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303, #E60000, #E60000, #a60303)" {{{+2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br]慶北大學校 環境工學科[br]'''KN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 || '''설립''' ||'''1992년 3월''' || || '''학과장''' ||'''김웅 교수''' ||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대학로(대구)|대학로]] 80 경북대학교 공대6호관 311호|| ||<-2>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북대학교 공과대학 6호관, 높이=180px, 너비=100%)]}}} || || '''링크''' ||[[https://env.knu.ac.kr/|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북대학교]]의 [[환경공학과]]. 지구의 환경보호와 인류의 지속적인 번영에 기여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이상 기후, 생태계의 변화, 식량 위기 등의 현상에 직면한 오늘날에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2022년 10월에 KNU교육브랜드 선도학과 육성사업에 선정되어 사업 관련 활동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경북대학교 93개 학과를 대상으로 한 2022학년도 학과 평가에서 1위인 최우수학과로 선정되었다. == 전공 및 수업 == 자연과학의 기초이론을 토대로 환경문제를 연구하는 공학의 한 분야이다. 환경공학과에 입학한 학우들은 첫 1년 동안, 공대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과학과 수학의 기초 과목을 배운다. 최근에는 ‘환경공학 입문’이라는 과목이 신설되어 고학년 때 배우는 내용들을 미리 배워볼 수 있다. 2, 3학년 때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폐기물관리 등 환경과 직결되는 전공과 이 전공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유체역학, 물리화학, 유기화학, 기초미생물학, 수리수문학과 같은 전공들을 배운다. 그리고 4학년 때는 배웠던 지식을 모두 활용해 환경공학과 관련된 주제를 직접 정하고 실험을 진행하는 캡스톤 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 교수진 == === 신원식 교수 === * 지하수, 토양오염복원 전공 * 경북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학교|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물리화학, 공학수학1, 수질관리, 수질분석, 토양오염복원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토양오염, 환경모델링, 환경동력화학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반응공학특론, 토양지하수오염 * 한국퇴적환경준설학회 회장, 경북대학교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 추광호 교수 === * 수질공학, 고도처리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환경화학, 환경유체역학, 수질분석, 환경공학세미나1·2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막분리공학, 수질화학특론, 후질화학모델링 및 응용, 스마트순환사회환경시스템 세미나1·2·3·4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환경화학특론, 환경분리공정 * 미국 [[워싱턴 대학교|워싱턴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하였다. === 임호진 교수 === * 대기오염제어공학 전공 * 경북대학교 공업화학과(현 응용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럿거스 대학교|럿거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 유기화학1, 환경유기화학개론, 화공양론, 대기오염실습,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에어로졸, 대기오염모니터링, 고급환경기기분석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 1987~1996년 국방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1994년 연구소로부터 국방과학상 은상을 수상하였다. === 이대성 교수 === *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분자생명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2, 기초미생물학, 환경공학입문, 환경수리수문학 및 설계, 생물처리공정, 폐수처리실습, 폐기물분석, 수치해석,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환경수치해석, 방사성폐기물처리특론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환경시스템공학특론, 산업환경기술 *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했다. * 2006년 산업부장관 대상, 2017년 교육부장관 표창장, 2019년 원암학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 김웅 교수 === * 바이오에너지공정, 환경미생물분석, 혐기소화 전공 * 서울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화학1·2, 환경공학입문, 화공양론, 생물처리공정, 소음진동학, 폐기물분석, 폐수처리실습, 생물고도처리 및 설계, 인공지능과 케글분석,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고급생물공정, 환경데이터 탐색적 분석 * 2023년 유색 염색폐수를 획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광촉매를 개발하여 대구시를 비롯한 지역의 연구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대구시를 비롯한 지역산업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서, 대구광역시 학술부문 문화상 수상하였다. === 박창민 교수 === * 환경나노융합 전공 * 한양대학교 지구환경건설공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캠퍼스|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공학수학1·2, 환경공학입문, 공학 프로그래밍언어, 수질분석, 하수도공학, 화학안전공학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물리화학적 정수처리공정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고도수처리공정, 산업수질관리 *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을 했다. * 제일모직 책임연구원, 삼성전자 과장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 환경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약칭 EPA)에서 연구원을 지냈다. * 2022년 국가 수처리기술과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했다는 공헌을 인정받아서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였다. === 정성엽 교수 === * 폐자원회수, 청정에너지공정 전공 *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환경공학입문, 공학 프로그래밍언어, 폐기물분석, 일반폐기물관리, 고형폐기물의 종합적 관리 및 설계, 슬러지처리 및 설계, 물리화학폐수처리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에너지환경공학 * 산업대학원 강의과목: 고형폐기물 처리 및 관리 == 졸업 후 진로 == 졸업 후 취업, 대학원 진학, 환경직 공무원 등의 진로를 모색한다. 수질, 대기, 폐기물 분야 중 관심 분야 및 전공 관련 자격증을 기반으로 공기업, 사기업 및 연구소 등에 취업하기도 한다. 그리고 대학원에서는 수질, 대기, 폐기물, 환경 에너지, 환경복원 분야를 연구한다. [[대구국가산업단지]](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소재)에 있는 [[한국물기술인증원]]로 취업할 수 있다. 관련 분야를 공부하는 학과이고 같은 지역에 있기 때문에 취업 시 강점이 있을 수 있다. 한국물기술인증원은 환경부 산하 출연기관이며 물산업 인증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2019년에 신설되었는데 초대 원장이 경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로 재직했던 민경석 교수였다. == 주요 동문 == === 학부 === * 김민지: [[한국국제협력단|한국국제협력단(KOICA)]] 전문관 * 김승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 [[김이슬(미스코리아)|김이슬]]: 2011년 [[미스코리아]] 선 * 김인정: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연구원 * 박용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 교수 * 이소영: 대구광역시청년센터 성장기획단장 * 최준: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대학원 === 환경공학과가 아닌 타학과를 졸업한 경북대 졸업생과 타대학 학부 출신 졸업생을 기재한다. * 김명균(석사): 계명문화대학교 소방환경안전과 교수 * 이현규(석사, 박사):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 [[분류:경북대학교]][[분류:공과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