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width=20]] {{{#6db33f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경기도의 전문대학)] [include(틀:시흥시의 대학)] [include(틀: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include(틀:링크3.0 사업단(전문대))] [include(틀: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 || ---- ||<-2> {{{#f5f5f2 {{{+4 '''경기과학기술대학교'''[br]京畿科學技術大學校}}}}}}[br]{{{#f5f5f2 '''Gyeongg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2>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width=250]] || || {{{#f5f5f2 '''교훈'''}}} || {{{#000 창조하는 인간, 협동하는 사회인, 겸손한 생활인}}} || || {{{#f5f5f2 '''분류'''}}} || {{{#000 전문대학}}} || || {{{#f5f5f2 '''주무기관'''}}} || {{{#000 [[파일:산업통상자원부_국문_좌우.svg|height=30]]}}} || || {{{#f5f5f2 '''개교'''}}} || {{{#000 1999년}}} || || {{{#f5f5f2 '''총장'''}}} || 허남용 || || {{{#f5f5f2 '''국가'''}}} || {{{#000 [[대한민국|{{{#000 대한민국}}}]] }}} || || {{{#f5f5f2 '''소재'''}}} || {{{#000 [[경기도|{{{#000 경기도}}}]] [[시흥시|{{{#000 시흥시}}}]] {{{#000 경기과기대로 269}}} }}} || || {{{#f5f5f2 '''재학생 수'''}}} || {{{#000 7,575명}}} || || {{{#f5f5f2 '''교직원 수'''}}} || {{{#000 325명[* 2018년 기준.]}}} || || {{{#f5f5f2 '''재단'''}}} || {{{#000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 || {{{#f5f5f2 '''웹 사이트'''}}} || {{{#000 [[http://www.gtec.a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EA%B2%BD%EA%B8%B0%EA%B3%BC%ED%95%99%EA%B8%B0%EC%88%A0%EB%8C%80%ED%95%99%EA%B5%90GTEC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f5f5f2 '''대학기본역량진단'''}}} || {{{#000 일반재정지원대학(2021)}}} || ||<-2>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과학기술대학교,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6TdVU1KW14)]}}} || || {{{#fff '''경기과학기술대학교 홍보영상 (2020)'''}}}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시흥스마트허브 내에 소재한 [[전문대학]]. 학교 역사의 시작은 [[1966년]] 상공부 산하 한국 정밀 기기 센터(FIC)내 2년제 전문 기술 교육 과정이며, 대학의 형태로 개교하게 된 것은 [[1997년]]에 통상 산업부에 의하여 산업 기술 교육 센터를 학교법인 한국 산업 기술 대학 내 전문 대학으로 전환 설립 방침을 결정받아 [[1998년]] 개교하고, [[1999년]]에 경기공업대학, [[2011년]]에 경기과학기술대학교로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국공학대학교]]와 같은 [[산업통상자원부]] 재단이다. 이건 학교 법인의 이 사진을 살펴봐도 알 수 있다. 즉, 산자부 산하의 '''일반대학'''은 [[한국공학대학교]]이고 '''전문대학'''은 [[경기과학기술대학교]]이다. 전국 상위 15% 전문 대학인 WCC에 선정되었고,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A등급을 받았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비대면 사이트[[https://ctl.gtec.ac.kr/]]에서 비대면 수업을 운영했다. 이후로 원격 수업을 많이 하는 편인데, 실시간 강의 시에는 웹엑스를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2021년]]에는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주관 일반재정지원대학에 선정되었다. == 총장 인사말 ==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1966년]] [[대한민국 정부|정부]]가 [[UNESCO]]의 차관을 들여와 설립한 정밀 기기 센터(FIC)를 전신으로 50여년의 기술 교육의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1999년]] 산업 발전과 산업기술 수요에 부합하고 경쟁력 있는 기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산업통상 자원부가 설립하여 개교한 특성화 대학입니다. > >개교 이후, 교육부 주요 재정 지원 사업인 교육 역량 강화 대학, 세계적 수준의 전문 대학(WCC), 특성화 전문대학(SCK)에 선정되는 등 각종 정부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2018년도 8월에는 교육부 평가 최고 등급인 ‘자율 개선 대학’으로 선정되어 [[2019년]]부터 ‘전문 대학 혁신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이외에도 교육혁신을 위한 ‘서울 뉴칼라 스쿨’ P-TECH 협약을 체결·추진하고 있으며, [[고용노동부]]의 K-MOVE스쿨 운영기관 선정, 교육부의 사회맞춤형 산학협력선도전문대학 ([[LINC+]]) 육성사업(산학협력고도화형) 선정 등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 >우리 대학은 중장기 발전 계획(Vision2025)을 수립하고 전 교직원, 학생 그리고 시흥시, 시화·안산 스마트허브 입주기업 등과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걸맞는 ‘현장적응력이 우수한 산업 기술 인력 양성 최우수 대학’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 >대학의 노력과 발전은 재학생의 실력향상과 우수기업 취업의 기반이 될 것이며, 채용 기업의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 >우리 경기과학기술대학교가 대한민국 최고 취업의 명문대학, 산학일체 교육의 글로벌리더가 되는 그날까지 아낌없는 지지와 성원을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gtec.ac.kr/cms/FrCon/index.do?MENU_ID=440|출처:경기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중장기 발전 계획(Vision2020)을 수립하고 전 교직원, 학생 그리고 시화‧안산 스마트허브 입주기업 등과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취업률 및 유지취업률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산학연협력기술개발사업에서도 7년 연속 최다로 선정되는 등 대학발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습니다. >우리대학은 빠르게 진행되는 사회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여 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학교로 변모‧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산학협력 특성화 최고의 명문 대학을 만들기 위해서 그리고 대학 브랜드파워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학의 재정능력을 강화하고, 교육역량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혁신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할 것입니다. == 학과 == === 전문학사 3년제 ===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모빌리티공학과 * 전기공학과 * 기계공학과 * 패션디자인과 * 시각정보디자인학과 * 게임콘텐츠학과 * 영상디자인과 * 보건의료행정학과 * 건축인테리어학과 * 컴퓨터모바일융합과 === 전문학사 2년제 === * 전자공학과 * 디자인공학과 * 웹툰일러스트학과 * 군사학과 * 경영학과 * 사회복지학과 * 소방방재학과 * 생명화학공학과 * 미래전기자동차과 * 인공지능학과 === 전공심화 1년제 === * 기계자동화공학과 * 정밀기계공학과 * 메카트로닉스공학과 * 전기제어공학과 * 컴퓨터모바일융합공학과 * 건축인테리어학과 * 시각정보디자인학과 * 미디어디자인학과 === 전공심화 2년제 === * 기계공학과 * 스마트경영학과 * 사회복지학과 * 화공환경공학과 * 전자공학과 * 자동차공학과 == 역대 총장 == || 대수 || 성명 || 임기 || || 1 ||<|2> 장재철 ||<|2> 1999년~2005년 || || 2 || || 3 || 정태신 || 2005년~2009년 || || 4 ||<|2> 한영수[* 참고로 [[한지상]]의 아버지.] ||<|2> 2009년~2014년 || || 5 || || 6 || 김필구 || 2014년~2017년 || || 7 || 김덕현 || 2018년~2021년 || || 8 || 허남용 || 2022년~ || == 교통 == [[통학버스]]를 정왕역에서 운영중이다. 장거리 통학 버스도 운영하고있다. 요금은 현재 무료. 현재 [[영등포]]([[광명시]]), [[부평]] - [[송내]], [[동인천]] - [[제물포]], [[부천시]] - [[시흥시]] 노선이 있다. 배차는 등교 1번이고, 하교는 사라졌다. 대중 교통으로 올려면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수인분당선]] [[정왕역]]에서 내려서 [[시흥 버스 28, 29|28번]]이나 [[안산 버스 30|30번]]을 타면 된다. 안산역과 학교를 이어주는 [[시흥 버스 21|21번]]도 있다. 하지만 이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기니 유의해야 한다. 정왕역 주변에서 [[셔틀버스]]를 운영중이다. 무료이며 등하교에 용이하게 수시로 운행하고 있다. 전술했듯 정왕역에서 연계되는 버스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기니 셔틀버스가 더 낫다.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셔틀버스.jpg]]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경기과학기술대.시흥에코센터(25170·25177)'''}}}}}}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시흥 버스 5200|{{{#ffffff 5200}}}]]}}} || || {{{#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1|{{{#ffffff 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6|{{{#ffffff 2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시흥 버스 28, 29|{{{#ffffff 2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안산 버스 30|{{{#ffffff 30}}}]]}}} ||}}} === 지하철 === || 역 이름 || 노선 || ||<|1> [[정왕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파일:SBLine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4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 학교 건물 == [[파일:external/www.gtec.ac.kr/bird.jpg]] === 제1캠퍼스 === ==== 대학본부 ====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대학본관.jpg]] 1층 경영관리처, 총무팀, 시설안전관리팀, 재무팀, 산학협력단 사업운영팀, 대회의실 2층 전략기획처, 기획예산팀, 정책개발평가팀, 전산정보팀, 혁신지원사업단, 혁신지원사업팀, 입학홍보처, 입학관리팀, 홍보지원팀, 감사실 3층 총장실, 회의실 ==== 창조A관 ==== [[파일:경기과기대 A관.jpg]] 1층 - 금형디자인과, 대강의실, 공존 2층 - E-비즈니스과, 강의/실습실, 전기전자 공학부 3층 - 기계 공학부 강의/실습실, 동아리실 ==== 창조B관 ==== [[파일:경기과학기술대 B동.jpg]] (B동 1층 현관)안쪽에 있는 기계가 바로 [[KB국민은행]]ATM,학생증 잔액 충전은 여기서 또는 도서실에서 하면 된다. 1층 - 기계공학과(구.정밀기계과), 고정밀 계측 기술센터학교기업 2층 - 기계자동화과 강의/실습실 3층 - 기계공학부 강의/실습실, 대학노동조합 ==== 창조C관 ==== [[파일:경기과학기술대 C동.jpg]] 1층 - 기계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2층 - 전기전자공학부 3층 - 컴퓨터 모바일 융합과, 중소기업 경영과, 전기전자공학부 사무실 4층 - 기초 교양학 강의실, 컴퓨터 실습실(CAD) ==== 학생회관 ==== [[파일:경기과학기술대 학생회관.jpg]] 1층 - 학생식당, 휴게실, 커피숍([[블루포트]]). 2층 - [[봉구스]], 분식점[* 2020년 9월, 식당에서 운영중이었던 분식점이 올라왔다.], --[[맘스터치]]--[* 2020년 1학기까지만 운영], 서점, 편의점([[CU]]), 졸업 준비 위원회, 동아리실, 취업 지원팀, 보건실. 3층 - 학생처장실, 교무팀, 교육혁신운영팀, 원격교육지원센터, 교수학습지원센터, 학생복지팀, 학군단, 학생상담센터, 예비군대대, 총학생회실, 탁구장. === 제2캠퍼스 === ==== 창조E관 ==== [[파일:경기과학기술대 E관.jpg]] 1층 - 공존 , 종합 실습실 2층 - 건축 인테리어과 강의실, 인문사회&디자인학부 사무실 3층 - 사회복지과 강의실, 아동영어보육과 강의실, 여학생 휴게실 ==== 제1 중소기업관 ==== [[파일:경기과학기술대 H동.jpg]] 1층 - 공존, 종합실습실 2층 - 창업보육실[* 2020년 신설], 창의공작소 창의공작소는 학생들의 창작활동, 아이디어 구현 및 작품 제작 등을 위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창의공작소에는 3D프린터, 목공, CNC 등의 장비를 갖추고 있다. [[파일:경기과기대 창의공작소.jpg]] 3층 - 창업보육실, 평생교육원 실습실, 세미나실 4층 - 중소기업 기술교육센터, 학교발전 및 산업학력위원회 사무실 ==== 기숙사(다솜학사) ==== [[파일:경기과기대 기숙사 .jpg]] 전경, 왼쪽이 다솜학사 1관, 오른쪽이 2관이다 (다솜학사 2관에서 앞으로 튀어나온 건물이 제2 중소기업관)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생활관에는 학생 기숙사와 게스트하우스가 존재한다. 기숙사 규모는 다솜학사 1관 2층 ~ 11층, 다솜학사 9층 ~ 14층 이다. 기숙사 1층에는 카페테리아, 편의점([[세븐일레븐]],수제버거(바겟버거),무인택배함 등이 존재하고 있다. 편의시설로는 TV, 탁자 의자, 전자레인지, 세탁기 등이 있다. 기숙사 옆 건물 체육관에는 각종 운동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학생은 1회 500원, 월 정기권 10,000원이다. ==== 체육관 ==== [[파일:경기과기대 체육관.jpg]] 1층 - 체육관, 휘트니스 센터 2층 - 관람석 ==== 창조V관 ==== [[파일:경기과기대 V동.jpg]] 1층 - 자동차 종합 실습실 2층 - 자동차과 강의/실습실 3층 - 신재생 에너지과&청정환경과 강의/실습실, 자동차에너지학부 사무실 4층 - 전기제어과 강의/실습실, 시흥시 보육정보 센터, 산업협력학부 사무실 ==== 정보문화관 ==== [[파일:경기과기대 도서관.jpg]] 1층 - 지식정보팀, 종합자료실, 인터넷 카페, ATM 2층 - 평생교육원, C-Zone, 증명서 발급기 '''C-Zone 내부''' [[파일:C존 내부.jpg]] [[파일:C존 소규모회의실.jpg]] 3층 - G-Zone([[블루포트]]) '''G-Zone 내부''' [[파일:경기과기대 G존1.jpg]] [[파일:경기과기대 G존.jpg]] ===== 시흥에코센터 ===== 학교 건물은 아니고, [[시흥시]]가 추진한 녹색체험전시관이다. 정보문화관 옆에 위치해있다. === 제1&2캠퍼스 연결통로 === [[파일:external/news.unn.net/115103_9652_5819.jpg]] [[파일:경기과기대 통로.jpg]] * 학생회관과 정보문화관을 연결해주고 인도로 내려갈수 있다. [[분류:1999년 개교]][[분류:대한민국의 전문대학]][[분류:시흥시의 대학교]][[분류: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