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학]] [include(틀:자음 분류)] [[파일:경구개음_기호0.png|align=right&width=400px]] [목차] == 개요 == {{{+2 [[硬]][[口]][[蓋]][[音]] / Palatal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센입천장소리'''라고도 부르며,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내는 소리'''이다. [[후치경음]]과 다른 점은 혀끝이냐 혓바닥이냐의 차이.[* 후치경음은 혀끝으로 발음한다.] 또한 [[치경구개음]]과는 혀끝이 잇몸에 닿느냐 안닿느냐[* 닿으면 치경구개음, 안 닿으면 경구개음이다. '치'라는 글자의 유무로 알면 쉽다.]의 차이가 있다. 조음 위치상 '''[[전설모음|전설]] [[고모음]]'''(/i/,/y/)과 매우 가까우며, 여기서 파생된 음가가 /j/와 /ɥ/.[* 다만 /ɥ/는 양순음의 특성도 가지므로 [[이중조음 자음]]으로 분류하였다.] 한국어에선 [[ㅑ]], [[ㅒ]], [[ㅕ]], [[ㅖ]], [[ㅛ]], [[ㅠ]]가 친숙하다. 그런데 [[한국어]] 사용자들 입장에선 '''이게 자음이라고 하니''' 뭔가 좀 안 와닿을 수도 있다. 이게 완전히 틀린 지적은 아닌 것이 [[접근음]]은 [[반모음]]이라고도 불릴 정도로 모음과 유사하다. 영어 사용자들 입장에선 보통 y를 사용해 자음으로 표기했으니 헷갈리지 않아 한다. ~~애초에 IPA 차트에 사용된 문자들이 대부분 유럽에서 쓰던거다.~~ 또한, 경구개음과 연구개음의 사이인 후경구개음(post-palatal consonant)이 있다. 개별 기호는 없고 경구개음에 ◌̠를 붙이거나 연구개음에 ◌̟를 붙인다. 연구개음에 ʲ를 붙인 경우도 많이 쓰인다. 중설 고모음의 반모음을 표현할 때도 쓰인다.([ʉ]의 반모음 = [w̟], [ɨ]의 반모음 = [j̠]) 이외에, [[치경구개음]]에 속하는 비음과 설측 접근음(/ȵ/, /ȴ/)은 공식 기호가 없어서 경구개음 기호(/ɲ/, /ʎ/)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위키백과의 비음과 설측 접근음 예시 음성도 치경구개음에 더 가깝다. 물론 경구개음은 오히려 연구개음의 변이음으로 나온다. == 조음 방법 == === 경구개 비음[anchor(비)] === ||<-2> '''{{{#fff [ruby(경구개 비음, ruby=Palatal Nasa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ɲ̊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ɲ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비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딱 붙이고 코로 기식을 흘려보낸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6/Palatal_nasal.ogg|들어보기]] 유성 경구개 비음은 '냐, 녀, 뇨' 따위의 소리에서 혀끝을 윗잇몸에 붙이지 않고 내는 소리로, 흔히 후치경음 또는 치경구개음([ȵ])으로 소리나는 발음들의 대체자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이탈리아어의 gn의 실제음가는 표기와 다르게 후치경음이다. 또다른 예로, 스페인어/포르투갈어[* 이 두언어는 경구개음인 /ɲ/와 치경구개음인 /nj/가 엄격하게 구분된다.]를 제외한 다른 [[로망스어]] 및 [[베트남어]]에서 /ɲ/로 표기되는 발음들은 실제로는 [ȵ]로 발음되고 프랑스어의 gn도 치경구개음이다. 이 발음을 실제로 가지고 있는 언어들은 [[스페인어]], 유럽 [[포르투갈어]][* 브라질 포어에선 [j̃\]로 발음되는데, 한국어에도 몇몇 화자들(특히 경상도 화자들)이 받침 'ㅇ' 뒤의 야, 여, 요, 유를 이런 식으로 발음한다.], [[티베트어]], [[미얀마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으로 실제로는 굉장히 희귀한 음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성음은 더욱 더 희귀해서 미얀마어 또는 평범한 사람들은 듣도보도 못할 소수 언어에 존재한다. 발음 예: [[https://youtu.be/3HM9tyNkUAg?t=17|#]] 기호는 j와 n의 [[합자]]로 합자라고 하나 g와 n의 합자라고도 한다. 로망스어군의 합자 gn에서 유래한 것. === 경구개 파열음[anchor(파열)] === ||<-2> '''{{{#fff [ruby(경구개 파열음, ruby=Palatal Stop)]}}}'''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c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ɟ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파열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딱 붙이고 빵 터트리면 된다. 유성음은 이때 성대를 울려준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d/Voiceless_palatal_plosive.ogg|들어보기(c)]]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1/1d/Voiced_palatal_plosive.ogg|들어보기(ɟ)]] [[한국어]]에서는 ㄱ, ㄲ, ㅋ(연구개 파열음) 뒤에 /i/, /j/, /y/, /ɥ/가 올 때 가끔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베트남어]]의 ch(사이공 등 남부 방언 한정)[* 표준 발음은 하노이식인 치경구개 파찰음(t͡ɕ)이다. ch가 '끼'가 아닌 'ㅉ' 표기되는 이유], [[그리스어]]의 κ, γ 뒤에 ε, η, υ이 오는 경우 이 음가를 가진다지만 정확히는 한국어의 '기'처럼 살짝 전설화되는 정도다. 그 외에는 [[튀르키예어]]와 [[아제르바이잔어]]의 g/k, [[헝가리어]]의 gy/ty, [[알바니아어]]의 gj/q, [[라트비아어]]의 ģ/ķ, [[코르시카어]]의 ghj/chj, [[피찬차차라어]]의 tj도 이 발음이 난다. [[아일랜드어]]에서는 g와 c(/k/)가 경구개음일 때 각각 ɟ, c 발음이다. [[체코어]]의 ď/ť는 치경구개음이다. === 경구개 파찰음[anchor(파찰)] === ||<-2> '''{{{#fff [ruby(경구개 파찰음, ruby=Palatal Affricate)]}}}'''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c͡ç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ɟ͡ʝ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파찰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위의 경구개 파열음과 경구개 마찰음을 동시에 발음한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d/Voiceless_palatal_affricate.ogg|들어보기(c͡ç)]]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a/Voiced_palatal_affricate.ogg|들어보기(ɟ͡ʝ)]] 무성음은 [[헝가리어]]의 ty, [[노르웨이어]]의 kkj, [[알바니아어]]의 q에서 나타나고, 유성음은 [[스페인어]]의 어두 y 및 n 뒤의 ll/y, 헝가리어의 gy, 노르웨이어의 ggj, 알바니아어의 gj 등에서 나타난다. 한국어에는 원칙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발음이나, 가끔 경구개 파열음을 발음하려다가 소리가 새서 이 발음이 되기도 한다. /i/, /j/, /y/ 앞의 ㅋ도 간혹 이 소리로 실현될 수 있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빵 터뜨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냈다가 살살 흘리면 된다.''' === 경구개 마찰음[anchor(마찰)] === ||<-2> '''{{{#fff [ruby(경구개 마찰음, ruby=Palatal Fricative)]}}}'''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ç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ʝ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마찰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대고 [[성문음#마찰|h/ɦ]]를 발음한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b/Voiceless_palatal_fricative.ogg|들어보기(ç)]]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c/Voiced_palatal_fricative.ogg|들어보기(ʝ)]] [[한국어]]에서는 /i/, /j/, /y/, /ɥ/ 앞의 [[ㅎ]]이 이것의 무성음 음가를 가지며, '고향'의 ㅎ처럼 모음 다음에 오는 구개음화된 ㅎ이 이것의 유성음 음가를 갖는 경우가 있다. 물론 표준은 아니고 [j]로 발음되는 경우가 훨씬 일반적이다. [[영어]]에서는 주로 [[영국식 영어]]의 일부 h[* 예 human, hue, huge 등]가 이 음가를 지니며[* 미국식 영어에선 치경음 앞의 j가 탈락하는 등 구개음화를 극단적일 정도로 피하기 때문인지 이런 현상이 안 나타난다. 단, He의 h는 미국식 영어에서도 [ç\]로 발음된다.], [[독일어]]에서는 i 뒤의 ch, g가 이 음가를 띤다.[* 현대 들어서 독일의 경제적 중심지인 남서부 지역 억양의 영향을 받아 /ç/를 남서부 발음 [ʃ\]와 표준 발음 [ç\]의 중간 발음인 [ɕ\]로 대체하는 화자들이 증가해 '시'처럼 들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런지 후치경음인 [ʃ\]도 치경구개음 [ɕ\]와의 구분을 위해 권설음 [ʂ\]로 발음하는 화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전설화된 [ç\]로 발음되는 경우도 흔한데 '시'처럼 들리는 '히'도 '시'도 아닌 기묘한 소리가 난다. 독일어를 많이 들어봤던 사람이라면 무슨 소리인 지 알 것이다.] 그 외에도 [[일본어]]의 [[ひ|ひ(ヒ)]], [[네덜란드어]]의 ch, [[그리스어]]의 [[χ]], [[γ]]의 일부 경우, [[에스파냐어]]의 y나 일부 ll 발음 등이 있다. 칠레 스페인어에서는 j가 무성음에 해당하는 음이 난다. 이외에 여러 언어에서 /j/의 변이음으로 유성음이 많이 나타난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살살 흘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 된다.''' 여담으로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알바니아어]]에 쓰이는 ç와는 다른 발음이다.[*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에서의 ç는 /s/,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알바니아어에서의 ç는 /tʃ/라는 음가를 갖는다.] 해당 기호는 1989년에 도입된 것이다. 1988년 이전까지는 경구개 접근음과 구분하지 않았다. === 경구개 접근음[anchor(접근)] === ||<-2> '''{{{#fff [ruby(경구개 접근음, ruby=Palatal Approximant)]}}}'''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j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접근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대고 '이'를 발음한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8/Palatal_approximant.ogg|들어보기]] '''가장 흔한 반모음.'''[* 하다못해 [[이중조음 자음#NgM4|양순 연구개 접근음[w\]]]도 없는 언어가 많은데 이 경구개 접근음은 극히 마이너한 언어가 아니고서야 대부분 있고, [[한자문화권|우리 주변]] 언어에는 전부 있다.] [[한국어]]에서는 글자 하나로는 존재하지 않고 [[ㅑ]], [[ㅒ]], [[ㅕ]], [[ㅖ]], [[ㅛ]], [[ㅠ]] 등에 합쳐서 표현되어 있다.('재출'의 원리) 영어 및 로망스어군을 제외한 유럽 언어의 J, 헝가리어의 Ly, 베트남어 남부 방언의 v·d·i(모음 앞), [[영어]]·[[튀르키예어]]의 Y가 이 음가를 가진다. [[로망스어군]]에서는 i 혹은 y(프랑스어, 에스파냐어)가 다른 모음 앞에 올 때 /j/로 발음되기도 한다. [[러시아어]]는 е, ё, й, ю, я 등이, 일본어에서는 [[요음]]이 아닌 [[や]], [[ゆ]], [[よ]][* 요음인 경우 앞쪽의 글자(ex> '''き'''ゅう)가 경구개음화(ʲ 첨가)된다. 경구개화란 자음에서 이 음가가 이차조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시로 경구개화 치경 파열음은 [t^^j^^\] or [d^^j^^\]로 표기 가능하며 한국어에서 ㅑ, ㅕ, ㅛ, ㅠ, ㅒ, ㅖ 등에 이 음가가 같이 조음되는 결과 [t^^j^^a\] or [d^^j^^a\]는 '탸' or '댜'로 표기할 수 있다. 하지만 '탸' or '댜'의 'ㅌ' or 'ㄷ'은 치경구개 파열음이 될 수가 있어서 한국어의 '탸' or '댜'랑은 다른 발음이다.]가 이 음가이다. 무성음은 와쇼어에서 확인되었다. === 설측 경구개 마찰음[anchor(설측마찰)] === ||<-2> '''{{{#fff [ruby(설측 경구개 마찰음, ruby=Palatal Lateral Fricative)]}}}'''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𝼆 / ʎ̝̊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𝼆̬ / ʎ̝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설측음 || || {{{#fff 조음 방법}}} || 마찰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혀 옆에 공간을 확보한 뒤 s를 발음하듯이 하면 된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e/Voiceless_palatal_lateral_fricative.ogg|들어보기(𝼆)]] 이 기호는 유니코드 14.0 발표 이후 라틴 확장 G에 추가되었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치고 혀 옆구리를 어금니에 붙인 상태에서 살살 흘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 된다.''' [[파일:jerk.png|height=86]] --깜짝야-- 사족으로, [[아래아 한글]]에 {{{#!html}}}를 복사 + 붙여 넣기하면 'ㅉ헤ㄹㄹㅋ'이 합쳐진 괴상한 옛한글 음절로 변한다. [[한글과컴퓨터]] 측에서 한양 PUA 코드[* 사용자 영역에 옛한글 완성자를 넣어서 옛한글을 표현하는 방식. 자세한 것은 [[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를 써서 충돌이 일어난 것이다! [[지못미]]. 참고로 [[백괴사전]]에는 놀랍게도 저 옛한글에 대한 [[http://uncyclopedia.kr/wiki/ꥸᅦퟗ|문서]]가 2009년부터 존재했다(…). 저 ꥸᅦퟗ이 뭔지는 [[ꥸᅦퟗ]] 문서 참고. === 설측 경구개 접근음[anchor(설측접근)] === ||<-2> '''{{{#fff [ruby(설측 경구개 접근음, ruby=Palatal Lateral Approximant)]}}}'''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ʎ̊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ʎ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설측음 || || {{{#fff 조음 방법}}} || 접근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일'을 발음한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9/Palatal_lateral_approximant.ogg|들어보기]] [[한국어]]에서 [i], [y], [j], [ɥ] 앞의 ㄹㄹ, 어두 ㄹ의 음가인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ȴ/)의 대체자로 사용중이라고 하지만, 다른 발음이다. 옛한글 자음 [[ᅇ]]([[쌍이응]])이 뒤에 이중모음이 붙었을 경우에 나는 소리로 추정하는 사람도 있다. [[스페인어]]의 ll은 소리가 바뀌었고[* [[카시야스]](Casillas), 비야(Villa), 카스티야(Castilla), 세비야(Sevilla) 등의 ll 음가'''였다'''. 오늘날에는 스페인어의 탄생지인 카스티야 레온 지방을 제외한 스페인 대부분 지방에서는 위에 나온 경구개 마찰음으로, 대부분 중남미(멕시코 제외)에서는 /ʒ/로,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에서는 /ɟ͡ʝ/로, 아르헨티나에서는 /ʃ/로 대체되어 더이상 발음상으로 y와 구분되지 않고 있다. 앞의 단어들의 한글 표기도 현대 스페인어 발음을 따른 표기다.], [[이탈리아어]]에서 i앞의 gl[* 굴리엘모(Guglielmo), [[코닐리오]](Coniglio), 알리오(Aglio) 등의 gl 음가.], [[포르투갈어]]의 Lh는 정확히는 치경구개음이다. === 설측 경구개 탄음[anchor(설측탄)] === ||<-2> '''{{{#fff [ruby(설측 경구개 탄음, ruby=Palatal Lateral Flap)]}}}'''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ʎ̮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설측음 || || {{{#fff 조음 방법}}} || 탄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대고 혀 옆구리를 어금니쪽에 갖다 댄 뒤 빠르게 떼면 된다.}}} || 아직 기호가 없어서 설측 경구개 접근음 기호에 반달표[* 해당 음가를 짧게 발음하라는 의미.]를 붙인다. [[https://en.wikipedia.org/wiki/Voiced_palatal_lateral_flap|ilgar]]라는 언어에서 변이음으로 확인이 됐다고 한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발견되지 않았다. === 경구개 내파음[anchor(내파)] === ||<-2> '''{{{#fff [ruby(경구개 내파음, ruby=Palatal Implosive)]}}}'''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ʄ̊/ƈ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ʄ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내파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딱 붙이고 후두부를 아래로 당겨 압력을 낮춘 뒤 혀를 떼면 된다. '껵' 하는 뚫어뻥 비슷한 소리가 나면 성공.}}} || 유성음이며, 대립되는 무성음을 나타내는 기호 [ƈ]는 현재 폐지되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c/Voiced_palatal_implosive.ogg|들어보기]] [[신디어]], [[훌라어]] 등에서 보이는 꽤 마이너한 음가다. === 경구개 흡착음[anchor(흡착)] === ||<-2> '''{{{#fff [ruby(경구개 흡착음, ruby=Palatal Click)]}}}'''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ǂ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ǂ̬

}}} }}} || || {{{#fff 조음 위치}}} || 치경구개음~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흡착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갖다 댄 뒤 혀 뒤쪽 공기를 빨아들이며 혀를 아래로 끌어당긴다.}}}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9/Palatoalveolar_click.ogg|들어보기]] ~~[[크리스마스 씰]]을 사고 나면 이 발음을 해줘야 할 것 같다~~ [[연구개음]]은 [[흡착음]]을 후방 조음으로밖에 낼 수 없고 그 뒤로는 흡착음을 낼 수 없으므로 경구개 흡착음이 전방 조음 흡착음 중 조음 위치가 가장 깊다. 그냥 [ǂ] 말고도 마찰음화 경구개 흡착음[* Fricated palatal click이라고 하며 ⟨ǂᶴ⟩, ⟨ǃ͡s⟩ 등으로 나타내는 듯 하지만, 확실히 정해진 표기는 없다. 완전한 경구개음보다는 구개후치경음 쪽이다.]이 있다. [[한국어]]로 [[의성어]] '쯧'으로 표기하는, 혀를 찰 때 나오는 발음은 마찰음화한 발음으로 치 흡착음과 비슷하다. 대응하는 폐장기류음은 [t͡ʃ] 또는 [c]이다. === 경구개 탄음[anchor(탄)] === ||<-2> '''{{{#fff [ruby(경구개 탄음, ruby=Palatal Tap)]}}}'''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ɟ̆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탄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대고 튕겨 발음한다.}}} || === 경구개 전동음[anchor(전동)] === ||<-2> '''{{{#fff [ruby(경구개 전동음, ruby=Palatal Tril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ʀ̟˖

}}} }}} || || {{{#fff 조음 위치}}} || 경구개음 || || {{{#fff 조음 방향}}} || 중설음 || || {{{#fff 조음 방법}}} || 전동음 || ||<-2><#fff,#1f2023> {{{#!folding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혓바닥을 경구개에 가까이 댄 뒤 숨을 강하게 내쉬다 보면 혀가 우르르 떨릴 때가 있는데, 그 때 성대를 울리면 된다.}}} || '''침으로 전동하기 때문에''' 조음이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침이 없으면 경구개 전동음을 조음할 수 없고, [[양순음#전동|양순 전동음]]처럼 침이 잘 튄다. == 관련 문서 == * [[언어 관련 정보]] * [[구개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