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복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3> {{{#ffd700 {{{+1 '''경복궁 집옥재'''}}}[br]{{{-1 景福宮 集玉齋}}}}}}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복궁 집옥재,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61 ([[세종로]]) || ||<-2> {{{#ffd700 '''건축시기'''}}} || [[1891년]] {{{-1 (이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_집옥재.jpg|width=100%]]}}}|| || {{{#gold '''집옥재[*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listAllow=N&ccimId=6412566&ccbaKdcd=13&ccbaAsno=01170000&ccbaCtcd=11&noArray=13_01170000_11&ccimIds=6412566|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_4mIMcALkM)]}}}|| || {{{#gold '''문화유산채널에서 제작한 집옥재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복궁]]에 있는 [[중식|중국풍]] 전각이다. [[어진]]과 [[도서]]를 보관하던 곳이다. 경복궁 북문인 [[경복궁 신무문|신무문]]의 동남쪽, [[경복궁/건축물#s-.3.6|건청궁]]의 서쪽에 있다. [[건물]] 3채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에 팔우정(八隅亭), 가운데에 집옥재(集玉齋) 본채, 그리고 동쪽에 협길당(協吉堂)이 있으며, [[전각]]끼리 [[복도]]로 붙어있다. 집옥재 본채와 달리 팔우정과 협길당은 전통 한국 양식이다. 이름은 ‘[[옥]](玉)과 같이 귀한 [[보배]]를 모은다(集)’는 뜻이다. [[현판]]은 [[중국]] [[북송]]의 유명한 서예가였던 미불의 글씨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복궁 집옥재 헤르만 산더 1906~1907년 촬영(국립민속박물관).jpg|width=100%]]}}} || || {{{#gold '''1906년 ~ 1907년 집옥재[*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archive/detailPopup.do?seq=2006-002-00000384|사진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저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 || 원래 [[창덕궁 수정전|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이었다. 창덕궁 함녕전(수정전)은 [[덕수궁 함녕전]]과는 이름만 같은 별개의 건물이다. 원래 이름은 [[창덕궁 수정전|수정전]]이었는데 1881년([[고종(대한제국)|고종]] 18년)에 함녕전으로 고쳤다. 1891년([[고종(대한제국)|고종]] 28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은 이곳을 [[어진]]을 모시고, [[책]]을 보관하며, [[외국]] [[사신(외교)|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사용했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서양]] 문물과 관련된 책을 [[청나라]]에서 대량으로 구입했는데, 대부분을 집옥재에 비치했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과 [[왕실]]이 [[경복궁]]을 떠나자 집옥재는 빈 건물이 되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도방위사령부|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이 이 일대에 주둔하면서 한동안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1996년에 수도경비사령부 30경비단이 부대 이전을 한 뒤 [[복원]], [[수리]] 작업을 거쳐 2006년에 일반에게 공개되어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자세한 내용은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mun2014&logNo=220888885124&categoryNo=21&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4&postListTopCurrentPage=&from=postList&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4|이 포스팅]]을 참조. == 부속 건물 == === 팔우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tail-in-n5.jpg|width=100%]]}}} || || {{{#gold '''팔우정[* [[http://www.heritage.go.kr/heri/gungDetail/imgDetail.do?detail_code=28&gung_number=1&img_serial_number=381&imgGubun=1&language=|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 {{{+1 景福宮 八隅亭}}} 역사는 집옥재와 같다. 서책을 보관하던 곳이다. 건물의 특징은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mun2014&logNo=220888885124&categoryNo=21&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4&postListTopCurrentPage=&from=postList&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4|이 포스팅]]을 참조. === 협길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tail-in-n6.jpg|width=100%]]}}} || || {{{#gold '''협길당[* [[http://www.heritage.go.kr/heri/gungDetail/imgDetail.do?detail_code=28&gung_number=1&img_serial_number=382&imgGubun=1&language=#|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 || {{{+1 景福宮 協吉堂}}} 역사는 집옥재와 같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이 휴식을 취하며 머물던 곳이다. 건물의 특징은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anmun2014&logNo=220888885124&categoryNo=21&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4&postListTopCurrentPage=&from=postList&userTopListOpen=true&userTopListCount=5&userTopListManageOpen=false&userTopListCurrentPage=4|이 포스팅]]을 참조. == 여담 == * 집옥재에서 보관했었던 [[도서]]들에 대한 [[책]]으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 중인 《집옥재서목(集玉齋書目)》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관 중인 《집옥재목록외서책》이 있다. 집옥재에 있던 도서 목록은 [[경술국치]] 이후 《집옥재서적조사기》로 다시 정리되었다. 1915년에 집옥재 도서의 대부분은 [[조선총독부]] 소유로 넘어갔다. 이후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에 있었다가 현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보관 중이다. 저 때 조선총독부가 아닌 이왕직으로 넘어간 도서들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 중이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집옥재(集玉齋)|#]] === 집옥재 작은도서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kVPSkaUoAAKbez.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kVPS-zUkAAVmaS.jpg|width=100%]]}}}|| ||<-2> {{{#gold '''집옥재 도서관 내부[* [[https://twitter.com/chlove_u/status/740084906479386624|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 || 2016년 4월 27일에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재청]]은 집옥재의 실내를 작은도서관으로 꾸며 일반에 개방했다. [[조선시대]]의 [[역사]], [[인물]], [[문화]] 등과 관련한 [[도서]] 1000여 권과 왕실 자료 영인본 350여권, 그리고 한국문학 책 번역본 230여 권을 비치해두었다. 대청 양쪽에 있는 [[방]]에 [[책상]]과 [[의자]]를 두어 편히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20160428_Jibokjae_05.jpg|width=100%]]}}}|| || {{{#gold '''북카페가 된 팔우정 1층 내부[*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5642&idx=6682&page=1&pageSize=10&RN=5447|사진 출처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 || 팔우정은 궁중 [[차|다]][[과자|과]]와 [[책]]을 파는 북카페로 활용되고 협길당은 열람실로 개방된다. 북카페의 운영 주체는 [[한국문화재재단]]이다. 매년 3월부터 11월까지 [[경복궁]] 개관 시간대(오전 9시 ~ 오후 5시 30분)에 한해 언제든 이용할 수 있다. 단, 문화재 보호를 위해 최대 수용인원인 50명이 넘을 경우 입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정기적으로 [[시민]]들을 위한 왕실문화강좌도 열고 있다. 신청은 [[http://www.royalpalace.go.kr/content/guide/guide21.asp|경복궁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하면 된다. [[분류:경복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