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구광역시 서구의 고등학교)] ||<-2> {{{+3 '''경덕여자고등학교'''}}}[br] {{{+1 慶德女子高等學校}}}[br]'''Kyungduk girls high school''' || ||<-2> [[파일:경덕여자고등학교 교표.jpg|width=40%]] || || '''분류''' || [[공립]] [[일반계고등학교]] || || '''개교''' || [[1983년]] ||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 '''교장''' || 한숙원 || || '''교훈''' || '''바르고 슬기롭고 부지런한 사람이 되자''' || || '''상징''' || 교목: [[은행나무]][br]교화: [[개나리]] || || '''학생 수''' || 418명[*기준 2023학년도] || || '''교직원 수''' || 58명[*기준] || ||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교육청]] || || '''주소''' || [[대구광역시]] [[서구(대구)|서구]] 국채보상로 34길 50 || ||<-2> [[http://www.kyungduk.hs.kr/index.do|홈페이지]] || ||<-2> [include(틀:지도, 장소=경덕여자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 [[서구(대구)|서구]] 국채보상로 34길 50번지에 위치한 [[공립]] [[여자고등학교]]. 부를 때의 명칭은 대부분 줄임말인 '''경덕여고'''로 부른다. == 연혁 == 1983-01-10 : 경덕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36학급) 1983-03-01 : 초대 손승목 교장 취임 1983-03-05 : 제1회 입학식 거행(724명 입학) 1983-09-23 : 개교 기념식 거행 1990-07-06 : 제 15대 육군 참모총장기 쟁탈 전국 사격 대회 단체 우승 1998-10-16 : 제80회 전국체육대회 공기권총부문 단체 2위 입상 2003-04-26 : 제33회 봉황기 전국사격대회 공기권총 단체 우승 2003-10-15 : 제84회 전국체전 사격부 단체전 금메달, 하키부 동메달 획득 2003-10-23 : 경덕관(강당 겸 체육관) 준공식 2004-06-10 : 제 33 회 문화관광부 전국사격대회 25m 단체우승 2004-09-23 : 디지털 도서관 개관 2005-02-25 : 잔디 우레탄 운동장 완공 2007-12-26 : 학교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2009-08-27 : 급식관 준공 2014-01-15 : 대구광역시 학교평가 최우수 학교 표창 2015-03-18 : 2015년 SW교육 선도학교 선정(한국과학창의재단) 2018-02-08 : 제33회 졸업식(졸업생 328명, 총 18,060명) 2022-03-02 :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운영 == 학교 상징 == ||교목||[[은행나무]]|| ||교화||[[개나리]]|| == 특징 == 대구 서구 관내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중 유일한 여학교이다.[* 남학교는 [[두류역]]과 가까운 [[달성고등학교]]가 있다.] 소재지의 주소가 서구이듯, 서구 관내의 여러 중학교에서 진학 하기도 하지만 [[달서구]] 용산1동, 죽전동, 감삼동에 거주 하는 여학생들 또한 [[경덕여고]]로 배정 받는다. 물론 도보로 등하교 하기에 거리가 좀 멀다 싶은 학생들은 [[시내버스]]를 이용해 등하교 있다.[* 523번을 저녁 6시 이후에 타면 죽전그린빌 정류소에서 10~15명쯤 되는 인원이 우르르 내리는 걸 볼 수 있다. 노선 개편 이전에는 202(-1)을 이용해 용산종합큰시장까지 걷지 않고도 편하게 갔지만 202(-1)번의 폐지로 망했다. ][* 202(-1)번과 서구1(-1)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경덕여고 학생들이 202(-1) 폐지로 인한 가장 큰 피해자인 걸 알 수 있다. 거기다 느려터지고 혼잡한 523 때문에 졸지에 급행5를 이용 하면서 요금을 삥뜯기고 있는 셈. 노선 개편 하면서 학생들을 가장 배려했다고 말했지만 실상은 두 노선을 제거해 버리고 대체 노선은 느리고 혼잡하게 만들어 교묘하게 요금을 갈취해 가는 버스운영과였다.] 아예 운동겸 비용절감겸 서구에서 달서구 관내까지 도보로 30~40분을 소요해가며 등하교 하는 학생들도 제법 있는 편. 달서구 거주 학생이라면 [[성서고등학교|성서고교]], [[성산고등학교(대구)|성산고교]]로 배정될 가능성이 있지만 달서구의 용산동, 죽전동, 감삼동은 사실상 서구 관내와 더 근접하고 교통망도 경덕여고와 잘 이어지는 편이고 이 행정동들이 과거에는 서구에 속하는 곳이었기 때문에 전체 학생 수에서 의외로 달서구 거주 인원의 비율이 꽤 되는 편이다. 연혁을 보면 알겠지만 각종 수상 분야 중 권총 종목에 상당한 실력을 가진 학교다. 근처에 중리중학교와 달서초등학교가 있다. 인접 여고인 경화여고, 원화여고, 송현여고, 효성여고와 협약을 맺고 있어 총 5개 학교가 번갈아가며 두 학교씩 학생들이 각종 학습 활동을 한다. 연계 가능한 시내버스 노선들이 기능이 약하거나 급행 노선이라 재학생들이 이용하기 무척 힘들었고 민원이 많았음에도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결국 원화여고처럼 자체 통학버스를 전세버스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아침 7시 전후 시간대 서재 및 세천쪽에서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학교측과의 계약인지 원거리 학생들의 학부모들이 협의한 것인지는 불명. 최근에 학교 운동장에 의자를 설치하여 점심시간에 인기가 엄청 많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시내버스]] === ||경덕여고 앞||[[대구 버스 523|523]], 서구1-1|| ||경덕여고 건너||523,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 ※ 경덕여고 정류소들은 사실 중리중학교와 더 가까이 있다. ||삼익뉴타운 앞||[[대구 버스 급행5|급행5]], [[대구 버스 405|405]], [[대구 버스 524|524]]|| ||삼익뉴타운 건너||급행5, 405, 524|| ||중리광명맨션 앞||405, 523, 524, 서구1-1|| ||중리광명맨션 건너||405, 523, 524, 서구1|| ||중리[[롯데캐슬]][* 중리롯데캐슬로 등록된 정류소가 매우 많다. 중리롯데캐슬 서편과 건너는 조만간 상중이동 [[주민센터]]가 신축 확정 되면 정류소 명칭이 상중이동 주민센터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서편|| 524, [[대구 버스 726|726]], [[대구 버스 750|750]], 서구1-1|| ||중리롯데캐슬건너||524, 726, 750, 서구1|| ||퀸스로드 앞(동편)||524, 726, 750, 서구1|| ||퀸스로드 건너(동편)||524, 726, 750, 서구1-1|| ||중리롯데캐슬앞(북편)||[[대구 버스 240|240]], 726,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중리시장앞||240, 726, 급행1|| ※ [[대구 버스 202, 202-1|202(-1)]], [[대구 버스 402|402]]는 경덕여고 학생들의 이용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경덕여고의 스쿨버스 같은 존재였으나 안타깝게도 폐지됐다.[br]202(-1)는 중리롯데캐슬 건너, 서편, 퀸스로드 동편, 402는 삼익뉴타운, 중리광명맨션에서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었다. === [[도시철도]]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감삼역]], [[두류역]] == 출신 인물 == * [[문복희]]([[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박소진]] * [[손화민]] * [[하재숙]](배우) * [[한하나]](배우) [[분류:1983년 개교]][[분류:대구광역시의 여자고등학교]][[분류:서구(대구)의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