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fd400 '''경복궁 수정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조선 왕궁의 편전)]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1601~1800호|{{{#fff 대한민국의 보물}}}]]''' || || 1759호 ||<|2> ← || '''1760호''' ||<|2> → || 1761호 || || [[경복궁 사정전]] || '''경복궁 수정전''' || [[경복궁 향원정]] || ---- }}} || ---- ||<-2>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보물|{{{#f39100 대한민국 보물 제1760호}}}]]''' || ||<-2> {{{#fff {{{+1 '''경복궁 수정전'''}}}[br]{{{-1 景福宮 修政殿}}}}}}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경복궁 수정전,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 || '''{{{#fff 수량}}}''' || 1동 || || '''{{{#fff 지정연도}}}''' || 2012년 3월 2일 || || '''{{{#fff 제작시기}}}''' || [[조선시대]], 1867년 창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yourstage.com/jiphyu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_수정전_전경.jpg|width=100%]]}}} || || {{{#gold '''수정전[*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1382&ccbaKdcd=12&ccbaAsno=1760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1 景福宮 修政殿}}} [[경복궁]]의 편전 중 하나이다. [[경복궁 경회루|경회루]]의 바로 남쪽, [[경복궁 근정전|근정전]]의 서쪽에 있으며 남향이다. [[궁]] 내 관청인 궐내각사와 [[임금]]이 머무는 [[내전]] 사이에 있어 [[왕]]과 [[신하]]들이 만나기 편한 곳이었다. == 이름 == '수정(修政)' 뜻은 '정사(政)를 잘 수행(修)한다'이다. [[현판]] [[글씨]]는 건립 당시 [[도승지]]였던 조석원(曺錫元, 1817~ ?)이 썼다. == 역사 == [[조선시대|조선 초기]]에는 없었고 수정전 언저리에 그 유명한 [[집현전]]이 있었다.[* 확실하게 현재 수정전 자리라고 단정할 수 없어 그 언저리라고 표현하였다.] 수정전 자체는 1867년([[고종(대한제국)|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처음 지었으며 [[경복궁 사정전|사정전]]과 함께 편전의 용도로 사용되었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1456A_0060_000_0190&solrQ=query%E2%80%A0%E4%BF%AE%E6%94%BF%E6%AE%BF$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BT_AA$solr_toalCount%E2%80%A03$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BT_1456A_0060_000_0190|#]][[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12_09A_23A_00170&solrQ=query%E2%80%A0%E4%BF%AE%E6%94%BF%E6%AE%BF$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ST_AA$solr_toalCount%E2%80%A064$solr_curPos%E2%80%A038$solr_solrId%E2%80%A0BD_ITKC_ST_Z0_A12_09A_23A_00170|#]] 때로는 이 곳에서 [[행사]]를 거행하고 [[어진]]을 잠시 모셔두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1205028_001|#]] 이 때에는 주변에 200칸 가까운 행각들이 있었고 북행각과 수정전 본채가 [[복도]]로 연결되었으며 궐내각사에 해당하는 수많은 [[전각]]들이 [[경복궁]]의 서쪽 대문인 [[경복궁 영추문|영추문]]까지 즐비해 있는 등 지금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 수정전 구한말.png|width=100%]]}}} || || {{{#gold '''건물 양 측면에 복도가 있는 수정전'''}}} || 1894년([[고종(대한제국)|고종]] 31년) 1차 [[갑오개혁]] 때에는 [[국사]]책에도 나오는 그 군국기무처가 들어섰다가 이후 [[의정부]]에서 이름이 바뀐 [[내각(대한제국)|내각]]의 청사로 기능하였다.[[http://db.itkc.or.kr/dir/item?itemId=ST#/dir/node?dataId=ITKC_ST_Z0_A31_12A_16A_00040&solrQ=query%E2%80%A0%E4%BF%AE%E6%94%BF%E6%AE%BF$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ST_AA$solr_toalCount%E2%80%A064$solr_curPos%E2%80%A063$solr_solrId%E2%80%A0BD_ITKC_ST_Z0_A31_12A_16A_00040|#]] 이 때 수정전과 북행각을 연결하는 [[복도]]는 사라지고 대신 좌우에 복도가 새로 생겼으며 가운데와 바깥 행각의 규모를 확장하는 변화가 있었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수정전(修政殿)|#]]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제강점기 경복궁 수정전.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정전 전시실.png|width=100%]]}}} || || {{{#gold '''일제강점기 수정전'''}}} |||| {{{#gold '''전시실로 변한 수정전 내부. 중앙아시아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 [[경술국치]] 이전에는 정문인 [[숭양문]] 주변 행각을 제외한 다른 행각들이 모두 헐렸고[* 1907년에 작성된 〈북궐도형〉에서는, 작성 당시에 이미 헐린 건물도 모두 다 이제는 없다는 뜻인 '금무(今無)'라 표기하여 작성했다. 수정전 권역의 경우, [[숭양문]] 행각 외에 다른 행각은 모두 '금무'로 쓰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일제]]가 식민 통치 5년 째 되는 걸 기념한답시고 [[경복궁]]에서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관으로 활용하면서 내부는 많이 훼손되었고, 부속 건물들은 전부 헐려 건물 하나만 남았다. 이후에도 미술품을 전시하는 공간이었고, [[8.15 광복|해방]] 이후 1966년부터 1975년까지는 한국민속관[* 오늘날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신]].]으로 기능하였다. 2000년에 [[보수]] [[공사]]와 함께 내부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경복궁]] 1차 [[복원]] [[공사]] 5단계(1997 ~ 2001)에 [[문화재청]]에서 [[수정전]]의 행각을 [[복원]]할 예정이었지만 계획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 2차 [[복원]] 때 포함시켰지만 2차 계획을 축소하면서 다시 무산시켰다. 계속해서 복원을 [[무산]]시킨 이유는 상술했듯이 〈북궐도형〉 작성 시 이미 [[건물]]이 철거되어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만 알 수 있을 뿐, 상세한 [[구조]]는 모르기 때문이다. == 정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복궁 숭양문)] == 구조 == * 정면 10칸, 측면 4칸의 1층[* 보통 [[한옥]]의 경우 단층(單層)이라 표현한다.]이다. [[암석|장대석]]을 높게 쌓은 6단의 [[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네모난 [[기둥]]을 세운 뒤, 겹처마 [[양식]]으로 지었다. [[공포]]는 쇠서[* [[소]] [[혀]] 모양의 부재.] 2개를 둔 이익공이고 기둥 사이마다 화반을 놓은 뒤 그 위에 운공을 설치하였다.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6개의 [[잡상]]을 설치하여 [[장식]]하였으며, [[단청]]은 모로단청[* 끄트머리만 칠하는 [[단청]].]으로 칠하여 깔끔하면서도 화려한 모습을 뽐내게 하였다. * 출입문은 남쪽 정면 가운데의 2칸이며 나머지는 전부 [[창문]]이다. 모든 칸의 외벽에는 윗부분에 빗살무늬 교창을, [[창문]]의 아랫부분에는 머름을 두었다. * [[건물]] 남쪽 전면에 큰 월대를 두었다. 월대는 4단이고 월대 윗 부분은 박석으로 마감했다. [[계단]]은 월대 정면에 3개, 측면에 2개, 총 5개가 놓여있고 그 중 임금이 다니는 정면의 가운데 계단은 소맷돌을 두어 다른 계단과 차별화시켰다. 가운데 계단과 그 왼편에 있는 계단 사이엔 무늬가 새겨진 댓돌이 있다. * 고주[* 高柱, 이름 그대로 굉장히 높은 [[기둥]]을 말한다.] 2개를 세우고 [[도리]] 7개를 설치한 ‘2고주 7량가’ 형식을 띄고 있다.[[https://blog.naver.com/hanmun2014/220889713835|#]] * [[기단]] 양 측면에 [[나무]]로 된 [[문]]이 보이는데 [[온돌]]에 불을 지피는 [[아궁이]]다. 불을 때면서 나오는 [[연기]]를 배출할 [[굴뚝]]을 수정전 건물 바로 뒤에 두 개를 놓았는데, 별다른 [[무늬]]없이 그냥 [[벽돌]]을 길이쌓기하고 그 위에 [[한옥]]처럼 [[기와]] [[지붕]]을 올린 뒤 [[흙]]으로 구워 만든 배출구를 올렸다.[* 이 배출구는 꼭 [[집]]처럼 생겼다하여 연가(煙家)라고 부른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_수정전_내부.jpg|width=100%]]}}} || || {{{#gold '''수정전 내부[*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1381&ccbaKdcd=12&ccbaAsno=1760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 내부는, 가운데 정면 3칸, 측면 2칸을 [[대청]]으로 놓았는데 대청은 서쪽으로 치우쳐있으며, 칸을 나누지 않고 한 [[공간]]으로 뚫어 넓게 쓸 수 있게 하였다. [[천장]]은 우물 반자[* 서까래가 안보이게 천장을 가리고 평평하게 만드는 구조물.]로 막고 [[마루]]는 우물 마루로 놓았다. 대청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동쪽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온돌|온돌방]]을 두었으며 온돌방과 대청 주변을 전부 [[마루|툇간]]이 둘러싸고 있는데, 남쪽의 툇간은 다른 면의 툇간보다 남, 북 축의 길이가 훨씬 길다.[[https://blog.naver.com/hanmun2014/2208897138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물_제1760호_경복궁_수정전(2012년_국보,보물_지정보고서).jpg|width=100%]]}}} || || {{{#gold '''수정전 내부 장지문[*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2281868&ccbaKdcd=12&ccbaAsno=1760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 [[대청]]과 [[온돌|온돌방]]을 연결하는 [[문]]은 세살청판 문 모습으로 되어있다. 온돌방 내부는 완자 장지문으로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https://blog.naver.com/hanmun2014/220889713835|#]] == 여담 == * 옛 [[집현전]] 자리로 알려져서 그런 지 [[세종대왕]], [[한글]]과 관련된 [[문화]] [[프로그램]]이 이 곳에서 많이 열렸다. [[http://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834|#]][[https://news.v.daum.net/v/20191009155950382?f=o|#]] * 제574돌 [[한글날]] 경축식이 수정전 앞뜰에서 열렸다.[* 이전에는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경축식을 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막고 일부 보수단체들의 반정권 시위를 차단하기 위해 광화문광장을 폐쇄하면서 경복궁에서 소규모로 기념식을 진행했다.] == 매체에서 == [[궁궐]] 촬영이 비교적 쉬웠던 2000년대 이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배경]]으로 꽤 나왔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용의 눈물에 나온 수정전.png|width=100%]]}}} || || {{{#gold '''〈용의 눈물〉 159화에 나온 수정전'''}}} || [[KBS1]] [[KBS 대하드라마|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세종(조선)|세종]] 재위 기간을 다룰 때 [[집현전]]으로 나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SyN-IPx8OU)]}}} || || {{{#gold '''〈무한도전〉 - 궁 밀리어네어 특집에 나온 수정전 관련 영상'''}}} || 〈[[무한도전]]〉 - 궁 밀리어네어 특집에서 나왔다. 멤버들이 집합해야할 [[집현전]] 건물로 나왔는데 다들 한참 헤맸다. [[분류:경복궁]][[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