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부고속도로]][[분류:중부고속도로]][[분류:vs놀이/교통]]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경부고속도로, top2=중부고속도로, top3=제2중부고속도로)] [include(틀:대한민국의 고속도로)] {{{#!wiki style="word-break:keep-all"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width=40px&align=center]]]]|| ||<:>{{{#ffffff '''경부고속도로'''[br]{{{-5 京釜高速道路[br]Gyeongbu Expressway}}}}}}||}}}|| [[VS놀이|{{{+1 {{{#000000 '''vs'''}}}}}}]] ||{{{#!wiki style="margin: -10px -10px" ||
<:>[[중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35.svg|width=40px&align=center]]]]|| ||<:>{{{#ffffff '''중부고속도로'''[br]{{{-5 中部高速道路[br]Jungbu Expressway}}}}}}||}}}||}}}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도로]] [[한남IC|한남 나들목]] - [[남이JC|남이 분기점]] 구간[* [[한남IC|한남 나들목]] - [[양재IC|양재 나들목]] 구간은 현재 고속국도 구간이 아니지만 과거에는 포함되어 있었고 [[올림픽대로]]와 연계성을 위해 포함했다.]과 [[중부고속도로]] [[강일IC|강일 나들목]] - [[남이JC|남이 분기점]] 구간[* [[강일IC|강일 나들목]] - [[하남JC|하남 분기점]] 구간은 현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이지만 과거에는 포함되어 있었고 [[올림픽대로]]와 연계성을 위해 포함했다.]을 비교하는 문서. 다만, [[제2중부고속도로]]와도 비교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알아두자. == 현황 == [[한남IC|한남 나들목]] - [[남이JC|남이 분기점]] 구간의 길이는 카카오맵 기준 123.9km이고 [[강일IC|강일 나들목]] - [[남이JC|남이 분기점]] 구간의 길이는 [[카카오맵]] 기준 132.7km이다. 그리고 [[한남IC|한남 나들목]] - [[강일IC|강일 나들목]] 구간의 길이는 [[카카오맵]] 기준 22.6km이다. 두 노선 모두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청주시|청주]]까지 가기 때문에 선택의 딜레마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남이분기점 이남에서 올라오는 차들 중 목적지가 [[성남시]] 도촌동, 1공단, 서울 [[장한평역]], 종암동, 미아사거리 일대이면 두 노선 모두 안 막힐 때 소요시간이 비슷하다. == 주행 팁 == 통상적으로 경기도 구간만을 따졌을 때에는 버스는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대한민국|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있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승용차는 중부고속도로나 제2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경부고속도로는 대체적으로 충청북도 이남 구간부터 교통량이 풀리기 때문에 충청도로 진입할 때까지 다른 고속도로를 이용하다가 해당 도로로 합류하는 것이 더 낫다. === [[경부고속도로]]가 유리한 경우 === [[경부고속도로]]는 [[성남시|성남]], [[용인시|용인]], [[오산시|오산]], [[안성시|안성]], [[평택시|평택]], [[천안시|천안]], [[청주시|청주]]를 지나기 때문에 해당 지역을 가려면 [[경부고속도로]]를 타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양재IC|양재 나들목]] - [[남이JC|남이 분기점]] 구간은 모두 8차로 이상이다.[* 단, [[천안JC|천안 분기점]] - [[남이JC|남이 분기점]]는 6차로] 그러나 [[양재IC|양재 나들목]] 이북부터는 차선이 줄어드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일어나 어두운 밤을 제외하면 항상 꾸준하게 늘 엄청 막힌다. 게다가 [[양재IC|양재 나들목]] - [[한남IC|한남 나들목]] 구간은 제한속도가 80km/h로 [[하남JC|하남 분기점]] - [[강일IC|강일 나들목]] 구간의 제한속도인 100km/h보다 낮다. 다만, [[남이JC|남이 분기점]]부터 서울까지 구간단속 구간은 6.2km로[* [[안성휴게소]] - [[오산IC|오산 나들목]]] [[중부고속도로]]의 8.5km보다 짧다. 그리고 [[전라도|호남]]으로 갈 일이 있으면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가서 [[논산천안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거리가 짧다. 그리고 [[강남구|강남]], [[서초구|서초]], [[용산구|용산]] 등으로 갈 때도 [[경부고속도로]]를 타면 빠르게 갈 수 있다. [[화물차]]들은 [[안성JC|안성 분기점]]에서 [[평택제천고속도로]]로 빠져서 [[서해안고속도로]]나 [[평택파주고속도로]]를 이용하기에 [[경부고속도로]]는 [[중부고속도로]]에 비해 '''화물차 비율이 많이 낮다'''. [[삼성전자]] 평택공장이 경부고속도로가 아닌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고덕IC|평택고덕 나들목]] 옆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당진항]] 방면으로 가는 화물차들이 많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경부고속도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구간은 화물차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승용차한테 유리하다. 지정체가 없는 심야~새벽 시간을 기준으로 할 경우 서울-대전간을 기준으로 가정할 때 절대적인 주행 속도보다 연비 주행을 하고자 한다면 경부고속도로가 유리하다. 경부고속도로는 대한민국의 건설 기술이 낙후되어 있을 당시에 건설하였으나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하기 위해 터널을 최대한 뚫지 않고 고저차 역시 최대한 낮은 지형을 골라 건설하였다. 그래서 선형 자체가 매우 좋다고 할 수는 없으나 중부고속도로 대비 고저차가 낮아 정속 주행 시 연비면에서 한결 유리해진다. 중부고속도로는 일죽IC까지는 이후에 건설한 고속도로라면 터널을 몇 개나 뚫고도 남았을 높은 언덕 여러 개을 오르내려야 하며, 진천 주변에서도 비슷하여 연비면에서 그리 좋은 선형이 아니다. === [[중부고속도로]]가 유리한 경우 === [[경부고속도로]]는 특히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서 인구가 많은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정체가 심각하다.[* 당장 [[경부고속도로|경부선]]이 지나는 '''[[서울특별시|서울]]을 제외한''' 도시들의 인구만 해도 [[성남시|성남]], [[용인시|용인]], [[수원시|수원]], [[화성시|화성]], [[오산시|오산]], [[안성시|안성]], [[천안시|천안]], [[평택시|평택]] 등의 네임드 수도권의 --천안은 수도권이 아니지만 넘어가자-- 도시들을 지나가는데, 이 일대의 인구는 무려 '''500만명이 넘는다.'''][* 거기에다가 주말에는 [[경부고속도로]]는 [[한남IC|서울]] - [[신탄진IC|대전]] 구간의 [[간선급행버스체계|중앙버스전용차로]] 시행으로 인해 실제로는 서울 - 천안, 청주 - 대전 구간은 왕복 6차로, 천안 - 청주 구간은 실질적으로는 '''왕복 4차로에 불과하다.'''] [[중부고속도로]]는 상대적으로 지나는 지역의 인구가 적다. 그러나 [[호법JC|호법 분기점]] - [[남이JC|남이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로여서 해당 구간도 정체가 난다. [[호법JC|호법 분기점]] 이북으로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강릉시|강릉]], [[원주시|원주]] 등으로 갈 때는 [[중부고속도로]]를 타는 것을 추천한다. [[경부고속도로]]보다 동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이다. [[중부고속도로]]는 [[하남시|하남]], [[광주시|광주]], [[이천시|이천]], [[안성시|안성]], [[진천군|진천]], [[증평군|증평]], [[청주시|청주]]를 지난다. 그리고 버스전용차로가 없어서 [[경부고속도로]]보다 덜 막힐 때도 있다. 그리고 [[강동구|강동]], [[송파구|송파]], [[구리시|구리]], [[노원구|노원]], [[중랑구|중랑]] 등으로 갈 때도 [[중부고속도로]]를 타면 빠르게 갈 수 있다. 특히 동서울 일대에서 [[대전광역시|대전]], [[광주광역시|광주]],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울산광역시|울산]] 등의 지방 광역시들로 이동할 때에는 [[중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거리와 시간 면에서 훨씬 더 이득이다.[* 특히 [[대전광역시|대전]]의 경우에는 [[서울특별시|서울]] [[노원구]]에서 대전광역시청까지 [[중부고속도로]] 이용 시 약 175km가 나오고,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루트는 약 180km, [[경부고속도로]]만을 이용하는 경로는 약 177km가 나온다.] '''[[화물차]]는 압도적으로 중부고속도로를 많이 이용한다.''' 전체 교통량의 절반 이상이 화물차로, [[중부내륙고속도로]] 만큼이나 승용차한테 불리한 고속도로이다. 중부고속도로에 화물차가 많은 이유는 [[SK하이닉스]] 이천공장[* [[영동고속도로]] [[이천IC|이천 나들목]] 옆에 있지만 SK하이닉스를 경유하는 차량들이 모조리 [[호법JC|호법 분기점]]으로 몰려들어 [[중부고속도로]]를 탄다.]과 청주공장[* [[중부고속도로]] [[서청주IC|서청주 나들목]] 주변이 모조리 SK하이닉스 공장 단지이다.], 오창과학단지는 [[오창IC|오창 나들목]], 진천 산수, 신척산업단지는 [[진천IC|진천 나들목]] 이 모두 중부고속도로 연선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CJ대한통운]] 곤지암 메가허브[* [[초월IC|초월 나들목]] - [[곤지암IC|곤지암 나들목]]와 연결돼 있다.]와 [[롯데글로벌로지스|롯데택배]] 중부권메가허브터미널[* [[증평IC|증평 나들목]]에 가깝다.]이 중부고속도로 연선에 있다. 서울-대전 구간을 심야나 새벽에 최대한 빠르게 가야 한다면 중부고속도로가 경부고속도로보다는 유리하다. 차로 수는 중부고속도로가 더 적지만(마장 이북 구간 제외), 대한민국의 간선 고속도로인 경부고속도로는 심야에도 트럭 등 통행량이 많아 제한속도 이상의 고속 주행이 원활하지는 않다. 반대로 청주 이전에 큰 도시가 안 나오는 중부고속도로는 심야 시간대의 화물차 운행은 적지 않지만 단거리 통행량은 경부고속도로에 비해 적어 [[과속]]을 각오하면 훨씬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다만 주행 속도가 빠른 만큼 저속 차량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며, 고저차가 심한 선형의 문제로 절약한 시간 이상으로 기름을 소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 환승 방법 === [[올림픽대로]] [[한남IC|한남 나들목]] - [[강일IC|강일 나들목]]을 이용하거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판교JC|판교 분기점]][* [[양재IC|양재 나들목]] 방향으로 진출 불가능] - [[하남JC|하남 분기점]]을 이용하거나 [[영동고속도로]] [[신갈JC|신갈 분기점]] - [[호법JC|호법 분기점]][* 하지만 여기도 상습정체지역으로 [[영동고속도로]] 최악의 정체구간 중 하나이다.]를 이용하거나 [[평택제천고속도로]] [[안성JC|안성 분기점]] - [[대소JC|대소 분기점]]을 이용하거나 [[당진청주고속도로]] [[옥산JC|옥산 분기점]] - [[오창JC|오창 분기점]][* 해당 고속도로는 [[남이JC|남이 분기점]]에서 [[경부고속도로]] 서울 방향으로 진출이 불가능해 대체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제2중부고속도로]]를 제외하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동탄JC]] ~ [[곤지암JC]] 구간)를 통해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 간의 연계가 가능하다. == 여담 == [[세종포천고속도로]]가 구리에서 세종까지 개통되면 무려 [[경부고속도로]] vs [[세종포천고속도로]] vs [[중부고속도로]]의 서울에서 청주까지 가는 3가지 길이 생긴다.[* 다만,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포천고속도로 오송지선|오송지선]]을 통해 구 [[청원군]] 지역인 [[오송읍|오송]]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중부고속도로]]에서는 이미 [[제2중부고속도로]]라는 [[중부고속도로 vs 제2중부고속도로|선택의 딜레마]]가 또 있다. 각각 [[한남대교]], [[고덕대교]], [[강동대교]]로 한강을 건넌다. [[경부고속도로]] vs [[중부고속도로]]의 연장전으로 [[논산천안고속도로]] vs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있다. [[경부고속도로]]에서 [[전라도|호남]]으로 가는 차량들은 [[논산천안고속도로]]를 많이 이용하는데 [[전라도|호남]]까지 최단거리로 이어주기 때문이다. 반면, [[중부고속도로]]에서 호남으로 가는 차량들은 [[호남고속도로지선]]을 압도적으로 많이 이용한다. [[남이JC|남이 분기점]]이 [[천안JC|천안 분기점]]보다 남쪽에 있는 데다가 서울 방향으로 진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굳이 이렇게 가야한다면 [[당진청주고속도로]] [[오창JC|오창 분기점]] - [[옥산JC|옥산 분기점]] 루트로 가면 서울 방향 진출이 가능하긴 하다.] [[논산천안고속도로]]는 특히 [[차령터널]]쪽에 정체가 심각하고, [[호남고속도로지선]]은 덜 막히긴 하지만, [[회덕JC|회덕 분기점]]에 갈 때, [[경부고속도로]]에서 온 차량과 [[중부고속도로]]에서 온 차량과 [[서산영덕고속도로]]에서 오는 차량들이 몰려서 막힐 것을 각오해야 한다.[* 그리고 [[회덕JC|회덕 분기점]] - [[남청주IC|남청주 나들목]] 구간은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이하 생략한다.]]] 추가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서대전JC-양촌IC 구간은 고저차가 심하여 대한민국 고속도로 전체에서도 선형이 나쁜 것으로 손꼽히는 구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