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기도 시내버스)] [목차] == 개요 == 과거 경기도 시내버스들은 시, 회사별로 도색이 각각 달랐다. 현재 경기도의 버스 도색들은 소수를 제외하고 전부 GBUS 표준 도색으로 통일되어 이러한 경향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몇몇 노선에서 자체 도색을 볼 수 있다. 가나다 순으로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 현재에도 사용 중인 도색 일람 == === 광주시 공영버스 === [[파일:bus_plus_100.png]] 현재 [[경기광주 버스 100|100번]]이 이 도색을 적용 중. === 남양주시 공영버스 === [[파일:attachment/P508720.jpg]] [[남양주|남양주시]] CI로 된 도색이다. 도색 자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있었다. [[남양주시의 공영버스]] 63번, 64번이 이 도색으로 운행 중이다. === [[미래교통(구리시)]] === [[파일:구리시 2-2번 그린시티 8132 .jpg]] 구리시 마을버스 회사. 파란색과 흰색 투톤이며 차체 후방은 상/하단으로, 중간은 파랗게 칠해져 있으며 현재도 이 도색으로 신차를 출고하고 있다. === [[분당마을버스]], [[영상교통]] === [[파일:3-1_7545.png]] 성남시 마을버스 회사인 분당마을버스와 영상교통에서 사용하는 도색. 상단은 노랑색, 하단은 주황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래는 성남의 다른 마을버스 회사들도 이 도색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분당마을버스와 영상교통만이 신차에도 이 도색을 적용하여 출고하고 있다. === 양주시 공영버스 === [[파일:양주22.png]] 일부 공영버스 노선들은 하늘색의 도색을 하고있으며, 문짝과 뒷부분이 하얀색이며, 앞부분에 '''양주시 공영버스'''라는 표시와 눈과 입이 있는게 특징. === [[율전버스]] === [[파일:수원마을2-1.jpg]]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간선버스와 동일한 파랑색 단색도색을 적용하고 있다.[* 하남시 마을버스 업체인 [[은방울교통]]의 [[하남 버스 100|하남 100번]]에도 있었으나 GBUS표준 도색으로 대차되었다.] === 태화상운(남양주) === 하단부는 파란색, 상단부는 초록색으로 되어있으며(정확히는 남양주시 로고의 색 배합 활용), 남양주시 마을버스를 담당하고 있는 [[태화상운(남양주)|태화상운]]에서 사용되고 있다. === 하남시 마을버스 일부 === [[파일:하남버스1.jpg]] * [[하남마을버스]], [[삼성교통(하남)|삼성교통]]: 서울특별시 마을(또는 지선)버스와 동일한 초록색 도색을 사용하고 있다. === 남양주시 [[땡큐버스]] === [[파일:땡큐70_1425.png]] [[세종 버스 1000|세종 1000번]], [[세종 버스 1004|1004번]] [[세종 버스 1005|1005번]]과 동일한 분홍색 단색으로 적용했다. === 수원시 [[전기버스]] === [[파일:수원여객 30_1966.jpg]] 짙은 하늘색 단색 바탕에 조그만 흰색 무늬가 같이 있다. 2019년부터 2020년 출고분만 해당되며, 2021년부터는 경기도 신도색 적용후 출고되었다. === 성남시 [[성남시 공영버스|누리버스]] === [[파일:Seongnam누리2-도색후-a.png|width=900]] 전체적인 색상 톤은 [[경기도 급행버스]] 도색의 역순으로, 차량 전면부터 노란색 → 형광색 → 초록색 → 파란색 순으로 칠해져 있다. 성남시 심벌마크가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뒷바퀴를 둘러싸고 있어 성남시의 도색이라는 것이 티가 확 난다. 이 도색의 변형된 도색이 있는데 바로 [[남원여객]]이 있다. 남원여객의 색상 톤은 [[누리버스]] 도색의 역순으로, 차량 전면부터 파란색 → 연한파란색 → 초록색 → 노란색 순으로 칠해져 있다. === 성남시 [[전기버스]] === || [[파일:51_1928.png|width=100%]] || [[파일:88_6389.png|width=100%]] || 전체적인 색상 톤은 파란색이고, 뒷바퀴에 감싸진 성남시 심벌마크 주위 색상이 시내버스는 초록색, 마을버스는 노란색이다. 수원시와 마찬가지로 2019년부터 2020년 출고분만 해당되며, 2021년부터는 경기도 신도색 적용후 출고된다. === 오산시 [[까산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산교통C1번(9153).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산교통C1번(9154).png|width=100%]]}}}|| 현재 [[오산 버스 C1|C1]]번이 유일하게 이 도색을 사용중이다. === 용인시 공공버스 === 경기버스 신도색과 아산버스 신도색을 섞어 놓은 듯한 도색 및 앞뒤로는 'GBUS' 대신 '용인시 공공버스'라고 적어놓고 측면에는 "용인시 공공버스"라고 크게 적어 놓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도색의 색상은 경기도 표준도색의 색을 따른다. === 화성시 [[H버스]] === [[파일:20210501_143750.jpg|width=100%]] 경기도 버스 도색에서 화성시 마스코트인 코리요가 추가된 도색이다. [[화성 버스 H10|H10]], [[화성 버스 H23|H23]], [[화성 버스 H65|H65]], [[화성 버스 H67|H67]]을 제외한 모든 H버스에 적용되었다. ==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도색 일람 == === [[가곡여객]] === [[파일:가곡여객.jpg|width=700]] 과거 기아 코스모스 차량으로 운행하던 당시에는 다른 도색이 사용되었으며, 이후 BM090과 로얄미디가 운행했을 때는 청록색 계통의 도색으로 되어 있었다. [[http://blog.naver.com/busmuseum/220519025001|2005년의 모습]]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sm=ext&viewloc=1&where=idetail&rev=31&query=%EA%B0%80%EA%B3%A1%EC%97%AC%EA%B0%9D§ion=image&res_fr=0&res_to=0&ie=utf8&face=0&color=0&ccl=0&aq=0&spq=0&nx_search_query=%EA%B0%80%EA%B3%A1%EC%97%AC%EA%B0%9D&nx_and_query=&nx_sub_query=&nx_search_hlquery=&nx_search_fasquery=&datetype=0&startdate=0&enddate=0&start=15&img_id=cafe13385409%7C78%7C10546_1|2009년의 모습 1]]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sm=ext&viewloc=1&where=idetail&rev=31&query=%EA%B0%80%EA%B3%A1%EC%97%AC%EA%B0%9D§ion=image&res_fr=0&res_to=0&ie=utf8&face=0&color=0&ccl=0&aq=0&spq=0&nx_search_query=%EA%B0%80%EA%B3%A1%EC%97%AC%EA%B0%9D&nx_and_query=&nx_sub_query=&nx_search_hlquery=&nx_search_fasquery=&datetype=0&startdate=0&enddate=0&start=25&img_id=cafe13385409%7C78%7C15484_1|2009년의 모습 2]] 이후 차량이 그린시티와 로얄미디 F/L로 대차되면서 경기도 표준도색을 채용하였다. [[여수시 시내버스]]의 천연가스버스 초기 도입분에서도 이와 비슷한 도색을 사용했다. === [[구일교통]] === [[파일:구일교통.jpg]] 구리시 마을버스 회사. 짙은 초록색 줄이 쭉 그어져있는 도색이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구도색[* 1982년부터 1995년까지 적용했던 도색.]과 비슷한 형태. 새로 반입하는 차량들은 GBUS 표준 마을버스 도색을 하고 있어 구 도색은 완전히 사라졌다. === 경원여객, 태화상운(안산/시내일반) === 두 가지 도색이 있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44399|관련 게시물]] * 앞쪽이 보라색, 측면이 옥색인 도색 * 차 뒷부분에 단풍잎이 그려져 있던 도색 이것이 바로 '''안산시 오리지날 도색'''이다. === 과천시영버스, 과천운수 === 노선이 모두 [[과천운수]]로 이관된 이후에도 [[과천시영버스]] 시절 도색을 그대로 쓰고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 차량이 경기도 마을버스 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 대통운수 === [[파일:하남1번마을(대).png]] 하얀색과 파란색 투톤인 로얄미디 표준 도색으로 되어있다. 다만 최근 도입한 그린시티는 초록 단색도색으로 되어 있다. === 파주시 마을버스 도색 === [[파일:100-94.jpg|width=900]] 짙은 녹색과 남색 사이에 주황색 줄이 그어져 있으며, 뒷부분에는 은색이 추가되어 있는 형태다. 현재는 경기도 마을버스 신도색으로 변경되면서 사라졌다. === 성남시내버스, 안전교통 === || [[파일:attachment/P508691.jpg|width=100%]] || [[파일:helpwjy_307110_1[492679].jpg|width=100%]] || || 일반차량[* 사진 차량은 2013년 2월에 대차되었고, 현재는 [[성남 버스 231|231번]]에서 운행 중이다.] |||| 초저상차량[* 성남시 최초로 투입된 초저상버스로, [[성남 버스 51|51번]] 출신이었으며, 이후 [[성남 버스 50|50번]]→[[성남 버스 60|60번]]으로 이동했다가 2015년 말에 NEW BS106 NGV로 대차되었고, 현재는 [[성남 버스 220|220번]]에서 운행 중.] || [[성남]]시 버스회사인 [[성남시내버스]]의 도색. 일반차량은 앞부분이 은색, 뒷부분이 푸른색 배경으로 되어 있었으며 중간 부분에 당시 성남시 모토인 e-푸른성남을 의미하는 첨단 도시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반면 초저상버스 차량은 보라색 배경에 도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성남시내버스의 자회사이자 마을버스 업체인 [[성남여객버스]]에서도 일반차량 도색이 된 차량을 88-1번 등에서 볼 수 있었다. === 삼영/보영운수 === 그야말로 짬뽕도색의 끝판왕이던 업체. 2006년 개편 이전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행선판처럼 다양한 도색이 있었다. 비슷한 도색도 변형하여 시 자체도색이 무려 네 가지로 분화됐을 정도. 변종 도색까지 합쳤을 경우 50여가지에 달한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내려온다. 동일 노선에 서울 지선도색과 간선도색이 같이 돌아다니던 시절도 있었다. 서울시 노선과 경합하다 보니 온갖 서울시 도색은 다 섞어썼지만 일명 물방울무늬 구 경기도 도색은 사용하지 않았다. 그 예시를 적어보면, * 팔달문 도색 변형 * 구 [[경기도]] 자체도색(일명 매일우유 도색) * 구 [[경기도]] 자체도색(일명 매일우유 도색)+전면부 황색 도색 * [[안양시]] 자체도색[* 1998년 말에 선보였고, 개편 전 서울시 면허 지역순환버스 도색을 기반으로 만들었는데, 전후면만 노란색으로 변경하였다.] * [[안양시]] 자체도색 + 천장 남색[* 실은 경기도 공용도색 중 남색만 적용된 도색에서 1998년 이후에 재도색된 차량이다.] * [[안양시]] 자체도색 + 천장 하늘색[* 실은 경기도 공용도색 중 매일우유 도색에서 1998년 이후에 재도색된 차량이다.] * [[안양시]] 천연가스용 자체도색 * [[안양시]] 천연가스용 자체도색 + 전후면 초록색 원 * [[몬드리안 도색]] * 몬드리안 도색 변형 * [[인천광역시]] 도색 변형[* 2002년에 초에 도입된 인천중고 BS106 로얄시티에서 확인되었다.] * [[서울특별시]] 천연가스버스 도색 * [[서울특별시]] 천연가스버스 도색 변형(나무그림 삭제)[* 2003년 디젤차량 2대에 재도색되었다가 몬드리안도색으로 재도색되면서 사리졌다.] * 구 [[서울특별시]] 좌석버스 도색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도색 *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도색 *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도색 * [[현대 에어로타운|에어로타운]] 기본 도색 * [[현대 카운티|카운티]] 기본 도색 * 구 서울시 고급좌석버스 도색 *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도색 이것들을 동시대에 한 도시에서 볼 수 있었다. === 소신여객 === [[파일:attachment/경기도 시내버스/업체별 도색/Example.jpg]] [[부천]]시 업체인 [[소신여객]]에서 쓰였던 도색. 상단은 흰색, 차량 선두부와 하단은 푸른색으로 되어 있고 차 양측엔 빨간줄 2개가 특징인 도색. 도색에 사용된 색상은 부천시의 CIP(City Identity Project)에 지정된 부천청색과 부천적색으로, 1990년 전국 자치단체 최초로 CIP를 도입할 때 제정되었고 냉방 시내버스 도색에 이용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른바 '''부천시 오리지"날" 도색'''. 부천시 마을버스 업체들도 모두 이 도색을 사용했으며 GBUS 도입 후 빠르게 재도색된 소신여객 차량들과 달리 마을버스로는 2010년대 중순까지 남아있었다. 이 도색은 90년대 후반부터 2006년 G BUS 브랜드 통합 이전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전에는 '매일우유 도색'을 사용했다. === 율포마을버스, 녹양교통 === [[파일:평택10.jpg|width=900]] [[기아 코스모스]] 기본도색 중 하나. 평택의 [[율포여객|율포마을버스]][* 현재 [[율포여객]]]와 의정부의 [[녹양교통]]이 사용했다. [[평택 버스 10|10번]] 등에서 볼 수 있었다. GBUS 도색이 나온 이후로도 기존 차들은 재도색하지 않아 2010년대 중반까지는 볼 수 있었다. 현재는 기존 차들이 모두 대차되면서 전멸. === 진흥고속 === [[대우버스 BM090]] 기본도색. 진흥고속에는 전차량 재도색되어 사라졌고 [[영신버스]], [[울진여객]] 등 타 지방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 화영운수 === [[파일:attachment/1237916312_hy21.jpg|width=600]] [[광명시]] 업체인 [[화영운수]]서 쓰였던 도색. 현재는 전멸. [[몬드리안 도색]]과 비슷하면서 파스텔톤의 초록색의 비중이 높은 도색으로 이로 인해 생긴 별명은 배추운수. 밝은 계열의 도색은 관리를 잘못하면 미관상 상당히 보기 안 좋을 수도 있으나 화영운수는 차량 관리를 철저히 하는 편이라 별 문제없었다. 이 외에도 광명시에서 자체적으로 시범 도입한 도색이 있었으나 얼마 못 가 사라졌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62195|관련 게시물]] == 기타 도색 일람 == === 관공서 차량과 동일한 도색 === 주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할 때 적용되었다.(안양,안산) '''안양시 오리지"널" 도색'''이 가장 압권 중의 압권이다. [[보영운수(안양)|보영운수]] 문서 참조. 안산에선 [[경원여객]], [[진보운수]], [[금강운수]]가 그렇게 했으나 마을버스는 사라졌다. === 김포시 순환버스 === [[김포 버스 101, 102]](당시 순환1, 순환2번)이 신설되었을 때 사용된 자체 도색. [[농어촌버스]]였기 때문에 자체 도색을 사용하였다. [[http://www.gimp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14|관련 기사]] 당시 도입된 NSAC 저상버스가 전부 NSAC F/L 저상버스로 대차되면서 사라졌다. === 남양주시 마을버스 === [[파일:jnkXuyN.jpg|width=650]] [[파일:남양주99-2.jpg|width=650]] 자체도색([[몬드리안 도색]]과 같은 배열이되 색깔이 모두 초록색이었다.)과 서울시 지선버스 도색을 한 차량이 운행되었다. 이후 레스타 등으로 교체되면서 경기도 마을버스 도색으로 바뀌었다. 단, 별내신도시를 다니는 마을버스는 아직 이 도색이 현역이다. === 2가지 색 도색 === [[파일:attachment/P508552.jpg]] ~~경기번호 달린 서울버스~~ 소위 GRYB 도색, 떡칠 도색이라고 불리는 그 도색으로 경기도 버스가 서울 버스 [[코스프레]]를 한 것이다. 정확히는 본체는 한가지 색이고 하단부 범퍼만 검정색인 형태. 삼영운수 일부, 시흥교통(입석형)[* 경원여객 차량과 동일하게 뒷면에 단풍잎 로고가 붙어 있었다.], 선진여객(이상 녹색 혹은 황색), 선진상운[* 7-5번과 8번, 73번, 88번, 707번이 파란색, 3번과 3-1번, 7-3번은 녹색이었다. 7-4번과 7-7번은 남양주시 공영버스 도색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가 차량 교체로 사라졌다.]/유성운수/진흥고속(구 7번)/대양운수(100번)/보영운수 일부(청), 부천버스 일부/경남여객 일부/진흥고속/대원고속/안산 5601번 등(적)이 단색으로 도색했다. GRYB 외에 다른 색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신일여객 30-1번,301번의 경우 청록색으로 된 에어로타운이 운행되었다. 도색과는 별개로 서울 버스 행선안내표지 양식을 사용한 경우도 많이 있었다. === 경기도 좌석버스 도색 === 서울시 좌석버스 도색에서 초록색 부분을 남색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창틀쪽은 서울시 좌석버스 도색과는 달리 살색으로 처리. 천장부분만 초록색 부분을 남색으로 변경하였다. [[부천버스|경성여객]], [[선진상운|강화운수]], [[수원여객]], [[소신여객]], [[신원여객]] 등에 사용되었다. 대구광역시 좌석버스에도 비슷한 도색을 볼 수 있었다.[* 1988년 ~ 1995년 도입분에 존재했다.][* 패턴은 동일하지만 경기도 차량은 짙은 남색에 가까웠던 반면 대구 차량은 조금 진한 파란색에 가까운 색이었다.] === 매일우유 도색 === [[파일:attachment/P101002211.jpg]] [[http://m.blog.naver.com/bh090/20153998181|출처]][* 해당 차량은 신성교통(현 [[신성여객(파주)|신성여객]])에 넘어간 후 2014년에 [[파주 버스 G7625|M7625번(현 G7625번)]] [[현대 유니시티|유니시티]] 2014년식으로 대차되었다가 [[파주선진]]으로 재매각되고 2023년 8월 10일에 말소되었다.] 1990년대까지 경기도 대다수 지역에서 일반버스 도색으로 쓰였다. [[매일우유]] 우유곽처럼 파랑색과 하늘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리게 되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차츰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곳은 이 도색을 애용했던 회사 중 하나인 [[고양시]] 소속 버스회사 [[명성운수]]였다. 경기 공용 도색중 1가지 색만 적용된 경우(남색만 적용, 하늘색만 적용, 천장도 남색도색)가 있었는데, 이 역시도 경기도 내에서 널리 쓰였던 도색으로 경기도 안양, 안산, 평택, 안성, 수원, 용인, 성남, 등 넓은 지역에서 이용 되었다. [* 단, 하늘색만 적용되었던 도색은 일찍 사라진 편.] 또 다른 변종으로 위의 남색만 적용된 도색과 패턴은 같으나 색깔이 다른 도색이 있었는데, 옅은 갈색 도색이 같은 패턴으로 칠해져 있었으며, 이는 경기도 평택시 서울고속과 성호여객에 적용 된 적 있었으나, 냉방차량이 신차로 도입되며 대차 될 때 남색만 적용된 도색으로 변경 되었다.(이후 평택 신도색이 등장) 남색만 적용된 도색은 현재 완도군 [[보길여객]]에서 볼 수 있다. === [[몬드리안 도색]] === [[파일:17_1800.jpg]] 서울시내버스의 과거 도색으로, 경기도(광주, 구리, 김포, 남양주, 동두천, 성남, 수원, 안양, 양평, 여주, 오산, 용인, 의정부, 이천, 파주, 하남, 화성) 시내버스 몇몇에도 쓰였다. 물론 고양시 마을버스 업체인 [[대호운수|백마교통, 현 대호운수]]에서도 이런 도색을 사용했었으며 또 부천시 시내버스 업체인 [[부천버스]]에서도 경성여객 시절부터 이런 도색을 애용했었다. 특히 광주시(옛 광주군) 면허의 [[KD 운송그룹|버스]]가 이런 도색이었으니, 경기도내 어디서나 쉽게 볼 수가 있었다. 현재는 [[영주시]], [[당진시]], [[예산군]], [[홍성군]], [[울산시]], [[홍천군]], [[인제군]]에만 있으며, 경기도에선 현재 전멸.[* 경기도 차적은 전멸했지만, 홍천에서 용문터미널까지 넘어오는 차량이 있어서 경기도 안에서 볼 순 있다.] [[금강고속]]의 경우는 빨간색 부분을 파란색으로 바꾼 도색을 사용했으며[* 현재는 [[의성여객]]에서 좌석버스 도색으로 사용하고 있다.], [[성남시내버스]]는 노란색이 뒷부분까지 이어져있는 변종 도색을 사용했다. === 물방울 도색 === 버스 미관개선을 이유로 경기도에서 주도하여, 도내 여러 도시에서 사용했던 도색. [[의정부시]] 소속 [[명진여객]]과 [[평안운수]], [[성남시]] 소속 [[경기교통]] 등 여러 업체에서 쓰던 도색으로 현재는 전멸. 기본적으로 흰색 차체에 일부분을 원 형태로 채색한 것이 특징으로 지자체 또는 회사에 따라 원의 색깔이 달랐다. * 청록색 : 수원, 안산, 양평, 의정부, 파주[*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금강고속]], [[남양여객]], [[명진여객]], [[신성여객(파주)|신성교통]], [[연천교통]], [[선진시내|영종여객]], [[태화상운(안산)|태화상운]], [[평안운수]], [[포천교통]].][* 사실 남양여객에서 다니던 원형도색차는 의정부 [[명진여객]] 출신 중고차였다.] * 노란색 : 남양주, 성남[* [[경기교통]], [[경기버스|대진운수]], [[삼용버스]], [[성남시내버스]], [[경기운수|세진버스]].] * 파란색 : 수원,동두천, 성남, 안성, 용인, 파주, 포천[* [[경기교통]], [[경남여객]], [[대양운수]][* 예외적으로 연천 공영버스 100번의 경우, 개편후 서울 녹색도색의 차량이 운행하기도 했다.], [[백성운수]], [[신성여객(파주)|신성교통]], [[신일여객(파주)|신일여객]], [[포천상운]].] * 주황색 : 성남[* [[경기교통]].] === 부산광역시 도색 === [[신일여객]] 일부 차량에서만 볼 수가 있었다. 모터쇼에 부산도색을 칠하고 전시되었던 준저상 차량을 들이고 꽤 오랫동안 재도색을 하지 않았던 것. === 서울특별시 좌석버스 도색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SANY0186.jpg]] [[경기상운|광신교통]], [[경기고속]],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경일여객]], [[대원고속]], [[경기버스|대진운수]], [[명성운수]], [[경기운수|명진운수]], [[보영운수(안양)|보영운수]], [[삼영운수]], [[평택여객|성호여객]], [[신성여객(파주)|신성교통]], [[연천교통]], [[선진시내|영종여객]], [[용남고속|용남여객]], [[오산교통|창운여객]], [[평안운수]], [[포천교통]], [[화영운수]] 등에 사용되었다. === 서울특별시 천연가스버스 도색 === [[파일:16_2621.jpg]]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했을 때 많이 사용했으며, 간혹 디젤차량에 사기도색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주로 사용한 업체는 KD 운송그룹(녹색 [[몬드리안 도색]])과[* KD는 2003년부터 2007년초까지 가스차량을 뽑을 때마다 이 도색을 썼다. 물론 인천 도색의 변종을 입혀서 들여온 차와 기본형 몬드리안에 가스차 폰트만 붙인 차들도 있었지만, 대형차는 전부 녹색 몬드리안 도색으로 들여왔다.] [[신성교통]][* 왜 이런 도색이 다녔냐면, 907번 도시형이 다시 광역버스로 격상되면서 567번을 도시형으로 전환시켰는데, 이 때 567번에서 쓰던 좌석버스와 907번에서 쓰던 입석차량을 교환했기 때문이다.], 삼영/보영운수, [[도원교통(부천)|도원교통]]. === 성남시 좌석버스 도색 === [[파일:경기720번버스.jpg]] 베이지색 바탕에 연두색과 녹색으로 구성된 도색이다. 1990년대 후반까지 [[경기교통]]에서 대다수의 일반좌석버스에 사용했고, [[성남시내버스]]도 좌석버스 차량에 이 도색을 칠하고 다녔던 적이 있다. 수원 [[용일여객]]이나 의정부 [[평안운수]]도 일부 차량에 이 도색을 하고 다니기도 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차량도 대차되고, 남아있던 차량도 일반버스 도색이나 서울 고급좌석 도색으로 재도색하면서 사라졌다.[* 사진의 1304호는 말년에 파란색 물방울 도색으로 재도색하고 다녔다.] 패턴은 대구 일반버스 중도색(녹색 + 파랑 + 주황) 도색과 유사하다. === 수원시 월드컵 도색 === 월드컵 기간에만 적용한 이벤트 도색으로 구 58번과 [[수원 버스 82-1|82-1번]]에만 사용되었다고 하며, 서로 다른 도색이었다고 한다. 2002 한일 월드컵 종료 후 팔달문 도색으로 재도색. === 수원 삼성여객 좌석버스 도색 === 흰색 바탕에 파란 줄이 2줄 그어져있는 도색. [[삼성여객(수원)|삼성여객]]에서만 사용했으며 삼성여객 폐업 후 차량을 받은 남양여객에도 한동안 생존해있다가 2000년을 기해 전차량 평행사변형 도색으로 재도색되어 사라졌다. 다만 재도색 이후에도 창틀 위에 파란 줄이 남아 있는 등 일부 차량은 대차될때까지 삼성여객 도색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 시외버스 도색 === 시외완행버스에서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할 당시에 아주 잠깐만 쓰였다. 경원여객 30번, [[경남여객]] 22번 등이 그랬다. 특이하게 [[태화상운(안산)|태화상운]] 717번(형간전환 직후엔 번호가 없었다.) 일반좌석버스에도 적용했다. 시외직행버스에서 형간전환한 경우도 해당되는데, 태화상운 707번과 용일여객의 900, 909번이 이에 해당되며, 용일여객 출신 노선은 후에 성우운수로 넘어갔다. === 안산시 테마버스 도색 === ||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501/501.jpg|width=85%]] || [[안산시]]에서 [[안산 버스 501|501번]]을 직접 운영했을 때 GBUS 도색이 아닌 Happy Bus라는 자체 도색을 하고 다녔다. [[http://www.dailian.co.kr/news/view/115472|관련 기사]] 빨간 바탕에 '행복을 타고가는 Let´s Go Ansan Bus' 문구와 악보, 네잎클로버가 있는 것이 특징. 현재는 노선이 경원여객으로 이관되면서 모두 GBUS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 에버랜드 도색[anchor(에버랜드 도색)] === [[파일:경기광주1113_alynesinc.png]] [[에버랜드]]를 기점으로 하는 일부 [[직행좌석버스]] 노선에 있던 도색이다. [[경기광주 버스 1113]]과 [[용인 버스 5002]] 등이 이에 속했다. === 용인 공영버스 도색 === 용인시 [[수성교통]] 마을버스 등 일부 공영마을버스에서 있던 도색이다. 파란색 떡칠에 아래는 군청색으로 한 것이 특징. [[용인 마을버스 15-1]]등 공영 출신 노선에 있었다. === 인천광역시 구 도색(N자 도색) === 김포운수 소속 노선과 태화상운 소속 66번에서 볼 수 있었다. 66번의 경우 취소차나 중고차량을 들고 온 건 아니고, 그냥 도색이 잘못 나왔다.(...) 해당 차량은 GBUS 도입 후 가장 빠르게 재도색했다. === 파주시 구 도색 === 신성교통 등에서 GBUS 표준 디자인이 나오기 전까지 사용하였다. === 팔달문 도색 === || [[파일:/data26/2008/2/13/175/sv600048_ghu3632.jpg|width=400]] || [[파일:/data24/2007/4/15/112/070414-0179.jpg|width=400]] || || [[수원 버스 62-1|디젤버스]] 도색 || [[수원 버스 83|천연가스버스]] 도색 || [[수원시]] 소속의 버스업체서 쓰였던 도색. G-BUS도색이 등장한 현재는 전멸. 2001년 상반기에 등장했는데, 이는 2002 월드컵 개최도시인 수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낸 도색이라고 할 수 있다. 차량에 팔달문 그림이 있어서 팔달문 도색으로 불렸다. 경기도 버스 도색 중에서 상당히 인기가 좋은 도색 중 하나였는데, 여담으로 이러한 차량을 예비차로 사용한 것이 너무도 유명세를 탔다. [[3분요리(버스)]]와 [[수원여객]] 참조. === 평택시 구 도색 === [[파일:2049846313_Z9PS3QkH_B9F6BDBA+B9F8C8A32C+B8D6B8AEBCADB5B5+C7D1+B4ABBFA1+BABC+BCF6+C0D6B0D4.jpg]] 베이지색 배경에 앞쪽을 크게 주황색으로 칠하고 노랑색 선 2개가 뒤로 이어지는 형태의 도색이다. === 평행사변형 도색 === 물방울 도색과 동시에 도입된 좌석버스 도색. 빨간색과 주황색, 초록색 평행사변형이 있었다. * 청록색 : [[선진상운|강화운수]], [[남양여객]], [[명성운수]], [[삼경운수]], [[수원여객]], [[신성교통]], [[신원여객]] 등 * 빨간색 : [[경진여객]], [[경기버스|대진운수]], [[명진여객]], [[경기운수|명진운수]], [[보영운수(안양)|보영운수]], [[삼영운수]], [[연천교통]], [[선진시내|영종여객]], [[평안운수]], [[포천교통]] 등 * 주황색 :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삼용버스]] 등 예외적으로, 물방울 도색을 쓰지 않는 제부여객에서도 이 도색(초록색)을 사용했다. === 그 외 === * 고양동과 내유동을 오가는 [[고양 버스 026|26번 마을버스]](당시 번호)에는 우등버스 도색을 한 에어로타운 초기형이 있었다.(경기 73 아 8128) * [[성남 버스 73|73번 마을버스]]에는 흰색으로 도색된 선롱 듀에고 차량이 있다. * 대진운수 [[포천 버스 7|7번]]에는 LPG 버스가 있었다. 이 버스 한정으로 상단 흰색, 하단 파란색, 측면에 물방울 무늬가 있었다.[* 해당 도색은 [[아산여객]]의 같은 차량에도 적용되었다.] * [[성우운수]] [[수원 버스 909|909번]]과 [[용남고속]] [[수원 버스 7000|7000번]]에는 이 노선만의 독특한 도색이 있었다. * [[대양운수]] [[연천 버스 100|100번]]의 경우는 과거 무번호 공영버스였을때,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색을 사용한적이 있었다. [[분류:경기도의 시내버스]][[분류:도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