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기도)] [include(틀:경기도의 정치)] [목차] == 개요 == 경기도의 정치에 대해 설명한 문서. == 국회의원 목록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 역대 민선 경기도지사 == ||<-5> [[경기도|[[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width=50px]]]] {{{#ffffff '''역대 민선 경기도지사'''}}} || || [[1960년 지방선거|{{{#ffffff '''1960'''}}}]]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 [[민주당(1955년)|{{{#ffffff {{{#!html
민주당
}}}}}}]] || [[민주자유당|{{{#ffffff {{{#!html
민주자유당
}}}}}}]] || [[새정치국민회의|{{{#ffffff {{{#!html
새정치국민회의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당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당
}}}}}}]] || || [[신광균|{{{#373a3c,#dddddd 신광균}}}]] || [[이인제|{{{#373a3c,#dddddd 이인제}}}]] || [[임창열|{{{#373a3c,#dddddd 임창열}}}]] || [[손학규|{{{#373a3c,#dddddd 손학규}}}]] || [[김문수|{{{#373a3c,#dddddd 김문수}}}]]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 [[한나라당|{{{#ffffff {{{#!html
한나라당
}}}}}}]] || [[새누리당|{{{#ffffff {{{#!html
새누리당
}}}}}}]] ||<-2> [[더불어민주당|{{{#ffffff {{{#!html
더불어민주당
}}}}}}]] || || || [[김문수|{{{#373a3c,#dddddd 김문수}}}]] || [[남경필|{{{#373a3c,#dddddd 남경필}}}]] || [[이재명|{{{#373a3c,#dddddd 이재명}}}]] || [[김동연|{{{#373a3c,#dddddd 김동연}}}]] ||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1960년 지방선거|1960년]] ||'''1위: [include(틀:민주당(1955년))] [[신광균]] 26.80%'''[br]2위: [include(틀:무소속)] [[김정렬(1907)|김정렬]] 25.70%[br]3위: [include(틀:신민당(1960년))] [[윤원선]] 18.00%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이인제]] 40.56%'''[br]2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장경우]] 29.60%[br]3위: [include(틀:무소속)] [[임사빈]] 19.67%[br]4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김문원]] 10.15%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임창열]] 54.30%'''[br]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손학규]] 45.69%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손학규]] 58.37%'''[br]2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진념(1940)|진념]] 35.98%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김문수]] 59.68%'''[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진대제]] 30.75%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김문수]] 52.20%'''[br]2위: [include(틀:국민참여당)] [[유시민]] 47.79%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남경필]] 50.43%'''[br]2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49.56%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이재명]] 56.40%'''[br]2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남경필]] 35.51%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김동연]] 49.06%'''[br]2위: [include(틀:국민의힘)] [[김은혜]] 48.91% ||}}}}}}}}} || == 개요 == 선거의 '''최대 표밭'''. 이 한 마디로 바로 정리할 수 있다. [[2000년대]] 들어 [[서울특별시]]보다 더 많은 인구가 몰리면서 서울의 인구를 추월했다. 게다가 경기도는 인구가 감소세인 서울과 달리 지금도 계속해서 [[신도시]]들을 건설하고 있기 때문에, 서울에서 이사가는 사람들 대부분을 경기도가 흡수하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화성시]], [[용인시]], [[남양주시]] 일대의 신도시 건설이 끝나면 [[포천시]], [[양평군]], [[이천시]], [[평택시]], [[안성시]] 등 경기 동부/남부 지역에도 신도시들을 지어올릴 가능성이 높은데,[* 안 그래도 이미 평택은 [[고덕국제신도시]]가 개발 중이다. 다만 [[연천군]] 일대는 [[남북통일]] 이후에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그럼 향후 인구가 1500만 명에 육박할 수도 있다.[* 신도시들이 계속 지어지면 서울과 경기도의 인구 격차는 '''2배'''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위 '''경기도 징크스'''라고 불리는데, [[인천광역시]]와 [[충청북도]] 등과 함께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진 [[1987년]] [[13대 대선]]부터 [[2017년]] [[19대 대선]]까지 30년 동안 7회 연속으로 경기도에서 1위를 차지한 후보가 반드시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된다는 기록을 갖고 있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오하이오]] 지역만 잡으면 미국 대통령 당선은 기정사실화라는 구도와 유사하다. 그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제13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노태우]](41.4%) - '''당선''' (전국 득표율 36.64%) * [[제14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김영삼]](36.3%) - '''당선''' (전국 득표율 41.96%) * [[제15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김대중]](39.3%) - '''당선''' (전국 득표율 40.27%) * [[제16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노무현]](50.7%) - '''당선''' (전국 득표율 48.91%) * [[제17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이명박]](51.9%) - '''당선''' (전국 득표율 48.67%) * [[제18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박근혜]](50.4%) - '''당선''' (전국 득표율 51.55%) * [[제19대 대통령 선거]] 경기 1위 [[문재인]](42.1%) - '''당선''' (전국 득표율 41.08%) 이 중 18대 대선에서는 출구조사 결과로는 50.9% : 48.8%로 문재인 후보가 승리할 것으로 예측되어 기록이 깨지는 듯 했지만, 실제 개표 결과에선 박근혜가 50.4% : 49.2%로 승리하여 계속해서 민심의 축소판으로서 역할을 할 듯 하다. '''그러나''' [[2022년]] [[20대 대선]]에서는 경기도에서 [[이재명]] 후보가 승리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어 '''8번 만에''' 징크스가 깨졌다.[* 반대로 윤석열은 서울에서 승리하였다. 서울은 보수화 되어서 [[2021년 재보궐선거]]에 이어 20대 대선에서도 [[국민의힘]]에게 손을 들어줬다.] 전국 각지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인구로 인해 정치권의 표심 경합이 굉장히 치열하다. 단, 권역별로 약간의 쏠림 현상은 있다. 대체로 도시 지역은[* 특히 [[부천시]], [[안산시]], [[시흥시]], [[광명시]], [[화성시]] [[동탄신도시]], [[오산시]], [[수원시]], [[안양시]] 등지의 서남부 지역 및 [[고양시]], [[파주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등 경기 북부의 도시 지역.] 민주당 계열 지지 성향이 강한 반면 전방 지역이나 개발이 제한된 소규모 도시나 농촌 지역은 보수정당 계열 지지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신도시 지역들은 아파트와 산업단지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젊은 층과 기업 노동자들이 많고 덕분에 진보세가 강하게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경기 북부 전방 지역은 [[군사분계선|휴전선]]에 가깝고 군부대가 밀집해 있어 보수 성향이 강하고, 동부는 [[팔당댐]] 상수원으로 인한 [[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젊은층들이 적고 발전이 정체되어 있어 규제 폐지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 보수 성향이 비교적 강한 편으로 보인다. 현재 경기도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강한 지역은 동부 외곽의 [[가평군]]과 [[양평군]], 그리고 최전방 지역인 [[연천군]]과 [[포천시]]이다. 부동산 문제가 부각된 [[20대 대선]] 이후로는 [[과천시]]나 [[성남시]] [[분당구]] 등의 부촌에서 보수정당이 최고득표율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들 지역의 인구는 대도시들에 비할 바가 못 될 정도로 적어서 영향은 적은 편이다. 한편 [[수원시]] [[팔달구]], [[용인시]] [[처인구]] 등의 구도심 지역이나 [[성남시]] [[분당구]] 등의 부촌 지역도 이전에는 보수세가 상당했지만, [[20대 총선]] 이후 경기도에서 민주당세가 강해지면서 민주당으로 거의 넘어간 상태다. 다만 부촌 지역의 경우 [[21대 총선]], [[20대 대선]]을 거치면서 다시 보수성향이 강해졌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발전된 경기도 안쪽 지역은 진보 성향이, 농촌이 많고 낙후된 경기도 바깥 지역은 보수 성향이 비교적 우세하게 나타났었는데, 이러한 결과가 극대화된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경기도의 선거 결과를 보면 왠지 계란후라이 같은 느낌도 든다. 물론 이것이 영호남처럼 눈에 확 띌 정도로 차이가 나는 수준은 아니라, 정치 분위기나 판세에 따라 유동성이 있어 꽤나 색깔이 자주 바뀌긴 한다. 건국 후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농촌이 많아 보수 텃밭이었고,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자유당이 3분의 2 이상을 경기도 의석에서 가져갔다. [[제4대 국회의원 선거]]서도 자유당이 3분의 2 이상 경기도 의석을 차지, [[제5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승리하였지만, [[제6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공화당이 경기도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다.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공화당이 경기도 의석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역시 민주공화당이 경기도 의석 3분의 2를 넘는데 성공했다.[* 물론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 계열이 앞장섰지만, [[제6대 대통령 선거]]와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득표율이 올랐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중선거구제 2등 당선의 영향으로 민주공화당/민주정의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집권 여당인 민주정의당 후보가 패하는 중에도 경기도 후보는 16명이나 [[당선]]되었다. 이후 [[3당 합당]]으로 27석이 민주자유당 의석이 된다. 이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이 패하는 와중에도 경기도 의석은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한국당이 비록 과반수에는 실패했지만 통합민주당과 합당해 한나라당이 창당되며 경기도 의석은 과반수로 되돌아간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이 경기도 의석 과반수를 차지했지만, 보궐선거로 한나라당이 경기도에서 과반수를 되찾았다. 그러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으로 [[열린우리당]]이 대거 승리했다. 그러나 이후 한나라당이 의석을 늘려나갔고, 당장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뉴타운]]빨에 힘입어 한나라당이 선거에서 승리하는데 도움을 줬지만, 신도시 개발로 인한 젊은층 증가 등으로 인해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다시 민주당계 지지로 돌아섰다. 다만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경기도 의석 3분의 1을 새누리당이 지켰고, 보궐선거로 3분의 1을 넘는데 성공한다. 연이어 그 와중에 열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가 [[출구조사]] 결과를 뒤집고 신승했다. 사실 [[경기도지사]] 선거는 보수 계열이 과거부터 꽤 강세를 보였는데, 2016년 기준 과거 재보선을 포함한 7번의 [[서울특별시장]] 선거는 진보와 보수가 각각 4:3으로 엇비슷한데 반해, 6번 치뤄진 경기도지사 선거에서는 [[이인제]] 전 지사부터 [[손학규]], [[김문수]], [[남경필]] 전 지사까지 네 사람이 보수 계열 출신이고, 민주당 계열 출신인 지사는 민선 2기 [[임창열]] 전 지사 한 사람만이 유일했다. 하지만 알고 보면 또 재미있는 게 저 4명 다 보수정당 소속으로 당선되긴 했지만 실제 성향은 보수와 진보 사이를 왔다갔다한 중도성향이 강했던 인물들이라는 것이다. [[이인제]], [[손학규]] 전 지사는 이후 실제 민주당으로 이적하기도 했고. --그러나 이인제는 또 다시 새누리당으로 넘어갔지.-- 그리고 여세를 몰아(?) 2016년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사태로 강성 친박계와 대립하다 빡친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까지 새누리당을 탈당했고, 이후 [[바른정당]]에 입당했다가, [[홍준표]] 전 대표 체제의 [[자유한국당]]에서 [[박근혜]]를 사실상 제명에 가까운 출당 조치를 시키자 복당한다. 하지만 또 그 와중에 같이 열린 [[시장(공무원)|시장]]과 도의회 선거에서는 민주당 계열이 과반을 차지하는 등 정말 절묘하다. 이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3분의 2를 넘는데 성공한다. 원래 경기도는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보수 텃밭이었지만, 신도시 개발로 여야의 격전지가 되었다. 그러나 [[여당]]이 계속 우세했고, 3분의 1 이상은 여당이 지켰지만, 20대 총선 이후 [[야당]]이 점점 우세하게 된다. 원래부터 경기도는 서울특별시와 같은 수도권이고 선거의 최대 표밭인데, 서울특별시와는 달리 수도권에서 유일한 보수 텃밭이었다. 자유당 - 민주공화당 -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 - 한나라당으로 이어져 오는 보수정당 역사에서 총선에서 경기도에서 패배한 적이 드물었다.[* 경기도는 과거 군사정권 시절에도 수도권의 보수 텃밭으로 유명했다. 당시 1960년대에도 [[TK#s-1.1]]보다도 보수성이 강했고, 야당은 거의 경기도에서 참패했다. 당시 총선에서 경기도는 야권이 모두 전사할 정도로 보수세의 텃밭이었다.] 그러나 신도시 개발로 점차 민주당세가 강해지고는 있지만, 그래도 신도시 개발 초기만 해도 보수정당이 경합 우세로 승리하거나 초접전까지 가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거의 민주당이 승리하고 있다. [[7회 지방선거]]에서는 도의석 142석 중 132석을 민주당이 가져가는 압승을 일으키며, 보수정당은 사실상 전멸했다. 이 정도면 아예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수준인 셈. 경기도가 서울과 달리 보수정당에서 매번 총선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과거 경기도의 절반이 [[농촌]]이었기 때문이다.[* 서울도 중선거구제 이후부터는 여권 후보가 많이 당선된 적이 많고, 자유당 계열도 당선된 횟수가 많이 없지는 않지만, 경기도에 비하면 여권 지지세는 덜했다. 반면 경기도는 수도권에서는 굉장히 농촌 텃밭의 영향으로 보수 성향이 굉장히 강했다.] 그래도 신도시 개발 초기에는 여권이 유리했지만, 현재는 경기도 역시 [[여촌야도]] 현상으로 대부분 민주당에 유리해지고 있다. 애초에 역대 보수정당들이 서울 의석에서 패하고도 3분의 2나 거대 과반을 번번이 차지한 것은 경기도 의석 영향이 컸지만, 이제는 그런 영향도 없다.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경우는 1995년의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도지사]]는 여당이 승리, 기초자치단체장도 31개 중에 13개를 차지, 경기도는 민주자유당이 약간 선방했다. 광역의원 선거도 민자당이 선방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경기도에서 한나라당이 대거 패배했는데, [[김대중 정권]] 초반기의 영향이 컸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한나라당이 압승했는데, 도지사와 기초자치단체장 모두 한나라당이 싹슬이 당선되었고, 광역의회 역시 한나라당이 싹슬이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역시 한나라당이 초압승을 거두었는데, 도지사,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회 모두 한나라당이 싹슬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기초자치단체장과 광역의회의 과반수가 민주당계에 넘어갔다. 하지만 도지사는 한나라당이 차지를 계속했다. 그래서 야권의 우세가 계속되는 듯 했지만,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도지사는 새누리당이 차지, 기초자치단체장과 광역의회, 자치의회는 새정치민주연합이 과반을 차지했지만, 5회 지방선거와는 달리 새누리당이 선방했다. 민선 이후 도지사는 맨 위 참조. 대선의 경우 [[5대 대선]]과 [[6대 대선]]에서는 모두 [[윤보선]] 후보가 승리하였는데, 그 당시 경기도는 도시들이 많이 없었고 대다수 지역이 농촌이라서 민주공화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겼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윤보선 후보가 이긴 것은 그 당시에는 경기도의 절반이 농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만큼은 여촌야도가 잘 적용되지 못했었는데, 그 이유는 당시 민주당의 색채가 보수색채가 상당히 강했고, 윤보선 후보 역시 보수색채가 상당히 강했기 때문에 민주당이 농촌에서 표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7대 대선]]에서도 [[김대중]] 후보가 승리하였다. 하지만 7대 대선 때는 경기도에서 당시 여당이던 민주공화당의 [[박정희]] 후보 득표율도 크게 상승해서 접전을 이루었다. 그 당시에는 농촌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승리하는데, 이 때부터 경기도의 [[여촌야도]]가 시작된 것이다. 하지만 이 때에도 여촌야도가 제대로 적용되지 못한 지역이 일부 있는데, 일부 농촌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승리한 것이다. 하지만 이 때부터 경기도가 본격적인 수도권 내 보수 강세 지역으로 우뚝 서기 시작했다. [[13대 대선]]부터는 구도가 완전히 바뀌기 시작했는데, [[노태우]] 후보가 4자 구도에서 41.4%를 득표하며 노태우 후보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수도권 내 보수 텃밭이라는 이미지도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14대 대선]]에서도 서울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승리했지만[* 다만 서울 역시 김영삼 후보와의 표 차이가 1%p에 불과했고, 정주영 후보와 박찬종 후보의 표차를 합치면 이 때는 보수진영이 서울에서도 앞섰다.][* [[14대 대선]]과 [[15대 대선]]에서는 제3지대 보수정당 후보 역시 경기도에서 제법 득표를 했다.] 경기도에서는 [[김영삼]] 후보가 승리하면서 역시 보수 강세 지역임을 보여주었다. [[15대 대선]], [[16대 대선]]에서는 [[김대중]], [[노무현]] 후보가 승리하면서[* [[15대 대선]]에서도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가 꽤 득표를 했다.] [[민주당계 정당]]으로 넘어가나 싶었지만, [[17대 대선]]에서는 전국의 대세를 따라 [[이명박]] 후보가 완승하였다. [[18대 대선]]에서는 서울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승리했지만, 경기도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승리하면서 2010년대에 와서도 여전히 수도권 내 보수 텃밭으로 남아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득표율 차이가 불과 50.4% : 49.2%로 1.2%에 그치면서 신도시 지역으로의 젊은 층의 유입으로 진보세 또한 강해졌음을 보여주었다. [[19대 대선]]에서는 전국의 대세를 따라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으며, 서울에서 42.3%, 경기도에서 42.1%를 기록하면서 서울 못지 않은 진보 강세 지역이 되었다. 한편 [[홍준표]] 후보의 득표율은 서울과 경기도에서 모두 [[안철수]] 후보에게조차 3위로 밀리면서 20.8%를 기록하였다. 서울 내 젊은층 인구가 경기도로 빠져나오면서 오히려 서울보다도 경기도의 진보세가 더 강해질 조짐까지 보이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더불어민주당이 거의 모든 지역을 쓸어담았다. 자유한국당은 도지사 선거에서는 [[가평군]]과 [[양평군]]에서만 앞섰고, 기초자치자체장 선거에서는 [[가평군]]과 [[연천군]]에서만 승리했으며, 광역비례에서는 '''전 지역 패배'''를 당하고 말았다. 이 선거의 충격은 [[21대 총선]]에서도 기존의 민주당 우위가 더욱 심화되어 더불어민주당이 59석 중 51석을 쓸어담았다. 미래통합당은 단 7석에 그쳐 경기도 외곽 지역의 기존 텃밭을 제외하면 기반이 거의 붕괴되었다. 특히 서울 근교의 신도시 인구 밀집 지역에서 1% 미만의 차이로 신승한 [[성남시 분당구 갑]]을 빼고 전패했다.[* 여담으로 홍준표는 지방선거에서 패배하면 총선에서도 패배한다는 말을 한 적이 있었는데, 지방선거에서 압도적으로 전패에 가까웠기 때문에, 지역 기반 자체가 붕괴되었고, 그 붕괴된 지역에서 다소 황당한 장소에서 유세 운동을 펼친 것도 영향을 끼쳤다. 특히 [[고양시 병]], [[고양시 정]] 지역에서 나온 미래통합당 후보 [[김영환(1955)|김영환]]과 [[김현아]]는 다른 곳도 아니고, [[풍산역]]에서 공동 유세를 하기도 했다. 그것도 유동 인구가 많은 [[백마역]]이나 [[일산역]]을 제끼고 말이다(...).] 한편 [[고양시 갑]]에서는 [[정의당]]의 [[심상정]] 의원이 거대양당과 [[무소속]]을 제외한 유일한 [[지역구]] 당선인이 되었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울에서는 [[오세훈]]이 압도적으로 당선되면서 1년만에 민심이 뒤집혔다. 서울과 마찬가지로 집값 문제에 예민한 경기도이기 때문에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가 예전보다는 낮아질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하지만 경기도지사를 역임한 [[이재명]]이 민주당의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는 이재명과 민주당의 지지도가 서울보다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대별로 봐도 경기도 신도시 지역에는 민주당 지지율이 높은 30~50대의 비율이 높고[* 다만 30대는 최근들어 민주당을 이탈하는 기류도 생기고 있고 무당층으로 가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지금도 계속 서울에서 경기도 신도시 쪽으로 30~50대 인구가 유입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경기도는 서울보다 민주당세가 강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1기 신도시 같은 경우는 연령대도 제법 높은데다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문제로 인해서 경합지역으로 갈 가능성도 있다. 20대 대선 결과 서울에서 [[윤석열]] 후보가 승리한 것과 달리 경기도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0.9% : 45.6%로 승리하면서 서울보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다만 생각보다 득표율이 덜 나와서 아쉽다는 반응을 내비친 민주당 지지자도 많았다.[* 성남, 고양, 수원 용인 등 100만권 도시들에선 윤석열 후보가 굉장히 선전했고 특히 용인, 성남에서는 소숫점차이로 승패가 결정될정도로 초접전수준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북부에선 굉장히 선전했으나,[* 민주당에게 사지와 마찬가지인 연천군, 가평군에선 역시나 패배했지만, 40% 정도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하였고 비슷한 험지 지역이었던 포천시에선 단 3%p차로 패배하며 선전했고, 기타 지역에선 모두 이겼다. 특히 운정신도시가 있는 파주시에선 53.30%를 찍으며 전통의 민주당 텃밭이던 서남부의 광명시보다도 더 높은 득표율이 나왔다.][* 경기북부에도 신도시들이 지어지면서 젊은층 인구가 늘어난 것이 가장 크며, 이재명이 도지사를 지내며 펼친 정책 중 하나가 [[경기도청#s-5.1|도내 공공기관 이전 정책]]이었는데 이를 통해 연천, 가평, 포천을 제외한 북부지역 모든 시군이 공공기관을 하나씩은 얻는 등 혜택을 입은 것의 영향도 있었다. 덕분에 대선에 출마한 역대 민주당 후보 중 경기도내 도농 표심 격차를 가장 많이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최대 표밭이자 민주당이 우세한 서남부에서 대체로 50%대 초중반에 그쳤기 때문.[* 이재명이 서남부에서 55%를 넘긴 지역은 시흥시(56.69%)와 안산시 상록구(55.17%) 뿐이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수원시에선 과반도 못얻었고 부천시, 광명시, 군포시, 오산시에서는 이기긴 했으나 55%를 넘지 못했다.] [[8회 지선]]에서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0.15%p(8,913표)차'''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경기도의회]]는 더불어민주당 78석 국민의힘 78석으로 '''동률'''이 되었다. 광역단체장이나 경기도의회 모두 사실상 '''동률'''로 시작하는 유례없는 일이 일어난 것이다.[* 사실은 [[여소야대]]에서 시작한다고 하는 게 더 맞는게, 가부가 동수면 부결처리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의장은 최연장자가 맡는 관례가 있는데, 제일 연장자가 국민의힘 소속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민의힘쪽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나오면서 민주당 염종현 도의원이 의장에 당선되었고 김동연 지사의 동력에 힘이 생겼다.] 또한 기초광역단체장에선 22:9으로 국힘이 압승을 거두었지만, 기초의회에선 더불어민주당이 넉넉히 앞서서 [[여소야대]]로 시작하는 기초의회가 상당수 생겼다. 최근에는 서울의 보수화와 더불어 1기신도시의 보수화가 눈에 띄는 편이다. 1기신도시의 경우 대부분 지어진지 30년이 넘는 아파트들이 태반이라 재건축 이슈가 고개를 들고 있고 최근에 지어지는 신도시들과는 다르게 임대비율이 낮고 대형평수가 많아서 의외로 서울의 양천구나 성동구, 광진구 같은 곳과 표심이 엇비슷하게 나오고 있다. 특히 8회 지선에서 기존에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던 고양과 군포, 안산[* 다만 여기는 민주당 소속 현역 시장이 공천 탈락 후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민주당 성향 표를 제대로 갈라먹은게 컸다. 그래도 지난 선거에서 27%였던 득표율이 46%까지 올랐다는 걸 감안하면 엄청난 발전이다.]에서 국민의힘이 시장을 배출하고 부천과 안양에서도 선전하면서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정치 지형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부천은 5%p 차이로 민주당이 가져갔지만 국힘 후보의 득표율은 오히려 당선인을 배출한 안산보다 더 높았다. 사실 부천도 민주당 소속 현역 시장이 공천에서 탈락한 상황이였는데 여기는 현역 시장이 경선 패배로 인해 후보 등록을 못한거라 안산과는 상황이 조금 달랐다. 만약 부천 역시 안산과 비슷한 상황이였다면 민주당이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웠울 것이다. 안양의 경우 현직 시장이 후보로 나섰기 때문에 현역 프리미엄으로 겨우겨우 지켰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표차이가 적었다.] 또한 광교신도시, 평촌신도시의 부동산 문제로 인해 수원시 영통구, 안양시 동안구 등 전통적인 민주당 강세 지역이 오히려 경합지로 변하기도 했다. 대신 평택, 용인시 처인구, 안성 등 보수 강세였던 지역이 개발로 외부인구가 유입되면서 민주당세가 강해지고 북한과 가까워 보수적이라고 여겨졌던 북부 지역도 파주, 의정부, 남양주 등의 인구급증으로 오히려 남부보다 민주당세가 강해지는 등 전통적인 서남부 vs 외곽이나 남부 vs 북부 구도[* 경기도에서 이 두 구도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났던 선거가 바로 2012년 [[18대 대선]]이다.] 대신 새로운 정치 지형이 형성되고 있다. 인구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진보세가 강할 것으로 예측되나 경기도 자체가 경제, 실리, 인물에 따라서 투표하는 경향이 강한데다가 전국에서 압도적인 최대 인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선거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스윙보터의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광역단체장/후보군, version=3154)] == 역대 경기도 선거 결과 == ||<|2> {{{#FFFFFF '''역대 1위 횟수'''}}} || {{{#ffffff '''민주당계 정당'''}}} || {{{#ffffff '''보수정당'''}}} || {{{#ffffff '''무소속'''}}} || || 18 || {{{#ffffff '''24'''}}} || 3 || [* 경기도에서 제1당이 받은 의석수와 득표율.][* 지방선거는 도지사 선거만 포함.] || '''역대 선거''' ||<-2> '''1위''' ||<-2> '''2위, 3위''' || || 1948년 총선 ||<-2> {{{#ffffff '''무소속 16석'''}}} ||<:>{{{#FFFFFF '''대한독립국민촉성회 7석'''}}} ||<:>{{{#FFFFFF '''대동청년단 3석'''}}} || || 1950년 총선 ||<-2> {{{#ffffff '''무소속 21석'''}}} ||<:>{{{#FFFFFF '''민주국민당 4석'''}}} ||<:>{{{#FFFFFF '''대한국민당 2석'''}}} || || 1952년 대선 ||<-2> {{{#ffffff '''이승만 87.7%'''}}} ||<-2><:>{{{#FFFFFF '''조봉암 6.0%'''}}} || || 1952년 부통령 ||<-2><:>{{{#FFFFFF '''함태영 45.6%'''}}} ||<-2><:>{{{#FFFFFF '''이범석 33.1%'''}}} || || 1954년 총선 ||<-2> {{{#ffffff '''자유당 15석'''}}} ||<:>{{{#FFFFFF '''무소속 7석'''}}} ||<:>{{{#FFFFFF '''민주국민당 1석'''}}} || || 1956년 대선 ||<-2> {{{#ffffff '''이승만 77.1%'''}}} ||<-2><:>{{{#FFFFFF '''조봉암 22.9%'''}}} || || 1956년 부통령 ||<-2> {{{#ffffff '''장면 44.9%'''}}} ||<-2><:>{{{#FFFFFF '''이기붕 42.3%'''}}} || || 1958년 총선 ||<-2> {{{#ffffff '''자유당 15석'''}}} ||<:>{{{#FFFFFF '''민주당 8석'''}}} ||<:>{{{#FFFFFF '''무소속 2석'''}}} || || 1960년 총선 ||<-2> {{{#ffffff '''민주당 14석'''}}} ||<-2><:>{{{#FFFFFF '''무소속 11석'''}}} || || 1960년 지선 ||<-2> {{{#ffffff '''신광균 26.7%'''}}} ||<:>{{{#FFFFFF '''김정렬 25.7%'''}}} ||<:>{{{#FFFFFF '''윤원선 18.0%'''}}} || || 1963년 대선 ||<-2> {{{#ffffff '''윤보선 56.9%'''}}} ||<-2><:>{{{#FFFFFF '''박정희 33.1%'''}}} || || 1963년 총선 ||<-2> {{{#ffffff '''민주공화당 7석'''}}} ||<:>{{{#FFFFFF '''민정당 5석'''}}} ||<:>{{{#FFFFFF '''민주당 1석'''}}} || || 1967년 대선 ||<-2> {{{#ffffff '''윤보선 52.6%'''}}} ||<-2><:>{{{#FFFFFF '''박정희 41.0%'''}}} || || 1967년 총선 ||<-2> {{{#ffffff '''민주공화당 10석'''}}} ||<-2><:>{{{#FFFFFF '''신민당 3석'''}}} || || 1971년 대선 ||<-2> {{{#ffffff '''김대중 49.5%'''}}} ||<-2><:>{{{#FFFFFF '''박정희 48.9%'''}}} || || 1971년 총선 ||<-2> {{{#ffffff '''민주공화당 11석'''}}} ||<:>{{{#FFFFFF '''신민당 4석'''}}} ||<:>{{{#FFFFFF '''민중당 1석'''}}} || || 1973년 총선 ||<-2> {{{#ffffff '''민주공화당 9석'''}}} ||<:>{{{#FFFFFF '''신민당 6석'''}}} ||<:>{{{#FFFFFF '''무소속 1석'''}}} || || 1978년 총선 ||<-2> {{{#ffffff '''민주공화당 8석'''}}} ||<:>{{{#FFFFFF '''신민당 7석'''}}} ||<:>{{{#FFFFFF '''무소속 1석'''}}} || || 1981년 총선 ||<-2> {{{#ffffff '''민주정의당 12석'''}}} ||<:>{{{#FFFFFF '''민주한국당 10석'''}}} ||<:>{{{#000000 '''신정당 1석'''}}} || || 1985년 총선 ||<-2> {{{#ffffff '''민주정의당 10석'''}}} ||<:>{{{#FFFFFF '''신한민주당 4석'''}}} ||<:>{{{#FFFFFF '''민주한국당 3석'''}}} || || 1987년 대선 ||<-2> {{{#ffffff '''노태우 41.4%'''}}} ||<:>{{{#FFFFFF '''김영삼 27 5%'''}}} ||<:>{{{#FFFFFF '''김대중 22.3%'''}}} || || 1988년 총선 ||<-2> {{{#ffffff '''민주정의당 16석'''}}} ||<:>{{{#FFFFFF '''신민주공화당 6석'''}}} ||<:>{{{#FFFFFF '''통일민주당 4석'''}}} || || 1992년 총선 ||<-2> {{{#ffffff '''민주자유당 18석'''}}} ||<:>{{{#FFFFFF '''민주당 8석'''}}} ||<:>{{{#FFFFFF '''통일국민당 5석'''}}} || || 1992년 대선 ||<-2> {{{#ffffff '''김영삼 36.3%'''}}} ||<:>{{{#FFFFFF '''김대중 32.0%'''}}} ||<:>{{{#FFFFFF '''정주영 23.1%'''}}} || || 1995년 지선 ||<-2> {{{#ffffff '''이인제 40.6%'''}}} ||<-2><:>{{{#FFFFFF '''장경우 29.6%'''}}} || || 1996년 총선 ||<-2> {{{#ffffff '''신한국당 18석'''}}} ||<:>{{{#FFFFFF '''새정치국민회의 10석'''}}} ||<:>{{{#FFFFFF '''자유민주연합 5석'''}}} || || 1997년 대선 ||<-2> {{{#ffffff '''김대중 38.5%'''}}} ||<:>{{{#FFFFFF '''이회창 35.5%'''}}} ||<:>{{{#FFFFFF '''이인제 23.6%'''}}} || || 1998년 지선 ||<-2> {{{#ffffff '''임창열 54.3%'''}}} ||<-2><:>{{{#FFFFFF '''손학규 45.7%'''}}} || || 2000년 총선 ||<-2> {{{#ffffff '''새천년민주당 22석'''}}} ||<:>{{{#FFFFFF '''한나라당 18석'''}}} ||<:>{{{#FFFFFF '''자유민주연합 1석'''}}} || || 2002년 지선 ||<-2> {{{#ffffff '''손학규 58.4%'''}}} ||<-2><:>{{{#FFFFFF '''진념 36.0%'''}}} || || 2002년 대선 ||<-2> {{{#ffffff '''노무현 50.7%'''}}} ||<-2><:>{{{#FFFFFF '''이회창 44.2%'''}}} || || 2004년 총선 ||<-2> {{{#ffffff '''열린우리당 35석'''}}} ||<-2><:>{{{#FFFFFF '''한나라당 14석'''}}} || || 2006년 지선 ||<-2> {{{#ffffff '''김문수 59.7%'''}}} ||<-2><:>{{{#FFFFFF '''진대제 30.8%'''}}} || || 2007년 대선 ||<-2> {{{#ffffff '''이명박 51.9%'''}}} ||<-2><:>{{{#FFFFFF '''정동영 23.6%'''}}} || || 2008년 총선 ||<-2> {{{#ffffff '''한나라당 32석'''}}} ||<:>{{{#FFFFFF '''통합민주당 17석'''}}} ||<:>{{{#FFFFFF '''무소속 1석'''}}} || || 2010년 지선 ||<-2> {{{#ffffff '''김문수 52.2%'''}}} ||<-2><:>{{{#000000 '''유시민 47.8%'''}}} || || 2012년 총선 ||<-2> {{{#ffffff '''민주통합당 29석'''}}} ||<:>{{{#FFFFFF '''새누리당 21석'''}}} ||<:>{{{#000000 '''통합진보당 2석'''}}} || || 2012년 대선 ||<-2> {{{#ffffff '''박근혜 50.4%'''}}} ||<-2><:>{{{#FFFFFF '''문재인 49.2%'''}}} || || 2014년 지선 ||<-2> {{{#ffffff '''남경필 50.4%'''}}} ||<-2><:>{{{#FFFFFF '''김진표 49.6%'''}}} || || 2016년 총선 ||<-2> {{{#ffffff '''더불어민주당 40석'''}}} ||<:>{{{#FFFFFF '''새누리당 19석'''}}} ||<:>{{{#000000 '''정의당 1석'''}}} || || 2017년 대선 ||<-2> {{{#ffffff '''문재인 42.1%'''}}} ||<:>{{{#FFFFFF '''안철수 22.9%'''}}} ||<:>{{{#FFFFFF '''홍준표 20 8%'''}}} || || 2018년 지선 ||<-2> {{{#ffffff '''이재명 56.4%'''}}} ||<-2><:>{{{#FFFFFF '''남경필 35.5%'''}}} || || 2020년 총선 ||<-2> {{{#ffffff '''더불어민주당 51석'''}}} ||<:>{{{#FFFFFF '''미래통합당 7석'''}}} ||<:>{{{#000000 '''정의당 1석'''}}} || || 2022년 대선 ||<-2> {{{#ffffff '''이재명 50.9%'''}}} ||<-2><:>{{{#FFFFFF '''윤석열 45.6%'''}}} || || 2022년 지선 ||<-2> {{{#ffffff '''김동연 49.1%'''}}} ||<-2><:>{{{#FFFFFF '''김은혜 48.9%'''}}} || == 최근 선거 결과 == === 대선 === ||<-8> {{{#FFFFFF '''경기도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4,428,151 [br] (50.94%)'''}}} || '''3,965,341 [br] (45.62%)''' || '''205,709 [br] (2.36%)''' || '''+ 462,810 [br] (△5.32)''' || '''8,763,727 [br] (76.65%)''' || || '''수원시''' || {{{#FFFFFF 385,312 [br] (50.02%)}}} || 356,927 [br] (46.33%) || 19,897 [br] (2.58%) || + 28,385 [br] (△3.69) || 77.47% || || '''성남시''' || {{{#FFFFFF 308,047 [br] (48.60%)}}} || 307,972 [br] (48.58%) || 12,932 [br] (2.04%) || + 75 [br] (△0.02) || 79.97% || || '''의정부시''' || {{{#FFFFFF 154,851 [br] (52.92%)}}} || 127,348 [br] (43.51%) || 6,788 [br] (2.31%) || + 27,503 [br] (△9.40) || 73.94% || || '''안양시''' || {{{#FFFFFF 187,871 [br] (49.92%)}}} || 175,699 [br] (46.69%) || 9,475 [br] (2.51%) || + 12,172 [br] (△3.23) || 80.39% || || '''부천시''' || {{{#FFFFFF 266,208 [br] (53.87%)}}} || 209,903 [br] (42.44%) || 13,249 [br] (2.50%) || + 60,896 [br] (△11.52) || 76.17% || || '''광명시''' || {{{#FFFFFF 103,470 [br] (52.50%)}}} || 87,112 [br] (44.20%) || 4,746 [br] (2.40%) || + 16,358 [br] (△8.30) || 80.31% || || '''평택시''' || {{{#FFFFFF 166,032 [br] (49.44%)}}} || 156,630 [br] (46.64%) || 7,988 [br] (2.37%) || + 9,402 [br] (△2.80) || 71.66% || || '''양주시''' || {{{#FFFFFF 75,236 [br] (52.12%)}}} || 63,800 [br] (44.20%) || 3,162 [br] (2.19%) || + 11,436 [br] (△7.92) || 73.76% || || '''동두천시''' || {{{#FFFFFF 28,495 [br] (49.96%)}}} || 26,434 [br] (46.34%) || 1,125 [br] (1.97%) || + 2,061 [br] (△3.61) || {{{#696969 70.96%}}} || || '''안산시''' || {{{#FFFFFF 225,083 [br] (54.71%)}}} || 171,259 [br] (41.63%) || 9,666 [br] (2.34%) || + 53,824 [br] (△13.08) || 73.60% || || '''고양시''' || {{{#FFFFFF 363,624 [br] (51.07%)}}} || 321,440 [br] (45.14%) || '''20,650 [br] (2.90%)''' || + 42,184 [br] (△5.92) || 77.79% || || '''과천시''' || {{{#696969 21,072 [br] (39.23%)}}} || {{{#FFFFFF '''30,934 [br] (57.59%)'''}}} || 1,314 [br] (2.44%) || {{{#696969 - 9,862 [br] (▼18.36)}}} || '''84.88%''' || || '''의왕시''' || {{{#FFFFFF 54,997 [br] (49.00%)}}} || 53,556 [br] (47.71%) || 2,717 [br] (2.42%) || + 1,441 [br] (△1.28) || 80.95% || || '''구리시''' || {{{#FFFFFF 63,465 [br] (50.10%)}}} || 58,865 [br] (46.47%) || 3,023 [br] (2.38%) || + 4,600 [br] (△3.63) || 77.72% || || '''남양주시''' || {{{#FFFFFF 239,179 [br] (52.32%)}}} || 203,075 [br] (44.42%) || 10,089 [br] (2.20%) || + 36,104 [br] (△7.90) || 75.72% || || '''오산시''' || {{{#FFFFFF 72,877 [br] (54.43%)}}} || 55,793 [br] (41.67%) || 3,352 [br] (2.50%) || + 17,084 [br] (△12.76) || 71.75% || || '''화성시''' || {{{#FFFFFF 283,324 [br] (52.69%)}}} || 236,055 [br] (43.90%) || 12,955 [br] (2.40%) || + 47,269 [br] (△8.79) || 77.00% || || '''시흥시''' || {{{#FFFFFF '''178,462 [br] (56.69%)'''}}} || {{{#696969 125,544 [br] (39.88%)}}} || 7,082 [br] (2.24%) || '''+ 52,918 [br] (△16.81)''' || 74.68% || || '''군포시''' || {{{#FFFFFF 94,891 [br] (52.29%)}}} || 80,277 [br] (44.23%) || 4,593 [br] (2.53%) || + 14,614 [br] (△8.05) || 79.64% || || '''하남시''' || {{{#FFFFFF 101,106 [br] (48.75%)}}} || 100,088 [br] (48.26%) || 4,624 [br] (2.22%) || + 1,018 [br] (△0.49) || 78.78% || || '''파주시'''[* 심상정 후보의 고향.] || {{{#FFFFFF 157,155 [br] (53.30%)}}} || 126,763 [br] (42.99%) || 7,176 [br] (2.43%) || + 30,392 [br] (△10.31) || 74.08% || || '''여주시''' || 30,695 [br] (42.66%) || {{{#FFFFFF 38,731 [br] (53.83%)}}} || 1,458 [br] (2.02%) || - 8,036 [br] (▼11.17) || 73.98% || || '''이천시''' || 63,562 [br] (46.68%) || {{{#FFFFFF 67,726 [br] (49.74%)}}} || 2,995 [br] (2.19%) || - 4,164 [br] (▼3.06) || 73.18% || || '''용인시''' || 336,628 [br] (48.28%) || {{{#FFFFFF 339,706 [br] (48.72%)}}} || 15,219 [br] (2.18%) || - 3,078 [br] (▼0.44) || 79.21% || || '''안성시''' || {{{#FFFFFF 56,723 [br] (48.84%)}}} || 54,799 [br] (47.19%) || 2,892 [br] (2.18%) || + 1,924 [br] (△1.66) || 72.25% || || '''김포시''' || {{{#FFFFFF 153,206 [br] (51.07%)}}} || 136,814 [br] (45.61%) || 6,905 [br] (2.30%) || + 16,392 [br] (△5.46) || 77.10% || || '''광주시''' || {{{#FFFFFF 130,220 [br] (53.54%)}}} || 105,675 [br] (43.45%) || 4,596 [br] (1.88%) || + 24,545 [br] (△10.09) || 74.82% || || '''포천시''' || 44,320 [br] (46.62%) || {{{#FFFFFF 47,306 [br] (49.76%)}}} || 1,903 [br] (2.00%) || - 2,986 [br] (▼3.14) || 72.75% || || '''연천군''' || 12,013 [br] (42.07%) || {{{#FFFFFF 15,325 [br] (53.67%)}}} || 604 [br] (2.01%) || - 3,322 [br] (▼13.54) || 78.06% || || '''양평군''' || 34,324 [br] (41.64%) || {{{#FFFFFF 45,487 [br] (55.18%)}}} || 1,662 [br] (2.07%) || - 11,163 [br] (▼17.09) || 76.43% || || '''가평군''' || 16,684 [br] (39.67%) || {{{#FFFFFF 23,870 [br] (56.76%)}}} || 872 [br] (2.11%) || - 7,186 [br] (▼11.60) || 76.43% || ---- ||<-8> {{{#FFFFFF '''경기도 이재명 득표율'''}}} || ||<-4> 상위 20개 읍·면·동 ||<-4> 하위 20개 읍·면·동 ||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 '''1위''' || '''시흥시''' || '''배곧1동''' || {{{#004EA2 '''60.73%'''}}} || 1위 || 여주시 || 금사면 || {{{#4169E1 29.37%}}} || || 2위 || 성남시 수정구 || 신흥1동 || {{{#004EA2 60.68%}}} || 2위 || 성남시 분당구 || 정자1동 || {{{#4169E1 31.08%}}} || || 3위 || 성남시 중원구 || 상대원3동 || {{{#004EA2 60.17%}}} || 3위 || 과천시 || 중앙동 || {{{#4169E1 34.00%}}} || || 4위 || 성남시 수정구 || 산성동 || {{{#004EA2 59.94%}}} || 4위 || 여주시 || 대신면 || {{{#4169E1 34.18%}}} || || 5위 || 시흥시 || 정왕3동 || {{{#004EA2 59.72%}}} || 5위 || 이천시 || 설성면 || {{{#4169E1 34.53%}}} || || 6위 || 안산시 상록구 || 일동 || {{{#004EA2 59.72%}}} || 6위 || 양평군 || 양동면 || {{{#4169E1 34.81%}}} || || 7위 || 성남시 중원구 || 은행1동 || {{{#004EA2 59.72%}}} || 7위 || 여주시 || 흥천면 || {{{#4169E1 34.98%}}} || || 8위 || 시흥시 || 정왕2동 || {{{#004EA2 59.51%}}} || 8위 || 가평군 || 설악면 || {{{#4169E1 35.04%}}} || || 9위 || 안산시 상록구 || 본오1동 || {{{#004EA2 59.38%}}} || 9위 || 가평군 || 북면 || {{{#4169E1 35.19%}}} || || 10위 || 성남시 수정구 || 수진1동 || {{{#004EA2 59.37%}}} || 10위 || 이천시 || 모가면 || {{{#4169E1 35.31%}}} || || 11위 || 안산시 단원구 || 와동 || {{{#004EA2 59.35%}}} || 11위 || 광주시 || 남종면 || {{{#4169E1 35.52%}}} || || 12위 || 성남시 수정구 || 양지동 || {{{#004EA2 59.32%}}} || 12위 || 용인시 수지구 || 성복동 || {{{#4169E1 35.65%}}} || || 13위 || 시흥시 || 정왕4동 || {{{#004EA2 59.21%}}} || 13위 || 양평군 || 청운면 || {{{#4169E1 35.90%}}} || || 14위 || 시흥시 || 정왕1동 || {{{#004EA2 59.05%}}} || 14위 || 양평군 || 강하면 || {{{#4169E1 36.33%}}} || || 15위 || 성남시 중원구 || 상대원1동 || {{{#004EA2 58.96%}}} || 15위 || 여주시 || 세종대왕면 || {{{#4169E1 36.68%}}} || || 16위 || 성남시 수정구 || 태평2동 || {{{#004EA2 58.84%}}} || 16위 || 성남시 분당구 || 이매2동 || {{{#4169E1 36.69%}}} || || 17위 || 성남시 수정구 || 태평4동 || {{{#004EA2 58.84%}}} || 17위 || 과천시 || 별양동 || {{{#4169E1 36.74%}}} || || 18위 || 성남시 중원구 || 상대원2동 || {{{#004EA2 58.73%}}} || 18위 || 포천시 || 화현면 || {{{#4169E1 36.77%}}} || || 19위 || 성남시 수정구 || 태평3동 || {{{#004EA2 58.48%}}} || 19위 || 연천군 || 장남면 || {{{#4169E1 36.83%}}} || || 20위 || 성남시 중원구 || 은행2동 || {{{#004EA2 58.40%}}} || 20위 || 연천군 || 청산면 || {{{#4169E1 36.83%}}} || ---- ||<-8> {{{#FFFFFF '''경기도 윤석열 득표율'''}}} || ||<-4> 상위 20개 읍·면·동 ||<-4> 하위 20개 읍·면·동 ||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순위 || 시·군·구 || 읍·면·동 || 득표율 || || '''1위''' || '''여주시''' || '''금사면''' || {{{#E61E2B '''68.67%'''}}} || 1위 || 시흥시 || 배곧1동 || {{{#FF6347 36.18%}}} || || 2위 || 성남시 분당구 || 정자1동 || {{{#E61E2B 66.92%}}} || 2위 || 성남시 수정구 || 신흥1동 || {{{#FF6347 36.35%}}} || || 3위 || 과천시 || 중앙동 || {{{#E61E2B 63.21%}}} || 3위 || 안산시 단원구 || 와동 || {{{#FF6347 36.44%}}} || || 4위 || 여주시 || 대신면 || {{{#E61E2B 62.51%}}} || 4위 || 성남시 중원구 || 은행1동 || {{{#FF6347 36.52%}}} || || 5위 || 이천시 || 설성면 || {{{#E61E2B 62.47%}}} || 5위 || 성남시 수정구 || 산성동 || {{{#FF6347 36.81%}}} || || 6위 || 용인시 수지구 || 성복동 || {{{#E61E2B 62.21%}}} || 6위 || 안산시 상록구 || 일동 || {{{#FF6347 36.82%}}} || || 7위 || 가평군 || 설악면 || {{{#E61E2B 62.17%}}} || 7위 || 시흥시 || 정왕2동 || {{{#FF6347 36.88%}}} || || 8위 || 이천시 || 모가면 || {{{#E61E2B 62.16%}}} || 8위 || 시흥시 || 정왕3동 || {{{#FF6347 37.00%}}} || || 9위 || 양평군 || 양동면 || {{{#E61E2B 62.08%}}} || 9위 || 안산시 상록구 || 본오1동 || {{{#FF6347 37.02%}}} || || 10위 || 여주시 || 흥천면 || {{{#E61E2B 61.90%}}} || 10위 || 성남시 중원구 || 상대원3동 || {{{#FF6347 37.03%}}} || || 11위 || 광주시 || 남종면 || {{{#E61E2B 61.59%}}} || 11위 || 시흥시 || 정왕1동 || {{{#FF6347 37.42%}}} || || 12위 || 가평군 || 북면 || {{{#E61E2B 61.58%}}} || 12위 || 시흥시 || 정왕4동 || {{{#FF6347 37.48%}}} || || 13위 || 성남시 분당구 || 이매2동 || {{{#E61E2B 61.33%}}} || 13위 || 성남시 수정구 || 양지동 || {{{#FF6347 37.54%}}} || || 14위 || 양평군 || 강하면 || {{{#E61E2B 61.24%}}} || 14위 || 성남시 수정구 || 수진1동 || {{{#FF6347 37.65%}}} || || 15위 || 양평군 || 청운면 || {{{#E61E2B 60.98%}}} || 15위 || 성남시 수정구 || 태평4동 || {{{#FF6347 37.76%}}} || || 16위 || 성남시 분당구 || 수내2동 || {{{#E61E2B 60.75%}}} || 16위 || 시흥시 || 정왕본동 || {{{#FF6347 37.98%}}} || || 17위 || 하남시 || 춘궁동 || {{{#E61E2B 60.37%}}} || 17위 || 성남시 수정구 || 태평2동 || {{{#FF6347 38.05%}}} || || 18위 || 안산시 단원구 || 대부동 || {{{#E61E2B 60.30%}}} || 18위 || 성남시 중원구 || 상대원1동 || {{{#FF6347 38.07%}}} || || 19위 || 여주시 || 세종대왕면 || {{{#E61E2B 60.29%}}} || 19위 || 성남시 중원구 || 상대원2동 || {{{#FF6347 38.29%}}} || || 20위 || 과천시 || 별양동 || {{{#E61E2B 60.17%}}} || 20위 || 시흥시 || 은행동 || {{{#FF6347 38.34%}}} || ==== 이전 대선과의 비교 ==== ||<-10> {{{#FFFFFF '''2017년 19대 대선 / 2022년 20대 대선 득표율 비교'''}}} || ||<|2> '''선거''' ||<-3>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3> {{{#FFFFFF '''범보수''' (자유한국당, 바른정당, 국민의힘)}}} ||<|2> '''격차''' || || '''19대 대선'''[* 문재인+심상정.] || '''20대 대선'''[* 이재명+심상정.] || '''증감률''' || '''19대 대선'''[* 홍준표+유승민.] || '''20대 대선'''[* 윤석열.] || '''증감률''' || || '''득표율''' || {{{#FFFFFF '''3,866,185 [br] (49.01%)'''}}} || {{{#FFFFFF '''4,633,860 [br] (53.31%)'''}}} || '''+ 767,675 [br] (△4.30)''' || '''2,177,368 [br] (27.60%)''' || '''3,965,341 [br] (45.62%)''' || '''+ 1,787,973 [br] (△18.02)''' || '''+ 668,519 [br] (+ 7.69%)''' || || '''수원시 팔달구''' || {{{#004EA2 47.26%}}} || {{{#004EA2 51.47%}}} || △4.21 || 29.27% || 47.28% || △18.01 || + 4.20 || || '''수원시 장안구''' || {{{#004EA2 49.97%}}} || {{{#004EA2 53.05%}}} || △3.08 || 26.76% || 45.84% || △19.08 || + 7.21 || || '''수원시 권선구''' || {{{#004EA2 50.08%}}} || {{{#004EA2 54.47%}}} || △4.39 || 26.33% || 44.31% || △17.98 || + 10.15 || || '''수원시 영통구''' || {{{#004EA2 '''54.75%'''}}} || {{{#004EA2 50.99%}}} || ▼3.76 || 23.59% || 48.22% || △24.63 || + 2.77 || || '''의정부시''' || {{{#004EA2 47.82%}}} || {{{#004EA2 55.23%}}} || △7.41 || 27.56% || 43.51% || △15.95 || + 11.72 || || '''고양시 덕양구''' || {{{#004EA2 52.47%}}} || {{{#004EA2 55.42%}}} || △2.95 || 25.57% || 43.64% || △18.07 || + 11.78 || || '''고양시 일산동구''' || {{{#004EA2 51.62%}}} || {{{#004EA2 52.17%}}} || △0.55 || 26.08% || 46.97% || △20.89 || + 5.20 || || '''고양시 일산서구''' || {{{#004EA2 52.42%}}} || {{{#004EA2 53.39%}}} || △0.97 || 25.58% || 45.78% || △20.20 || + 7.61 || || '''성남시 수정구''' || {{{#004EA2 49.39%}}} || {{{#004EA2 55.94%}}} || △6.55 || 25.33% || 43.08% || △17.75 || + 12.86 || || '''성남시 중원구''' || {{{#004EA2 49.46%}}} || {{{#004EA2 59.22%}}} || △9.76 || 24.89% || 39.69% || △14.80 || + 19.53 || || '''성남시 분당구''' || {{{#004EA2 47.53%}}} || 44.45% || ▼3.08 || 30.15% || {{{#E61E2B 55.00%}}} || △24.85 || - 10.55 || || '''부천시''' || {{{#004EA2 51.02%}}} || {{{#004EA2 56.47%}}} || △5.45 || 24.84% || 42.44% || △17.60 || + 14.03 || || '''안양시 만안구''' || {{{#004EA2 48.82%}}} || {{{#004EA2 53.63%}}} || △4.81 || 27.58% || 45.32% || △17.74 || + 8.31 || || '''안양시 동안구''' || {{{#004EA2 50.68%}}} || {{{#004EA2 51.55%}}} || △0.87 || 26.37% || 47.71% || △21.34 || + 3.84 || || '''안산시 상록구''' || {{{#004EA2 51.08%}}} || {{{#004EA2 57.49%}}} || △6.41 || {{{#696969 23.97%}}} || 41.16% || △17.19 || + 16.32 || || '''안산시 단원구''' || {{{#004EA2 50.41%}}} || {{{#004EA2 56.57%}}} || △6.16 || 24.55% || 42.16% || △17.61 || + 14.41 || || '''용인시 처인구''' || {{{#004EA2 44.44%}}} || {{{#004EA2 52.05%}}} || △7.61 || 31.18% || 46.64% || △15.46 || + 5.40 || || '''용인시 기흥구''' || {{{#004EA2 50.63%}}} || {{{#004EA2 52.04%}}} || △1.41 || 27.76% || 47.19% || △19.43 || + 4.85 || || '''용인시 수지구''' || {{{#004EA2 48.16%}}} || 47.61% || ▼0.55 || 30.57% || {{{#E61E2B 51.83%}}} || △21.26 || - 4.22 || || '''광명시''' || {{{#004EA2 51.49%}}} || {{{#004EA2 54.91%}}} || △3.42 || 24.26% || 44.20% || △19.94 || + 10.71 || || '''평택시''' || {{{#004EA2 45.75%}}} || {{{#004EA2 51.82%}}} || △6.07 || 30.14% || 46.64% || △16.50 || + 5.18 || || '''동두천시''' || {{{#004EA2 41.86%}}} || {{{#004EA2 51.93%}}} || △10.07 || 34.30% || 46.34% || △12.04 || + 5.59 || || '''구리시''' || {{{#004EA2 48.41%}}} || {{{#004EA2 52.49%}}} || △4.08 || 27.86% || 46.47% || △18.61 || + 6.02 || || '''과천시''' || {{{#004EA2 47.56%}}} || {{{#696969 41.68%}}} || {{{#696969 ▼5.88}}} || 30.51% || {{{#E61E2B '''57.59%'''}}} || '''△27.08''' || {{{#696969 '''- 15.92'''}}} || || '''남양주시''' || {{{#004EA2 48.25%}}} || {{{#004EA2 54.53%}}} || △6.28 || 28.11% || 44.42% || △16.31 || + 10.11 || || '''시흥시''' || {{{#004EA2 50.71%}}} || {{{#004EA2 '''58.94%'''}}} || △8.23 || 24.37% || {{{#696969 39.88%}}} || △15.51 || '''+ 19.06''' || || '''군포시''' || {{{#004EA2 51.29%}}} || {{{#004EA2 54.82%}}} || △3.53 || 25.69% || 44.23% || △18.54 || + 10.58 || || '''의왕시''' || {{{#004EA2 49.02%}}} || {{{#004EA2 51.42%}}} || △2.40 || 27.80% || 47.71% || △19.91 || + 3.70 || || '''오산시''' || {{{#004EA2 51.41%}}} || {{{#004EA2 56.93%}}} || △5.52 || 25.14% || 41.67% || △16.53 || + 15.26 || || '''하남시''' || {{{#004EA2 47.26%}}} || {{{#004EA2 50.98%}}} || △3.72 || 29.95% || 48.26% || △18.31 || + 2.72 || || '''파주시''' || {{{#004EA2 49.77%}}} || {{{#004EA2 55.74%}}} || △5.97 || 28.20% || 42.99% || △14.79 || + 12.74 || || '''이천시''' || {{{#004EA2 43.39%}}} || 48.88% || △5.49 || 34.00% || {{{#E61E2B 49.74%}}} || △15.74 || - 0.86 || || '''김포시''' || {{{#004EA2 48.22%}}} || {{{#004EA2 53.37%}}} || △5.15 || 28.57% || 45.61% || △17.04 || + 7.77 || || '''안성시''' || {{{#004EA2 44.36%}}} || {{{#004EA2 51.33%}}} || △6.97 || 31.23% || 47.19% || △15.96 || + 4.15 || || '''화성시''' || {{{#004EA2 52.72%}}} || {{{#004EA2 55.10%}}} || △2.38 || 24.74% || 43.90% || △19.16 || + 11.20 || || '''광주시''' || {{{#004EA2 46.86%}}} || {{{#004EA2 55.43%}}} || △8.57 || 29.04% || 43.45% || △14.41 || + 11.98 || || '''양주시''' || {{{#004EA2 44.89%}}} || {{{#004EA2 54.31%}}} || △9.42 || 30.92% || 44.20% || △13.28 || + 10.11 || || '''포천시''' || 36.81% || 48.62% || '''△11.81''' || {{{#C9151E 37.53%}}} || {{{#E61E2B 49.76%}}} || {{{#696969 △12.23}}} || - 1.14 || || '''여주시''' || 38.03% || 44.68% || △6.65 || {{{#C9151E 39.03%}}} || {{{#E61E2B 53.83%}}} || △14.80 || - 9.14 || || '''양평군''' || 36.11% || 43.65% || △7.54 || {{{#C9151E 41.05%}}} || {{{#E61E2B 55.18%}}} || △14.13 || - 11.53 || || '''가평군''' || {{{#696969 33.62%}}} || 41.75% || △8.13 || {{{#C9151E '''41.71%'''}}} || {{{#E61E2B 56.76%}}} || △15.05 || - 15.02 || || '''연천군''' || 35.02% || 44.19% || △9.17 || {{{#C9151E 40.27%}}} || {{{#E61E2B 53.67%}}} || △13.40 || - 9.49 || === 총선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 '''현재 국회의원 현황''' || ||[[파일:경기도국회의원선거 2020.png|width=350px]] || [[파일:경기국회현황.png|width=350px]] || ||<-10> {{{#ffffff '''경기도 개표 결과 (시·군·구별)'''}}} || ||<-4> {{{#ffffff '''국회의원'''}}} ||<-5>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 미래통합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더불어시민당|{{{#fff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fff 미래한국당}}}]] || [[정의당|{{{#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 열린민주당}}}]] || || '''의석수/비례1위''' || {{{#ffffff '''51석'''}}} || {{{#ffffff 7석}}} || {{{#000000 1석}}} || {{{#ffffff 19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24개 지역 우세(성남시, 용인시, 평택시, 동두천시, 안성시 추가)] }}} || 12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7개 우세(성남시, 용인시, 평택시, 동두천시, 안성시 제외)] || - || - || -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836,642 [br] (53.93%)'''}}} || '''2,925,564 [br] (41.12%)''' || '''135,020 [br] (1.89%)''' || {{{#ffffff '''2,398,041 [br] (34.72%)'''}}} || '''2,168,605 [br] (31.39%)''' || '''720,174 [br] (10.42%)''' || '''502,491 [br] (7.27%)''' || '''408,476 [br] (5.91%)''' || || '''수원시''' || {{{#004ea2 57.33%}}} || 39.08%[*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9.76%.] || 1.69% || {{{#006cb7 35.07%}}} || 30.20% || 10.84% || 8.12% || 5.98% || || '''의정부시''' || {{{#004ea2 54.66%}}}[*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8.49%.] || 38.18% || - || {{{#006cb7 35.94%}}} || 29.17% || 9.75% || 6.85% || 5.62% || || '''고양시''' || {{{#004ea2 47.21%}}} || 39.65% || '''11.25%''' || {{{#006cb7 32.42%}}} || 30.05% || '''14.63%''' || 7.43% || 6.67% || || '''성남시''' || {{{#004ea2 52.69%}}}[*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3.73%.] || 43.60% || 0.55% || 32.64% || {{{#ef426f 33.64%}}} || 9.12% || 8.33% || 6.17% || || '''부천시''' || {{{#004ea2 57.67%}}} || 36.34% || 4.93% || {{{#006cb7 38.26%}}} || 28.10% || 11.08% || 6.87% || 5.55% || || '''안양시''' || {{{#004ea2 54.28%}}} || 41.38% || 3.60% || {{{#006cb7 34.43%}}} || 31.57% || 11.67% || 7.47% || 5.78% || || '''안산시''' || {{{#004ea2 55.96%}}} || 41.55% || - || {{{#006cb7 37.77%}}} || 29.19% || 9.55% || 6.64% || 5.26% || || '''용인시''' || {{{#004ea2 52.93%}}} || 45.70% || 0.48% || 33.24% || {{{#ef426f 33.36%}}} || 9.37% || 7.97% || '''6.77%''' || || '''광명시''' || {{{#004ea2 55.90%}}}[*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9.44%.] || 33.74%[*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7.44%.] || - || {{{#006cb7 36.92%}}} || 28.36% || 10.29% || 7.43% || 6.18% || || '''평택시''' || {{{#004ea2 48.16%}}} || 47.54% || - || 32.88% || {{{#ef426f 34.56%}}} || 9.19% || 6.71% || 5.16% || || '''동두천시''' || 47.26% || {{{#ef426f 51.45%}}} || - || 33.03% || {{{#ef426f 36.86%}}} || 7.87% || 5.45% || 4.45% || || '''구리시''' || {{{#004ea2 58.64%}}} || 39.41% || - || {{{#006cb7 35.31%}}} || 31.57% || 9.97% || 7.31% || 5.77% || || '''과천시''' || 40.75% || {{{#ef426f 46.61%}}} || 4.40% || 26.73% || {{{#ef426f 35.48%}}} || 11.12% || '''9.51%''' || 6.43% || || '''남양주시''' || {{{#004ea2 55.20%}}} || 39.52%[*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2.32%.] || 0.87% || {{{#006cb7 35.71%}}} || 31.18% || 9.96% || 6.63% || 6.18% || || '''시흥시''' || {{{#004ea2 58.41%}}} || 39.09% || 1.53% || {{{#006cb7 '''39.09%'''}}} || {{{#696969 26.87%}}} || 11.06% || 6.79% || 5.72% || || '''군포시''' || {{{#004ea2 57.41%}}} || 40.37% || - || {{{#006cb7 35.88%}}} || 29.34% || 10.58% || 8.08% || 6.20% || || '''의왕시''' || {{{#004ea2 44.37%}}} || 34.69% || 2.98% || {{{#006cb7 32.60%}}} || 30.81% || 10.45% || 7.32% || 5.79% || || '''오산시''' || {{{#004ea2 56.71%}}} || 41.06% || - || {{{#006cb7 37.29%}}} || 28.93% || 10.34% || 6.92% || 5.43% || || '''하남시''' || {{{#004ea2 50.77%}}} || {{{#696969 33.24%}}}[*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8.71%.] || - || {{{#006cb7 33.75%}}} || 33.14% || 9.58% || 7.91% || 6.16% || || '''파주시''' || {{{#004ea2 58.35%}}} || 40.05% || - || {{{#006cb7 35.21%}}} || 30.91% || 10.54% || 6.51% || 6.00% || || '''이천시''' || 45.68% || {{{#ef426f 51.99%}}} || - || 31.09% || {{{#ef426f 38.39%}}} || 8.62% || 5.98% || 4.56% || || '''김포시''' || {{{#004ea2 53.37%}}}[*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7.30%.] || 41.56% || - || {{{#006cb7 35.38%}}} || 31.38% || 9.87% || 7.40% || 6.25% || || '''안성시''' || {{{#004ea2 51.44%}}} || 47.13% || - || 32.53% || {{{#ef426f 34.47%}}} || 9.79% || 5.90% || 4.87% || || '''화성시''' || {{{#004ea2 60.20%}}}[*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1.30%.] || 37.29% || - || {{{#006cb7 37.34%}}} || 27.89% || 10.53% || 8.17% || 6.39% || || '''광주시''' || {{{#004ea2 56.51%}}} || 42.44% || - || {{{#006cb7 35.94%}}} || 32.69% || 9.04% || 6.11% || 5.68% || || '''양주시''' || {{{#004ea2 '''62.64%'''}}} || 36.21% || - || {{{#006cb7 36.32%}}} || 31.65% || 9.08% || 5.87% || 5.24% || || '''포천시''' || {{{#004ea2 48.70%}}} || 48.10% || - || 30.12% || {{{#ef426f 39.95%}}} || 7.71% || 5.37% || 3.91% || || '''여주시''' || 41.78% || {{{#ef426f 52.95%}}} || 3.71% || 27.33% || {{{#ef426f 42.78%}}} || 9.76% || {{{#696969 4.75%}}} || 3.87% || || '''양평군''' || {{{#696969 38.79%}}} || {{{#ef426f 56.71%}}} || 3.43% || 25.78% || {{{#ef426f 43.92%}}} || 9.94% || 5.07% || 4.71% || || '''가평군''' || 42.32% || {{{#ef426f 54.89%}}} || - || {{{#696969 25.60%}}} || {{{#ef426f '''45.73%'''}}} || {{{#696969 7.29%}}} || 5.42% || 3.74% || || '''연천군''' || 40.78% || {{{#ef426f '''57.66%'''}}} || - || 27.84% || {{{#ef426f 42.82%}}} || 7.49% || 5.47% || {{{#696969 3.25%}}} || ||<-10> {{{#ffffff '''경기도 개표 결과 (지역구별)'''}}} || ||<-4> {{{#ffffff '''국회의원'''}}} ||<-5>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 미래통합당}}}]] || [[정의당|{{{#000 정의당}}}]] || [[더불어시민당|{{{#fff '''더불어시민당'''}}}]] || [[미래한국당|{{{#fff 미래한국당}}}]] || [[정의당|{{{#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 열린민주당}}}]] || || '''의석수/비례1위''' || {{{#ffffff '''51석'''}}} || {{{#ffffff 7석}}} || {{{#000000 1석}}} || {{{#ffffff 41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53개 지역 우세(수원시 병, 고양시 병, 용인시 갑, 용인시 병, 용인시 정, 평택시 갑, 평택시 을, 과천시·의왕시, 남양주시 병, 파주시 을, 안성시, 화성시 갑 추가)] }}} || 18개[* 열린민주당과 득표율 합산시 6개 우세(수원시 병, 고양시 병, 용인시 갑, 용인시 병, 용인시 정, 평택시 갑, 평택시 을, 과천시·의왕시, 남양주시 병, 파주시 을, 안성시, 화성시 갑 제외)] || - || - || -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836,642 [br] (53.93%)'''}}} || '''2,925,564 [br] (41.12%)''' || '''135,020 [br] (1.89%)''' || {{{#ffffff '''2,398,041 [br] (34.72%)'''}}} || '''2,168,605 [br] (31.39%)''' || '''720,174 [br] (10.42%)''' || '''502,491 [br] (7.27%)''' || '''408,476 [br] (5.91%)''' || || '''수원시 갑''' || {{{#ffffff 76,875 [br] (59.17%)}}} || 51,428 [br] (39.58%) || - || {{{#006cb7 35.35%}}} || 31.38% || 10.03% || 7.47% || 5.65% || || '''수원시 을''' || {{{#ffffff 84,500 [br] (60.68%)}}} || 53,334 [br] (38.30%) || - || {{{#006cb7 36.73%}}} || 29.15% || 10.66% || 7.50% || 5.61% || || '''수원시 병''' || {{{#ffffff 50,369 [br] (53.07%)}}} || 40,374 [br] (42.54%) || 2,408 [br] (2.53%) || 33.39% || {{{#ef426f 33.42%}}} || 9.68% || 7.13% || 5.39% || || '''수원시 정''' || {{{#ffffff 79,557 [br] (57.42%)}}} || 52,585 [br] (37.95%)[*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56,956표 (41.11%).] || - || {{{#006cb7 34.34%}}} || 29.26% || 11.00% || 9.56% || 6.92% || || '''수원시 무''' || {{{#ffffff 82,002 [br] (55.21%)}}} || 56,793 [br] (38.24%) || 8,653 [br] (5.82%) || {{{#006cb7 34.63%}}} || 30.19% || 12.12% || 8.46% || 5.82% || || '''의정부시 갑''' || {{{#ffffff 54,806 [br] (53.03%)[*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3,650표 (61.58%).]}}} || 38,644 [br] (37.39%) || - || {{{#006cb7 35.26%}}} || 30.61% || 9.29% || 6.37% || 5.30% || || '''의정부시 을''' || {{{#ffffff 71,573 [br] (55.98%)}}} || 49,640 [br] (38.83%) || - || {{{#006cb7 36.14%}}} || 29.10% || 9.85% || 7.20% || 5.50% || || '''고양시 갑''' || {{{#696969 39,268 [br] (27.36%)}}} || 47,003 [br] (32.75%) || {{{#000000 56,516 [br] (39.38%)}}} || {{{#006cb7 30.23%}}} || 28.68% || '''20.99%''' || 6.12% || 5.77% || || '''고양시 을''' || {{{#ffffff 80,739 [br] (52.47%)}}} || 55,032 [br] (35.76%) || 11,649 [br] (7.57%) || {{{#006cb7 33.24%}}} || 28.90% || 14.53% || 7.52% || 6.39% || || '''고양시 병''' || {{{#ffffff 80,068 [br] (54.26%)}}} || 65,981 [br] (44.72%) || - || 31.71% || {{{#ef426f 32.75%}}} || 11.98% || 7.91% || 6.74% || || '''고양시 정''' || {{{#ffffff 85,943 [br] (53.42%)}}} || 72,188 [br] (44.87%) || - || {{{#006cb7 33.55%}}} || 31.13% || 11.40% || 8.17% || 7.17% || || '''성남시 수정구''' || {{{#ffffff 76,830 [br] (60.31%)}}} || 45,617 [br] (35.81%) || - || {{{#006cb7 36.82%}}} || 29.19% || 8.83% || 7.19% || 5.65% || || '''성남시 중원구''' || {{{#ffffff 65,947 [br] (54.62%)}}} || 50,315 [br] (41.67%) || - || {{{#006cb7 38.53%}}} || 29.18% || 8.26% || 6.22% || 5.23% || || '''성남시 분당구 갑''' || 77,006 [br] (49.34%) || {{{#ffffff 78,134 [br] (50.06%)}}} || - || 28.54% || {{{#ef426f 37.32%}}} || 9.29% || 9.99% || 6.78% || || '''성남시 분당구 을''' || {{{#ffffff 68,387 [br] (47.94%)[*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74,049표 (51.91%).]}}} || 64,342 [br] (45.10%) || 3,021 [br] (2.11%) || 27.67% || {{{#ef426f 38.53%}}} || 9.71% || 9.52% || 6.42% || || '''부천시 갑''' || {{{#ffffff 48,002 [br] (59.17%)}}} || 29,266 [br] (36.07%) || 2,994 [br] (3.69%) || {{{#006cb7 39.17%}}} || 28.94% || 9.75% || 6.02% || 4.78% || || '''부천시 을''' || {{{#ffffff 80,889 [br] (54.90%)}}} || 58,341 [br] (39.60%) || 6,162 [br] (4.18%) || {{{#006cb7 36.78%}}} || 29.81% || 10.66% || 8.08% || 5.80% || || '''부천시 병''' || {{{#ffffff 77,577 [br] (60.55%)}}} || 41,642 [br] (32.50%) || 7,763 [br] (6.05%) || {{{#006cb7 37.81%}}} || 27.91% || 12.14% || 6.74% || 5.22% || || '''부천시 정''' || {{{#ffffff 49,552 [br] (56.74%)}}} || 32,094 [br] (36.75%) || 4,984 [br] (5.70%) || {{{#006cb7 39.35%}}} || 28.31% || 10.50% || 5.85% || 5.01% || || '''안양시 만안구''' || {{{#ffffff 75,266 [br] (53.60%)}}} || 59,438 [br] (42.33%) || 4,706 [br] (3.35%) || {{{#006cb7 35.37%}}} || 32.02% || 10.82% || 6.66% || 5.26% || || '''안양시 동안구 갑''' || {{{#ffffff 56,345 [br] (55.33%)}}} || 40,490 [br] (39.76%) || 4,344 [br] (4.26%) || {{{#006cb7 33.96%}}} || 31.67% || 11.73% || 7.89% || 5.83% || || '''안양시 동안구 을''' || {{{#ffffff 49,736 [br] (54.15%)}}} || 38,327 [br] (41.73%) || 2,980 [br] (3.24%) || {{{#006cb7 32.89%}}} || 32.04% || 12.75% || 8.35% || 6.10% || || '''안산시 상록구 갑''' || {{{#ffffff 59,021 [br] (58.55%)}}} || 38,367 [br] (38.06%) || - || {{{#006cb7 38.08%}}} || 28.86% || 9.37% || 6.65% || 5.28% || || '''안산시 상록구 을''' || {{{#ffffff 43,599 [br] (57.77%)}}} || 30,747 [br] (40.74%) || - || {{{#006cb7 38.21%}}} || 29.29% || 9.52% || 6.11% || 5.21% || || '''안산시 단원구 갑''' || {{{#ffffff 42,009 [br] (55.74%)}}} || 31,086 [br] (41.25%) || - || {{{#006cb7 38.43%}}} || 30.01% || 8.67% || 6.01% || 4.61% || || '''안산시 단원구 을''' || {{{#ffffff 42,150 [br] (51.32%)}}} || 38,497 [br] (46.87%) || - || {{{#006cb7 36.06%}}} || 30.78% || 10.30% || 7.60% || 5.23% || || '''용인시 갑''' || 60,357 [br] (45.93%) || {{{#ffffff 69,826 [br] (53.14%)}}} || - || 33.54% || {{{#ef426f 34.99%}}} || 8.62% || 6.28% || 5.38% || || '''용인시 을''' || {{{#ffffff 89,697 [br] (60.08%)}}} || 57,671 [br] (38.63%) || - || {{{#006cb7 35.65%}}} || 30.26% || 9.76% || 8.11% || 6.78% || || '''용인시 병''' || {{{#ffffff 84,492 [br] (51.55%)}}} || 78,562 [br] (47.94%) || - || 30.74% || {{{#ef426f 35.20%}}} || 9.42% || 9.23% || 7.33% || || '''용인시 정''' || {{{#ffffff 79,794 [br] (53.46%)}}} || 65,358 [br] (43.79%) || 2,890 [br] (1.93%) || 32.89% || {{{#ef426f 34.16%}}} || 9.34% || 8.00% || 6.98% || || '''광명시 갑''' || {{{#ffffff 43,019 [br] (47.66%)[*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9,439표 (54.78%).]}}} || 33,380 [br] (36.98%)[*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5,667표 (39.52%).] || - || {{{#006cb7 35.78%}}} || 30.02% || 9.39% || 7.08% || 5.66% || || '''광명시 을''' || {{{#ffffff 58,130 [br] (64.09%)}}} || {{{#696969 27,671 [br] (30.51%)[*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32,095표 (35.38%).]}}} || - || {{{#006cb7 37.97%}}} || 27.55% || 10.98% || 7.73% || 6.35% || || '''평택시 갑''' || {{{#ffffff 62,564 [br] (50.22%)}}} || 59,063 [br] (47.41%)[*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1,104표 (49.05%).] || - || 33.42% || {{{#ef426f 34.66%}}} || 9.27% || 6.77% || 4.97% || || '''평택시 을''' || 57,540 [br] (46.11%)[*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1,076표 (48.94%).] || {{{#ffffff 59,491 [br] (47.67%)[*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0,934표 (48.83%).]}}} || - || 32.06% || {{{#ef426f 35.52%}}} || 9.03% || 6.55% || 5.04% || || '''동두천시·연천군''' || 32,562 [br] (45.01%) || {{{#ffffff 38,777 [br] (53.61%)}}} || - || 31.24% || {{{#ef426f 38.92%}}} || 7.74% || 5.45% || 4.03% || || '''구리시''' || {{{#ffffff 64,668 [br] (58.64%)}}} || 43,456 [br] (39.41%) || - || {{{#006cb7 35.31%}}} || 31.57% || 9.97% || 7.31% || 5.77% || || '''과천시·의왕시''' || {{{#ffffff 58,938 [br] (43.38%)}}} || 51,556 [br] (37.95%) || - || 31.00% || {{{#ef426f 32.09%}}} || 10.63% || 7.92% || 5.97% || || '''남양주시 갑''' || {{{#ffffff 59,779 [br] (57.95%)}}} || 39,318 [br] (38.11%) || - || {{{#006cb7 36.42%}}} || 30.43% || 9.47% || 6.10% || 6.11% || || '''남양주시 을''' || {{{#ffffff 68,660 [br] (59.08%)}}} || 36,526 [br] (31.43%)[*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46,710표 (40.19%).] || - || {{{#006cb7 37.02%}}} || 30.00% || 9.77% || 6.86% || 6.18% || || '''남양주시 병''' || {{{#ffffff 71,776 [br] (50.07%)}}} || 67,490 [br] (47.08%) || 3,173 [br] (2.21%) || 33.65% || {{{#ef426f 34.20%}}} || 10.20% || 6.85% || 5.70% || || '''시흥시 갑''' || {{{#ffffff 68,653 [br] (51.71%)}}} || 59,595 [br] (44.89%) || 3,622 [br] (2.72%) || {{{#006cb7 37.88%}}} || 28.80% || 11.08% || 6.54% || 5.40% || || '''시흥시 을''' || {{{#ffffff '''69,270 [br] (67.02%)'''}}} || 32,700 [br] (31.63%) || - || {{{#006cb7 '''40.71%'''}}} || 25.10% || 10.96% || 7.20% || 5.78% || || '''군포시''' || {{{#ffffff 91,256 [br] (57.41%)}}} || 64,167 [br] (40.37%) || - || {{{#006cb7 35.88%}}} || 29.34% || 10.58% || 8.08% || 6.20% || || '''오산시''' || {{{#ffffff 61,926 [br] (56.71%)}}} || 44,834 [br] (41.06%) || - || {{{#006cb7 37.29%}}} || 28.93% || 10.34% || 6.92% || 5.43% || || '''하남시''' || {{{#ffffff 76,572 [br] (50.77%)}}} || 50,141 [br] (33.24%)[* 통합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73,467표 (48.71%).] || - || {{{#006cb7 33.75%}}} || 33.14% || 9.58% || 7.91% || 6.16% || || '''파주시 갑''' || {{{#ffffff 85,058 [br] (60.93%)}}} || 52,122 [br] (37.33%) || - || {{{#006cb7 36.35%}}} || 28.70% || 11.09% || 7.20% || 6.56% || || '''파주시 을''' || {{{#ffffff 48,569 [br] (54.33%)}}} || 39,588 [br] (44.29%) || - || 32.95% || {{{#ef426f 35.72%}}} || 9.34% || 5.47% || 4.59% || || '''이천시''' || 49,682 [br] (45.68%) || {{{#ffffff 56,544 [br] (51.99%)}}} || - || 31.09% || {{{#ef426f 38.39%}}} || 8.62% || 5.98% || 4.56% || || '''김포시 갑''' || {{{#ffffff 58,613 [br] (52.88%)[*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7,585표 (60.98%).]}}} || 42,660 [br] (38.49%) || - || {{{#006cb7 34.88%}}} || 31.53% || 10.17% || 7.80% || 6.10% || || '''김포시 을''' || {{{#ffffff 63,193 [br] (53.83%)}}} || 52,200 [br] (44.46%) || - || {{{#006cb7 35.53%}}} || 32.17% || 9.44% || 7.08% || 6.06% || || '''안성시''' || {{{#ffffff 49,721 [br] (51.44%)}}} || 45,554 [br] (47.13%) || - || 32.53% || {{{#ef426f 34.47%}}} || 9.79% || 5.90% || 4.87% || || '''화성시 갑''' || {{{#ffffff 58,689 [br] (49.65%)[* 민주당계 무소속 후보의 표를 합하면 63,192표 (53.46%).]}}} || 52,291 [br] (44.24%) || - || 33.51% || {{{#ef426f 34.97%}}} || 8.73% || 5.82% || 4.90% || || '''화성시 을''' || {{{#ffffff 98,612 [br] (64.53%)}}} || 52,802 [br] (34.55%) || - || {{{#006cb7 38.37%}}} || {{{#696969 23.99%}}} || 11.81% || '''10.75%''' || '''7.57%''' || || '''화성시 병''' || {{{#ffffff 88,793 [br] (64.45%)}}} || 47,377 [br] (34.38%) || - || {{{#006cb7 39.61%}}} || 26.55% || 10.62% || 7.49% || 5.93% || || '''광주시 갑''' || {{{#ffffff 53,221 [br] (56.14%)}}} || 40,469 [br] (42.69%) || - || {{{#006cb7 36.21%}}} || 32.92% || 9.08% || 6.16% || 5.12% || || '''광주시 을''' || {{{#ffffff 52,468 [br] (56.88%)}}} || 38,910 [br] (42.18%) || - || {{{#006cb7 34.71%}}} || 34.39% || 8.73% || 6.11% || 5.50% || || '''양주시''' || {{{#ffffff 69,905 [br] (62.64%)}}} || 40,414 [br] (36.21%) || - || {{{#006cb7 36.32%}}} || 31.65% || 9.08% || 5.87% || 5.24% || || '''포천시·가평군''' || 50,875 [br] (46.68%) || {{{#ffffff 54,771 [br] (50.25%)}}} || - || 28.68% || {{{#ef426f 41.79%}}} || {{{#696969 7.57%}}} || 5.39% || {{{#696969 3.86%}}} || || '''여주시·양평군''' || 51,574 [br] (40.17%) || {{{#ffffff '''70,575 [br] (54.97%)'''}}} || 4,574 [br] (3.56%) || {{{#696969 26.50%}}} || {{{#ef426f '''43.39%'''}}} || 9.86% || {{{#696969 4.92%}}} || 4.32% || ==== 이전 총선과의 비교 ==== * [[수원시/정치|수원시]], [[고양시/정치|고양시]], [[용인시/정치|용인시]] 지역구는 일반구와 불일치하는 선거구 획정이 있으므로 실제 행정구역으로 계산함. ||<-10> {{{#FFFFFF '''2016년 20대 총선 / 2020년 21대 총선(비례) 득표율 비교'''}}} || ||<-4> {{{#FFFFFF '''범진보'''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열린민주당)}}} ||<-1> {{{#FFFFFF '''중도''' (국민의당)}}} ||<-4> {{{#FFFFFF '''범보수''' (새누리당 →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 || '''선거''' || '''20대 총선'''[*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21대 총선'''[*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열린민주당] || '''증감률''' || '''20대 총선'''[* 국민의당] || '''20대 총선'''[* 새누리당] || '''21대 총선'''[* 미래한국당 + 국민의당] || '''증감률''' || '''격차''' || || '''득표율''' || {{{#FFFFFF '''1,952,920 [br] (34.62%)'''}}} || {{{#FFFFFF '''3,526,691 [br] (51.06%)'''}}} || '''+ 1,573,771 [br] {△16.44}''' || '''1,521,240 [br] (26.96%)''' || '''1,821,246 [br] (32.28%)''' || '''2,671,096 [br] (38.67%)''' || '''+ 849,850 [br] {△6.39}''' || '''855,595 [br] (+ 12.39%)''' || || '''수원시 팔달구''' || 34.78% || {{{#004EA2 48.48%}}} || △13.70 || {{{#696969 24.71%}}} || {{{#C9151E 34.87%}}} || 40.56% || △5.69 || + 7.92 || || '''수원시 장안구''' || {{{#1870B9 36.41%}}} || {{{#004EA2 51.39%}}} || △14.98 || {{{#696969 27.15%}}} || 30.86% || 38.62% || △7.76 || + 12.77 || || '''수원시 권선구''' || {{{#1870B9 36.50%}}} || {{{#004EA2 52.45%}}} || △15.95 || {{{#696969 25.98%}}} || 31.28% || 37.16% || △5.88 || + 15.29 || || '''수원시 영통구''' || {{{#1870B9 '''41.99%'''}}} || {{{#004EA2 53.35%}}} || △11.36 || 28.31% || {{{#696969 25.05%}}} || 38.23% || △13.18 || + 15.12 || || '''의정부시''' || 31.49% || {{{#004EA2 51.31%}}} || △19.82 || {{{#696969 28.43%}}} || {{{#C9151E 33.84%}}} || 36.03% || △2.19 || + 15.29 || || '''고양시 덕양구''' || {{{#1870B9 38.53%}}} || {{{#004EA2 '''56.57%'''}}} || △18.04 || {{{#696969 24.08%}}} || 31.32% || 34.62% || △3.30 || + 21.95 || || '''고양시 일산동구''' || {{{#1870B9 36.69%}}} || {{{#004EA2 50.86%}}} || △14.17 || {{{#696969 28.07%}}} || 29.75% || 40.28% || △10.53 || + 10.58 || || '''고양시 일산서구''' || {{{#1870B9 37.44%}}} || {{{#004EA2 51.99%}}} || △14.55 || {{{#696969 27.94%}}} || 29.53% || 39.38% || △9.85 || + 12.61 || || '''성남시 수정구''' || {{{#1870B9 35.65%}}} || {{{#004EA2 51.31%}}} || △15.66 || {{{#696969 28.18%}}} || 29.66% || 36.38% || △6.72 || + 14.93 || || '''성남시 중원구''' || {{{#1870B9 33.55%}}} || {{{#004EA2 52.03%}}} || △18.48 || {{{#696969 27.55%}}} || 32.91% || 35.41% || △2.49 || + 16.62 || || '''성남시 분당구''' || {{{#1870B9 35.31%}}} || 44.88% || {{{#696969 △9.57}}} || {{{#696969 28.14%}}} || 31.84% || {{{#EF426F 46.94%}}} || '''△15.11''' || - 2.06 || || '''부천시''' || {{{#1870B9 35.30%}}} || {{{#004EA2 54.90%}}} || △19.60 || 29.45% || {{{#696969 29.10%}}} || 34.98% || △5.88 || + 19.92 || || '''안양시 만안구''' || {{{#1870B9 34.58%}}} || {{{#004EA2 51.47%}}} || △16.89 || {{{#696969 27.03%}}} || 32.69% || 38.69% || △5.99 || + 12.78 || || '''안양시 동안구''' || {{{#1870B9 37.77%}}} || {{{#004EA2 52.21%}}} || △14.44 || {{{#696969 28.03%}}} || 28.71% || 39.30% || △10.59 || + 12.91 || || '''안산시 상록구''' || {{{#1870B9 33.53%}}} || {{{#004EA2 53.19%}}} || △19.66 || '''31.21%''' || 28.02% || 34.95% || △6.93 || + 18.24 || || '''안산시 단원구''' || {{{#1870B9 33.18%}}} || {{{#004EA2 51.91%}}} || △18.73 || {{{#696969 29.78%}}} || 31.00% || 36.82% || △5.81 || + 15.09 || || '''용인시 처인구''' || 30.09% || {{{#004EA2 47.55%}}} || △17.46 || {{{#696969 25.24%}}} || {{{#C9151E 38.15%}}} || 41.28% || △3.12 || + 6.27 || || '''용인시 기흥구''' || {{{#1870B9 37.98%}}} || {{{#004EA2 51.67%}}} || △13.69 || {{{#696969 27.20%}}} || 28.71% || 39.08% || △10.37 || + 12.59 || || '''용인시 수지구''' || {{{#1870B9 34.70%}}} || {{{#004EA2 47.80%}}} || △13.10 || {{{#696969 28.78%}}} || 31.37% || 44.07% || △12.71 || + 3.73 || || '''광명시''' || {{{#1870B9 37.32%}}} || {{{#004EA2 53.40%}}} || △16.08 || 28.73% || {{{#696969 27.84%}}} || 35.79% || △7.95 || + 17.61 || || '''평택시''' || 28.70% || {{{#004EA2 47.25%}}} || △18.55 || {{{#696969 26.86%}}} || {{{#C9151E 37.42%}}} || 41.27% || △3.85 || + 5.98 || || '''동두천시''' || 26.67% || {{{#004EA2 45.36%}}} || △18.69 || {{{#696969 24.12%}}} || {{{#C9151E 42.20%}}} || 42.32% || △0.11 || + 3.04 || || '''과천시''' || {{{#1870B9 33.49%}}} || 44.29% || △10.80 || {{{#696969 26.80%}}} || 30.36% || {{{#EF426F 45.00%}}} || △14.64 || - 0.70 || || '''구리시''' || 32.92% || {{{#004EA2 51.06%}}} || △18.14 || {{{#696969 27.48%}}} || {{{#C9151E 34.09%}}} || 38.88% || △4.79 || + 12.18 || || '''남양주시''' || {{{#1870B9 32.99%}}} || {{{#004EA2 51.87%}}} || △18.88 || {{{#696969 28.28%}}} || 32.34% || 37.81% || △5.47 || + 14.06 || || '''시흥시''' || {{{#1870B9 35.07%}}} || {{{#004EA2 55.88%}}} || '''△20.81''' || {{{#696969 27.14%}}} || 31.09% || {{{#696969 33.67%}}} || △2.58 || '''+ 22.21''' || || '''군포시''' || {{{#1870B9 35.58%}}} || {{{#004EA2 52.67%}}} || △17.09 || 30.21% || {{{#696969 28.49%}}} || 37.42% || △8.93 || + 15.25 || || '''의왕시''' || {{{#1870B9 34.87%}}} || {{{#004EA2 48.86%}}} || △13.99 || {{{#696969 27.46%}}} || 30.72% || 38.14% || △7.42 || + 10.72 || || '''오산시''' || {{{#1870B9 36.23%}}} || {{{#004EA2 53.08%}}} || △16.85 || {{{#696969 26.45%}}} || 30.18% || 35.85% || △5.68 || + 17.23 || || '''하남시''' || 30.89% || {{{#004EA2 49.50%}}} || △18.61 || {{{#696969 27.05%}}} || {{{#C9151E 36.51%}}} || 41.05% || △4.54 || + 8.45 || || '''파주시''' || {{{#1870B9 35.07%}}} || {{{#004EA2 51.76%}}} || △16.69 || {{{#696969 23.47%}}} || 34.02% || 37.43% || △3.40 || + 14.33 || || '''이천시''' || 30.50% || 44.28% || △13.78 || {{{#696969 20.21%}}} || {{{#C9151E 41.89%}}} || {{{#EF426F 44.37%}}} || △2.49 || - 0.10 || || '''김포시''' || 34.49% || {{{#004EA2 51.51%}}} || △17.02 || {{{#696969 24.88%}}} || {{{#C9151E 34.86%}}} || 38.79% || △3.93 || + 12.72 || || '''안성시''' || 30.29% || {{{#004EA2 47.20%}}} || △16.91 || {{{#696969 24.04%}}} || {{{#C9151E 38.79%}}} || 40.37% || △1.58 || + 6.83 || || '''화성시''' || {{{#1870B9 37.49%}}} || {{{#004EA2 54.26%}}} || △16.77 || {{{#696969 26.99%}}} || 29.35% || 36.06% || △6.72 || + 18.20 || || '''광주시''' || 34.25% || {{{#004EA2 50.67%}}} || △16.42 || {{{#696969 24.88%}}} || {{{#C9151E 34.55%}}} || 38.81% || △4.26 || + 11.86 || || '''양주시''' || 34.10% || {{{#004EA2 50.65%}}} || △16.55 || {{{#696969 21.42%}}} || {{{#C9151E 38.03%}}} || 37.53% || ▼0.50 || + 13.12 || || '''포천시''' || 25.35% || 41.74% || △16.39 || {{{#696969 21.09%}}} || {{{#C9151E 46.40%}}} || {{{#EF426F 45.33%}}} || {{{#696969 ▼1.07}}} || - 3.59 || || '''여주시''' || 25.75% || 40.97% || △15.22 || {{{#696969 19.46%}}} || {{{#C9151E 47.97%}}} || {{{#EF426F 47.53%}}} || ▼0.44 || - 6.56 || || '''양평군''' || 25.13% || 40.45% || △15.32 || {{{#696969 20.94%}}} || {{{#C9151E 46.85%}}} || {{{#EF426F 49.00%}}} || △2.14 || - 8.55 || || '''가평군''' || 21.63% || {{{#696969 36.64%}}} || △15.01 || {{{#696969 19.75%}}} || {{{#C9151E '''51.85%'''}}} || {{{#EF426F '''51.15%'''}}} || ▼0.70 || {{{#696969 '''- 14.51'''}}} || || '''연천군''' || 22.85% || 38.58% || △15.73 || {{{#696969 21.18%}}} || {{{#C9151E 48.98%}}} || {{{#EF426F 48.29%}}} || ▼0.69 || - 9.71 || === 지선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 8회 지방선거}}}]] 결과''' || '''현재 지방자치단체장 정당 현황'''[br](글자 뒤 배경은 지방선거 때 당선인의 정당) || ||[[파일:경기지선 2022.png|width=350px]] || [[파일:경기지선 2022.png|width=350px]] || ||<-10> {{{#ffffff '''경기도 개표 결과 (자치단체장)'''}}} || ||<-3> {{{#ffffff '''경기도지사'''}}} ||<-3> {{{#ffffff '''시장 · 군수'''}}}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 '''후보''' || [[김동연|{{{#ffffff '''김동연'''}}}]] || [[김은혜|{{{#ffffff 김은혜}}}]] || '''의석수''' || {{{#ffffff '''9석'''}}} || {{{#ffffff '''22석'''}}}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2,827,593 [br] (49.06%)'''}}} || '''2,818,680 [br] (48.91%)''' || '''득표수 [br] (득표율)''' || 2,732,028 [br] (47.78%) || {{{#ffffff '''2,951,384 [br] (51.61%)'''}}} || || '''수원시''' || {{{#FFFFFF 260,941 [br] (50.64%)}}} || 244,236 [br] (47.40%) || [[수원시장|{{{#000 '''수원시'''}}}]] || {{{#FFFFFF 258,456 [br] (50.28%)}}} || 255,528 [br] (49.71%) || || '''성남시''' || 207,206 [br] (46.21%) || {{{#FFFFFF 232,151 [br] (51.78%)}}} || '''성남시''' || 191,613 [br] (42.88%) || {{{#FFFFFF 250,022 [br] (55.96%)}}} || || '''의정부시''' || {{{#FFFFFF 92,465 [br] (49.70%)}}} || 89,731 [br] (48.23%) || '''의정부시''' || 85,326 [br] (45.93%) || {{{#FFFFFF 97,594 [br] (52.53%)}}} || || '''안양시''' || {{{#FFFFFF 131,860 [br] (49.84%)}}} || 127,940 [br] (48.36%) || '''안양시''' || {{{#FFFFFF 133,712 [br] (50.64%)}}} || 130,303 [br] (49.35%) || || '''부천시''' || {{{#FFFFFF 182,163 [br] (52.95%)}}} || 154,942 [br] (45.04%) || '''부천시''' || {{{#FFFFFF 180,005 [br] (52.49%)}}} || 162,895 [br] (47.50%) || || '''광명시''' || {{{#FFFFFF 72,415 [br] (52.39%)}}} || 63,270 [br] (45.77%) || '''광명시''' || {{{#ffffff 73,759 [br] (53.44%)}}} || 64,255 [br] (46.55%) || || '''평택시''' || 96,908 [br] (47.08%) || {{{#FFFFFF 104,256 [br] (50.65%)}}} || '''평택시''' || {{{#ffffff 107,159 [br] (52.08%)}}} || 98,566 [br] (47.91%) || || '''양주시''' || 45,206 [br] (48.07%) || {{{#FFFFFF 46,797 [br] (49.77%)}}} || '''양주시''' || 43,728 [br] (46.59%) || {{{#ffffff 48,002 [br] (51.14%)}}} || || '''동두천시''' || 17,338 [br] (44.34%) || {{{#FFFFFF 20,853 [br] (53.33%)}}} || '''동두천시''' || 16,792 [br] (43.01%) || {{{#ffffff 21,063 [br] (53.95%)}}} || || '''안산시''' || {{{#FFFFFF 133,984 [br] (51.97%)}}} || 118,175 [br] (45.84%) || '''안산시''' || 119,595 [br] (46.45%) || {{{#ffffff 119,776 [br] (46.52%)}}} || || '''고양시''' || {{{#FFFFFF 237,396 [br] (49.52%)}}} || 231,022 [br] (48.19%) || '''고양시''' || 214,590 [br] (44.85%) || {{{#ffffff 249,486 [br] (52.14%)}}} || || '''과천시''' || 18,126 [br] (42.81%) || {{{#FFFFFF 23,042 [br] (54.43%)}}} || '''과천시''' || 18,384 [br] (43.63%) || {{{#ffffff 23,746 [br] (56.36%)}}} || || '''의왕시''' || {{{#FFFFFF 39,383 [br] (49.34%)}}} || 38,873 [br] (48.70%) || '''의왕시''' || 35,302 [br] (44.30%) || {{{#ffffff 44,375 [br] (55.69%)}}} || || '''구리시''' || 42,564 [br] (48.78%) || {{{#FFFFFF 43,098 [br] (49.39%)}}} || '''구리시''' || 37,986 [br] (43.56%) || {{{#ffffff 47,168 [br] (54.09%)}}} || || '''남양주시''' || {{{#FFFFFF 147,630 [br] (49.83%)}}} || 143,096 [br] (48.30%) || '''남양주시''' || 137,915 [br] (46.55%) || {{{#ffffff 158,315 [br] (53.44%)}}} || || '''오산시''' || {{{#FFFFFF 42,038 [br] (51.07%)}}} || 38,577 [br] (46.87%) || '''오산시''' || 38,968 [br] (47.45%) || {{{#ffffff 40,723 [br] (49.59%)}}} || || '''화성시''' || {{{#FFFFFF 173,747 [br] (52.03%)}}} || 153,636 [br] (46.01%) || '''화성시''' || {{{#ffffff 176,631 [br] (53.03%)}}} || 156,386 [br] (46.96%) || || '''시흥시''' || {{{#FFFFFF '''104,762 [br] (54.19%)'''}}} || {{{#696969 84,897 [br] (43.91%)}}} || '''시흥시''' || {{{#ffffff '''106,468 [br] (55.54%)'''}}} || {{{#696969 85,217 [br] (44.45%)}}} || || '''군포시''' || {{{#FFFFFF 65,647 [br] (51.65%)}}} || 58,979 [br] (46.40%) || '''군포시''' || 62,821 [br] (49.55%) || {{{#ffffff 63,955 [br] (50.44%)}}} || || '''하남시''' || 66,362 [br] (47.88%) || {{{#FFFFFF 69,943 [br] (50.46%)}}} || '''하남시''' || 60,823 [br] (43.97%) || {{{#ffffff 77,493 [br] (56.02%)}}} || || '''파주시''' || {{{#FFFFFF 93,171 [br] (50.37%)}}} || 87,769 [br] (47.45%) || '''파주시''' || {{{#ffffff 92,512 [br] (50.14%)}}} || 91,981 [br] (49.85%) || || '''여주시''' || 18,598 [br] (37.38%) || {{{#ffffff 30,015 [br] (60.33%)}}} || '''여주시''' || 16,603 [br] (33.32%) || {{{#ffffff '''33,224 [br] (66.67%)'''}}} || || '''이천시''' || 37,422 [br] (42.84%) || {{{#ffffff 47,937 [br] (54.87%)}}} || '''이천시''' || 39,711 [br] (45.41%) || {{{#ffffff 47,729 [br] (54.58%)}}} || || '''용인시''' || 226,668 [br] (47.35%) || {{{#ffffff 243,307 [br] (50.83%)}}} || '''용인시''' || 213,162 [br] (44.62%) || {{{#ffffff 264,487 [br] (55.37%)}}} || || '''안성시''' || 36,515 [br] (45.32%) || {{{#ffffff 42,168 [br] (52.33%)}}} || '''안성시''' || {{{#ffffff 40,497 [br] (50.35%)}}} || 39,930 [br] (49.64%) || || '''김포시''' || 92,596 [br] (47.67%) || {{{#ffffff 98,054 [br] (50.48%)}}} || '''김포시''' || 86,798 [br] (44.79%) || {{{#ffffff 101,566 [br] (52.42%)}}} || || '''광주시''' || 72,344 [br] (47.97%) || {{{#ffffff 75,812 [br] (50.27%)}}} || '''광주시''' || 69,369 [br] (46.11%) || {{{#ffffff 81,061 [br] (53.88%)}}} || || '''포천시''' || 27,683 [br] (41.73%) || {{{#ffffff 36,951 [br] (55.70%)}}} || '''포천시''' || 31,743 [br] (47.66%) || {{{#ffffff 34,858 [br] (52.33%)}}} || || '''연천군''' || 8,541 [br] (38.49%) || {{{#ffffff 12,886 [br] (58.07%)}}} || '''연천군''' || 6,000 [br] (26.92%) || {{{#ffffff 10,580 [br] (47.46%)}}} || || '''양평군''' || 24,692 [br] (39.56%) || {{{#ffffff 36,357 [br] (58.26%)}}} || '''양평군''' || 28,298 [br] (45.33%) || {{{#ffffff 34,125 [br] (54.66%)}}} || || '''가평군''' || {{{#696969 11,222 [br] (34.80%)}}} || {{{#ffffff '''19,910 [br] (61.74%)'''}}} || '''가평군''' || {{{#696969 7,302 [br] (22.51%)}}} || {{{#ffffff 16,975 [br] (52.34%)}}} || ||<-7> {{{#000000 '''경기도 개표 결과 (광역의원)'''}}} || ||<-3> {{{#ffffff '''도의회의원'''}}} ||<-4> {{{#ffffff '''비례대표'''}}}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정의당|{{{#000 정의당}}}]] || [[기본소득당|{{{#19233c 기본소득당}}}]] || || '''의석수''' || {{{#ffffff '''78석'''}}} || {{{#ffffff '''78석'''}}} || '''2,605,942 [br] (45.42%)''' || {{{#ffffff '''2,875,636 [br] (50.12%)''' }}} || '''206,703 [br] (3.60%)''' || '''13,487 [br] (0.23%)''' || || '''수원시''' || 5 || {{{#e61e2b 7 }}} || 45.73% || {{{#e61e2b 48.84%}}} || 4.44% || 0.24% || || '''성남시''' || {{{#004ea2 4 }}} || {{{#e61e2b 4 }}} || 42.54% || {{{#e61e2b 52.99%}}} || 3.48% || 0.24% || || '''의정부시''' || {{{#004ea2 2 }}} || {{{#e61e2b 2 }}} || 46.40% || {{{#e61e2b 49.37%}}} || 3.28% || 0.19% || || '''안양시''' || {{{#004ea2 3 }}} || {{{#e61e2b 3 }}} || 45.87% || {{{#e61e2b 49.59%}}} || 3.85% || 0.21% || || '''부천시''' || {{{#004ea2 '''8''' }}} || 0 || {{{#004ea2 49.15%}}} || 45.82% || 4.28% || 0.25% || || '''광명시''' || {{{#004ea2 3 }}} || 1 || {{{#004ea2 48.63%}}} || 47.12% || 3.48% || 0.25% || || '''평택시''' || 2 || {{{#e61e2b 4 }}} || 43.92% || {{{#e61e2b 51.91%}}} || 3.17% || 0.26% || || '''양주시''' || 0 || {{{#e61e2b 2 }}} || 45.33% || {{{#e61e2b 51.23%}}} || 2.60% || 0.22% || || '''동두천시''' || {{{#004ea2 1 }}} || {{{#e61e2b 1 }}} || 42.85% || {{{#e61e2b 54.02%}}} || 2.12% || 0.34% || || '''안산시''' || {{{#004ea2 7 }}} || 1 || {{{#004ea2 48.82%}}} || 46.99% || 3.11% || 0.31% || || '''고양시''' || 5 || {{{#e61e2b 7 }}} || 44.75% || {{{#e61e2b 49.13%}}} || '''5.24%''' || 0.24% || || '''과천시''' || 0 || {{{#e61e2b 1 }}} || 37.31% || {{{#e61e2b 56.86%}}} || 4.51% || 0.19% || || '''의왕시''' || 0 || {{{#e61e2b 2 }}} || 44.87% || {{{#e61e2b 50.62%}}} || 3.54% || 0.23% || || '''구리시''' || 0 || {{{#e61e2b 2 }}} || 45.30% || {{{#e61e2b 50.86%}}} || 3.14% || 0.19% || || '''남양주시''' || {{{#004ea2 5 }}} || 2 || 46.65% || {{{#e61e2b 49.48%}}} || 3.21% || 0.18% || || '''오산시''' || {{{#004ea2 2 }}} || 0 || 47.84% || {{{#e61e2b 48.05%}}} || 3.35% || 0.22% || || '''화성시''' || {{{#004ea2 7 }}} || 1 || {{{#004ea2 48.25%}}} || 47.17% || 3.64% || 0.22% || || '''시흥시''' || {{{#004ea2 5 }}} || 0 || {{{#004ea2 '''50.75%'''}}} || {{{#696969 45.26%}}} || 3.25% || 0.23% || || '''군포시''' || {{{#004ea2 4 }}} || 0 || 47.55% || {{{#e61e2b 48.12%}}} || 3.58% || 0.21% || || '''하남시''' || 1 || {{{#e61e2b 2 }}} || 44.35% || {{{#e61e2b 51.87%}}} || 3.18% || 0.16% || || '''파주시''' || 2 || {{{#e61e2b 3 }}} || 46.85% || {{{#e61e2b 48.37%}}} || 3.84% || 0.25% || || '''여주시''' || 0 || {{{#e61e2b 2 }}} || 34.55% || {{{#e61e2b 62.05%}}} || 2.55% || 0.24% || || '''이천시''' || 0 || {{{#e61e2b 2 }}} || 40.20% || {{{#e61e2b 56.36%}}} || 2.60% || 0.26% || || '''용인시''' || 2 || {{{#e61e2b '''8''' }}} || 43.61% || {{{#e61e2b 52.54%}}} || 3.14% || 0.20% || || '''안성시''' || {{{#004ea2 1 }}} || {{{#e61e2b 1 }}} || 43.52% || {{{#e61e2b 52.33%}}} || 3.22% || 0.21% || || '''김포시''' || 1 || {{{#e61e2b 3 }}} || 45.06% || {{{#e61e2b 51.24%}}} || 2.99% || 0.20% || || '''광주시''' || 1 || {{{#e61e2b 3 }}} || 45.35% || {{{#e61e2b 51.09%}}} || 2.79% || 0.19% || || '''포천시''' || 0 || {{{#e61e2b 2 }}} || 40.13% || {{{#e61e2b 56.59%}}} || 2.29% || 0.33% || || '''연천군''' || 0 || {{{#e61e2b 1 }}} || 36.65% || {{{#e61e2b 59.45%}}} || 2.35% || '''0.75%''' || || '''양평군''' || 0 || {{{#e61e2b 2 }}} || 36.95% || {{{#e61e2b 58.98%}}} || 3.25% || 0.23% || || '''가평군''' || 0 || {{{#e61e2b 1 }}} || {{{#696969 33.34%}}} || {{{#e61e2b '''62.80%'''}}} || 2.52% || 0.59% || || '''지역구 합''' || {{{#004ea2 '''71석'''}}} || '''70석''' || '''7석''' || {{{#e61e2b '''8석'''}}} || '''0석''' || '''0석''' || ||<-7> {{{#ffffff '''경기도 개표 결과 (기초의원 · 교육감)'''}}} || ||<:><-5> {{{#FFFFFF '''구의회의원'''}}} ||<:><-2> {{{#FFFFFF '''교육감'''}}}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 [[진보당(2020년)|{{{#fff 진보당}}}]] ||<:> [[무소속|{{{#fff 무소속}}}]] ||<:>[[성기선|{{{#FFFFFF 성기선}}}]] ||<:>[[임태희|{{{#FFFFFF '''임태희'''}}}]] || || '''의석수/득표수[br](득표율)''' || {{{#ffffff '''232석'''}}} || {{{#ffffff 229석}}} || {{{#ffffff 1석}}} || {{{#ffffff 1석}}} || '''2,541,864 [br] (45.20%)''' || {{{#ffffff '''3,081,100 [br] (54.79%)'''}}} || || '''수원시''' || '''16''' || {{{#ffffff '''20'''}}} || '''1''' || 0 || 45.81% || {{{#e61e2b 54.18%}}} || || '''성남시''' || '''16''' || {{{#ffffff '''18'''}}} || 0 || 0 || 42.60% || {{{#e61e2b 57.39%}}} || || '''의정부시''' || {{{#ffffff '''8'''}}} || '''5''' || 0 || 0 || 46.50% || {{{#e61e2b 53.49%}}} || || '''안양시''' || {{{#ffffff '''11'''}}} || '''9''' || 0 || 0 || 45.74% || {{{#e61e2b 54.26%}}} || || '''부천시''' || {{{#ffffff '''15'''}}} || '''12''' || 0 || 0 || '''48.75%''' || {{{#e61e2b 51.24%}}} || || '''광명시''' || {{{#ffffff '''6'''}}} || '''5''' || 0 || 0 || 48.68% || {{{#e61e2b 51.31%}}} || || '''평택시''' || {{{#ffffff '''10'''}}} || '''8''' || 0 || 0 || 44.56% || {{{#e61e2b 55.43%}}} || || '''양주시''' || {{{#ffffff '''4'''}}} || {{{#ffffff '''4'''}}} || 0 || 0 || 43.02% || {{{#e61e2b 56.97%}}} || || '''동두천시''' || '''3''' || {{{#ffffff '''4'''}}} || 0 || 0 || 40.88% || {{{#e61e2b 59.11%}}} || || '''안산시''' || {{{#ffffff '''11'''}}} || '''9''' || 0 || 0 || 46.74% || {{{#e61e2b 53.25%}}} || || '''고양시''' || {{{#ffffff '''17'''}}} || {{{#ffffff '''17'''}}} || 0 || 0 || 46.36% || {{{#e61e2b 53.63%}}} || || '''과천시''' || '''2''' || {{{#ffffff '''5'''}}} || 0 || 0 || 40.85% || {{{#e61e2b 59.14%}}} || || '''의왕시''' || {{{#ffffff '''3'''}}} || '''2''' || 0 || 0 || 45.01% || {{{#e61e2b 54.98%}}} || || '''구리시''' || {{{#ffffff '''5'''}}} || '''3''' || 0 || 0 || 45.52% || {{{#e61e2b 54.77%}}} || || '''남양주시''' || '''10''' || {{{#ffffff '''11'''}}} || 0 || 0 || 45.72% || {{{#e61e2b 54.27%}}} || || '''오산시''' || {{{#ffffff '''5'''}}} || '''2''' || 0 || 0 || 46.53% || {{{#e61e2b 53.46%}}} || || '''화성시''' || {{{#ffffff '''13'''}}} || '''12''' || 0 || 0 || 47.44% || {{{#e61e2b 52.55%}}} || || '''시흥시''' || {{{#ffffff '''9'''}}} || '''7''' || 0 || 0 || 46.30% || {{{#e61e2b 53.69%}}} || || '''군포시''' || {{{#ffffff '''6'''}}} || '''3''' || 0 || 0 || 46.33% || {{{#e61e2b 53.66%}}} || || '''하남시''' || {{{#ffffff '''5'''}}} || {{{#ffffff '''5'''}}} || 0 || 0 || 43.79% || {{{#e61e2b 56.20%}}} || || '''파주시''' || {{{#ffffff '''8'''}}} || '''7''' || 0 || 0 || 47.53% || {{{#e61e2b 52.46%}}} || || '''여주시''' || '''3''' || {{{#ffffff '''4'''}}} || 0 || 0 || 38.51% || {{{#e61e2b 61.48%}}} || || '''이천시''' || '''3''' || {{{#ffffff '''6'''}}} || 0 || 0 || 40.31% || {{{#e61e2b 59.68%}}} || || '''용인시''' || {{{#ffffff '''17'''}}} || '''15''' || 0 || 0 || 43.89% || {{{#e61e2b 56.10%}}} || || '''안성시''' || '''3''' || {{{#ffffff '''5'''}}} || 0 || 0 || 41.44% || {{{#e61e2b 58.55%}}} || || '''김포시''' || {{{#ffffff '''7'''}}} || {{{#ffffff '''7'''}}} || 0 || 0 || 44.51% || {{{#e61e2b 55.48%}}} || || '''광주시''' || {{{#ffffff '''6'''}}} || '''5''' || 0 || 0 || 43.88% || {{{#e61e2b 56.11%}}} || || '''포천시''' || {{{#ffffff '''3'''}}} || {{{#ffffff '''3'''}}} || 0 || '''1''' || 40.06% || {{{#e61e2b 59.93%}}} || || '''연천군''' || '''2''' || {{{#ffffff '''5'''}}} || 0 || 0 || 38.54% || {{{#e61e2b 61.45%}}} || || '''양평군''' || '''2''' || {{{#ffffff '''5'''}}} || 0 || 0 || 40.21% || {{{#e61e2b 59.78%}}} || || '''가평군''' || '''3''' || {{{#ffffff '''4'''}}} || 0 || 0 || {{{#696969 36.84%}}} || {{{#e61e2b '''63.15%'''}}} || || '''지역구 합''' || {{{#004ea2 '''208석'''}}} || '''196석''' || '''1석''' || '''1석''' || || '''비례표''' || 24석 || {{{#e61e2b '''33석'''}}} || 0 || 0 || [[분류:경기도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