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include(틀:경북대학교의 사회과학대학)] [[파일: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gif|align=center]]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303, #E60000, #E60000, #a60303)" {{{+2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br]慶北大學校 社會福祉學部[br]'''KNU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 '''설립''' ||'''1983년 3월''' || || '''학부장''' ||'''최권호 교수'''||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대학로(대구)|대학로]]80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10호|| ||<-2>[include(틀:지도, 장소=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높이=180px, 너비=100%)]|| || '''링크''' ||[[https://knusw.knu.ac.kr/|공식 홈페이지]][br][[http://kwelltimes.com/|동문회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소개 == [[경북대학교]]의 [[사회복지학부]]. 인간 중심의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능력을 균형있게 갖추어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학부이다. 1983년 사회복지학과로 설립되었으며, 2015년 사회복지학부로 확대 개편되었다. {{{#048B1F '''“학부”'''}}}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다른 대학과 견주어 보았을 때 [[사회복지학부]]의 규모가 큰 편이다. [[2022년]] 기준 12분의 교수님이 재직하고 계시는데, 이는 서울대(11명) 부산대(10명), 연세대(8명)과 비교해보았을 때도 많은 숫자이며 전국 사회복지학과 가운데에서 큰 규모를 자랑한다. == 역사 == * 1983년 3월,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신설 * 1988년 3월,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 1997년 3월,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 1997년 11월, 사회복지연구소 설립 * 2000년 3월, 정책정보대학원 사회복지전공 신설 * 2000년 12월, 『사회복지연구』 창간호 발간 * 2014년 3월,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정책및행정전공, 사회복지실천전공) 개편 / 정책정보대학원 사회복지실천전공, 사회복지정책및행정전공 개편 * 2015년 3월,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미시전공, 사회복지거시전공) 개편 * 2022년 9월, 「KNU 교육브랜드 선도학과」(기초·보호분야) 선정 == 전임 교수진 == * 황성동 교수 * 사회복지조사 및 분석(조사방법론, 프로그램평가, 정신보건리서치) 전공 *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자원봉사론,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와 데이터 활용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복지조사론 세미나,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세미나, 사회복지와 데이터 시각화, 구조방정식모형의 이해, 메타분석 * 김환준 교수 * 사회복지정책 전공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회복지학개론, 사회복지역사, 사회보장론,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학술연구와 통계적 분석방법, 사회복지역사 세미나, 사회보장의 경제적 분석, 회귀분석의 이해와 응용 * 배성우 교수 * 정신보건사회복지 전공 *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교사회복지론, 사회복지실천론, 정신건강사회복지론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성격이론과 인간행동의 통섭적 이해, 사회복지 고급통계 * 성희자 교수 * 의료사회복지, 정신보건사회복지 전공 *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정신건강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의료사회복지론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복지실천론 세미나, 보건과 사회복지, 철학과 사회복지, 집단상담과 사회복지실천, 수퍼비전과 사회복지교육 * 전해숙 교수 * 노인복지 전공 *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행정, 노인복지론, 프로그램개발과평가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노년학과 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분야론, 사회사업실천이론개발, 프로그램개발과평가 세미나 * 문순영 교수 * 사회복지정책 전공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장애인복지론, 사회복지행정, 사회복지정책론, 여성복지론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복지행정 세미나, 사회복지정책론 세미나, 여성복지론 세미나, 한국사회복지론 세미나, 재난과 사회복지 * 이명현 교수 * 사회복지정책 및 제도 전공 *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회복지학개론,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복지국가론, 빈곤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복지와 법, 빈곤 거버넌스 연구, 복지국가와 기본소득론, 복지국가의 이론과 실제, 비교사회정책론 * 이경은 교수 * 사회복지실천, 아동복지 전공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산업학과를 졸업하고, 대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자원봉사활동, 지역사회복지론, 아동복지론, 사회복지와 문화적 다양성, 사회복지 사례관리론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지역사회복지론 세미나, 사회복지와 문화적 다양성 세미나, IT 기반 사례관리, 중독과 사회복지실천 * 박창제 교수 * 사회복지정책, 노인복지 전공 * 경상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사회문제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 경영론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문제론 세미나, 사회복지경영론 세미나, 노인복지정책연구, 사회복지와 경제, 사회복지정책분석과 평가 * 김유진 교수 * 질적 연구방법론, 노인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 전공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로욜라 대학교 시카고]]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자원봉사활동,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와 상담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세미나,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론, 근거기반실천과 실천지식, 사회사업상담기법 * 신창환 교수 * 사회복지정책(사회서비스, 사회적기업, 노인장기요양) 전공 *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복지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인간의 삶과 사회복지, 사회복지정책론, 청소년복지론, 교정복지론, 사회복지와 인권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서비스론, 비영리조직론, 사회복지거시이론 세미나, 사회복지담론 비평, 사회적경제와 사회복지, 사회복지 중급통계 * 최권호 교수 * 보건사회복지, 사회복지교육 전공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가족복지론, 사회복지윤리와철학 * 일반대학원 강의과목: 사회복지 기초통계, VR 활용과 사회복지실천, 건강불평등과 사회복지 == 전공 수업 == 1학년 때는 사회복지에 관한 기초지식을 배우고 학년을 거듭할수록 세부적이고 실무적인 과목을 이수한다. 3학년을 마치면, 정책 및 행정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를 다루는 사회복지 거시전공과 실천 현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에 접근하는 사회복지 미시전공으로 나뉜다. 각자 자신의 적성에 맞는 전공으로 진학하게 된다. 사회복지 미시전공은 개인과 가족에 초점을 두는 미시적 차원에 중점을 두는 반면에, 사회복지 거시전공은 제도 및 정책과 같은 거시적 측면에서 교육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시에,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160시간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나간다. 사회복지학부의 특징 중 가운데 하나는 다른 학과와 다르게 지원자들에 한해 방학마다 학습여행을 떠난다. 사회복지와 관련된 기관이나 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회복지 전문가를 만나보고 사회복지 관련 업무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진다. == 졸업 후 진로 == 졸업하게 되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이 주어진다.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이 있으면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딸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단, 전공필수 10과목과 사회복지현장실습 160시간을 이수해야만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가 많고 그 중요성이 크다 보니, 졸업생들은 사회각계 다양한 분야로 진출한다. 전공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사회복지사로 활동하거나, 사회복지 관련 직무 공무원으로 나가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등과 같은 공공기관으로 취업하기도 한다. 일반대학원에 진학하여 사회복지 관련 연구소 연구원 및 대학 교수 등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특히 한국이 고령화 사회이고 사회복지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전국 대부분의 대학에 사회복지학과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만큼 연구자들에 대한 수요도 크다. 이밖에도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법조인으로 활동하거나 신문, 방송 등 언론기관으로 취직하기도 한다. == 동문 == === 학부 === * 고강호: [[영남이공대학교]] 사회복지·보육과 교수 * 고유나: [[가톨릭상지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권순영(1966)|권순영]]: [[국민의힘]] [[고양시 갑]] 당협위원장, 제6·7대 고양시의원 * 권현수: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수정: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박병선: [[강릉원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박용권: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박태정: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 교수 * 배은경: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배성우: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 백종규: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성희자: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 손지아: [[가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 송영달: [[경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신원식: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안서연: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 * 여영훈: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우봉기: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교수 * 이하나: [[울산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교수 * 이현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임진섭: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전보경: [[경북도립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전해숙: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 정숙희: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교수 * 최은지: [[포항대학교]] 사회복지과 교수 === 대학원 === 사회복지학부가 아닌 타학과를 졸업한 경북대 졸업생과 타대학 학부 출신 졸업생을 기재한다. * 남재현(석사):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정송화(박사): [[경운대학교]] 벽강교양대학 교수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경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version=310)] [[분류:경북대학교]][[분류:사회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