 컨트롤러) * [[비트매니아 IIDX]] 일반 컨트롤러 (속칭 [[박힘콘]]) * [[비트매니아 IIDX]] 아케이드 스타일 컨트롤러 * [[댄스 댄스 레볼루션]]용 컨트롤러 * 일반 컨트롤러 (속칭 [[장판]], 코나미 제품공식품도 있지만 유사품도 많음.) * 아케이드 스타일 메탈 컨트롤러 (이쪽은 개인이 제작한 경우가 더 눈에 뜨인다) * [[드럼매니아]] 전용 컨트롤러 * 일반 컨트롤러[* ~~그러나 [[실로폰]]콘이라고 불리며 대차게 까였다~~.] * [[야마하]] 전자드럼[* 공식으로 호환 가능한 주변기기다. 왜냐하면 드럼매니아 기계의 설계에 야마하가 꽤나 도움을 줬기 때문이다.] * [[기타프릭스]] 전용 컨트롤러 * 일반 * 아케이드 스타일 * [[사운드 볼텍스]] * [[사볼콘]] * [[키보드매니아]] 전용 컨트롤러 * [[팝픈뮤직]] 전용 컨트롤러 * 일반 [* 버튼 크기와 간격이 작아서 오히려 건반게임용 컨트롤러와 비슷한 스케일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가정용에 선행이식된 일부 채보의 경우 이 소형 컨트롤러 기준으로 만들어져 아케이드 이식 시 [[무리배치]]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 아케이드 스타일 [* 말 그대로 큰 아케이드의 버튼을 그대로 옮긴 느낌. '''다만 소음문제도 비마니 계열의 아케이드 컨트롤러중 DDR과 더불어 쌍벽을 이룰 것이다.'''] * [[포켓 워커]] - 포켓몬을 이 주변기기로 보내서 걸어다니면 걸음 수 만큼 경험치가 올라간다. * [[포켓스테이션]] - 소니 플레이스테이션의 메모리 카드 슬롯에 삽입하는 물건. 메모리 카드 기능이 있으며, 소형 액정 스크린과 버튼들이 달려 있다. 일종의 소형 게임기로, 몇몇 게임들과 연동하여 미니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그 결과가 본 게임에 반영되는 등 게임의 확장성을 위한 주변기기였다. * [[마리오 카트 7]]의 핸들 컨트롤러 - [[3DS]]를 [[레이싱 휠]]처럼 돌려보자 * [[철기]] 전용 컨트롤러 [* 단지 게임 하나만을 위해서 어마어마하게 커다란 전용 컨트롤러를 만든 [[캡콤]]은 가히 용자라 할만했다. 기체의 시동을 위한 버튼이 수십 개, 심지어 시동 중 단 한 번만 쓰이며 조종에는 쓰이지 않는 기능을 가진 버튼도 존재할 정도다. 시동 및 구동은 [[아무로 레이]]가 처음 [[RX-78-2]]를 잡았던 그 부분을 떠올리면 연상하기 쉬우며, [[메카닉]] 덕후들이 직접 잡게 될 경우 흥분에 못 이길 정도로 들뜨게 될 것이다. 참고로 조종석(!) 까지 있는 버전이 있다.] * [[락밴드(게임)]] 전용 컨트롤러(마이크까지 컨트롤러로 취급) * [[바이오하자드]] [[전기톱]](...) 컨트롤러 * [[태고의 달인 시리즈/이식작]] * [[태고와 북채]] * [[전차로 GO! 시리즈]] * [[마스콘]] * [[Ring-Con]] * [[Toy-Con]] === 주의를 요하는 주변기기 === ||주의)사용하기에 따라 '''약관 위반 혹은 [[복돌이|{{{#ff0000 불법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 [[게임 백업 디바이스]][* 게임을 롬파일화해 구동하는 기기.] * [[UFO(동음이의어)#s-2.5|UFO]] * [[닥터#s-6|닥터]] * [[메가램팩]] * [[에버드라이브]] * [[홈브루]][*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이지만 구동 시 대체로 위의 복제장치들을 이용한다.] * 치트 장치[* 게임 내용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 * 게임 샤크 * [[게임 지니]] / 세이브 위자드[* [[세가]] 게임기들로만 정식 계약을 맺고 출시되었고, 이외의 게임기로는 전부 라이센스 없이 출시되었다.] * [[액션 리플레이|(프로)액션 리플레이]] * [[코드브레이커]] * [[커스텀 펌웨어]] * [[합팩]](=멀티카트) == 기타 관련문서 == * [[게임기 대전]] * [[게임기 전쟁]] * [[에뮬레이터]] * [[해상도/게임기]] * [[롬 파일]] * [[팩]] * [[투텐도]] * [[도킹 스테이션]] == [[게임 제작사]] == [[게임 제작사]] 참조. 게임 제작/유통사 * [[일렉트로닉 아츠]] *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 * [[락스타 게임즈]] * [[2K(게임 회사)|2K]] * [[유비소프트]]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액티비전]] * [[타이토]] * [[코나미]] * [[캡콤]] * [[남코]]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아이렘]] * [[레벨 파이브]] * [[SNK]] * [[타이터스]] * [[액티브 엔터프라이즈]] * [[시에라 엔터테인먼트]] * [[허드슨(일본 기업)|허드슨]] * [[아타리 게임즈]] * [[테크노스 재팬]] * [[넥슨]] * [[넷마블]] * [[만트라]] * [[ATLUS]] * [[사이버프론트 코리아]] * [[스퀘어 에닉스]] * [[컴파일(게임 회사)|컴파일]] * [[LJN]] * [[THQ]] * [[카네코]] * [[데이터 이스트]] == 함께 보기 == * [[https://gflops.surge.sh/|GPU FLOPS for Game Gonsole / ARM、X86 SoC]]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장난감 관련 정보, version=161)][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주변기기, version=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