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산시)] [include(틀:경산시의 교통)] [목차] == 철도 == ||<-999> '''{{{+1 경산시 관내 철도역}}}''' || ||<-999>|| ||<-999> '''[[경부선]]''' || ||<-999>|| ||<|2> 역명 ||<-4> 정차열차 || ||<#024999> '''{{{#white KTX}}}''' ||<#c2002f> '''{{{#white ITX-새마을}}}''' ||<#f55839>'''{{{#white 무궁화}}}'''|| ||<-999><#808080> [[서울역|'''{{{#white ▲ 서울}}}''']]·[[영등포역|'''{{{#white 영등포}}}''']]·[[수원역|'''{{{#white 수원}}}''']]·[[대전역|'''{{{#white 대전}}}''']]·[[동대구역|'''{{{#white 동대구 방면▲}}}''']] || || '''[[경산역|경산]]''' || △구포경유 || X || O || O || || '''[[삼성역(경부선)|삼성]]''' || X || X || X || X || ||<-999><#808080> [[부산역|'''{{{#white ▼ 부산}}}''']]·[[구포역|'''{{{#white 구포}}}''']]·[[밀양역|'''{{{#white 밀양}}}''']]·[[삼랑진역|'''{{{#white 삼랑진 방면 ▼}}}''']] || ||<-999>|| ||<-999> '''[[대구선]]''' || ||<-999>|| ||<|2> 역명 ||<-4> 정차열차 || ||<-4><#f55839> '''{{{#white 무궁화}}}''' || ||<-999><#808080> '''{{{#white ▲}}}''' [[경부선|'''{{{#white 경부선}}}''']] [[고모역|'''{{{#white 고모역 방면 ▲}}}''']] || || '''[[청천역|청천]]''' ||<-4> X || || '''[[하양역|하양]]''' ||<-4> O || ||<-999><#808080> '''{{{#white ▼}}}''' [[중앙선|'''{{{#white 중앙선}}}''']] [[송포신호장|'''{{{#white 송포역방면 ▼}}}''']] || ===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EA%B2%BD%EC%82%B0%EC%97%AD_%EC%A0%84%EA%B2%BD3.jpg]] [[경산역]] 전경 [[파일:하양역신축역사전경.jpg]] [[하양역]] 전경 [[청도군]], [[밀양시]]와 같이 철도 초강세 지역이다. [[경부선]]의 경우 [[경산역]], [[삼성역(경부선)|삼성역]]이 있으나 경산역에서만 여객을 취급한다. [[경산역]]에서 1일 2회 [[구포 경유 KTX]]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시간대가 아닌 경우는 일반열차인 무궁화호나 [[경산시 시내버스]] 등으로 [[동대구역]]까지 이동한 다음 KTX를 이용하며, 2024년 말에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하면 이를 통해 동대구역이나 대구역으로 갈 수도 있다. 경산역의 경우 [[대구광역시|대구]] [[수성구]]의 [[시지지구]] 주민들이 [[부산광역시|부산]] 등지로 갈 때 [[동대구역]] 대신 이용한다. 그리고 [[대구권 광역철도|광역철도]] 통근 수요도 있다. 특히 [[행신역]]에서 오후 4시 50분에 출발하는 구포 경유 부산행 KTX 열차는 경산역에서 부산역으로 내려가는 유일한 열차기도 하고 경산역에 도착할 때 즈음엔 이미 퇴근 시간대라 경산시 및 대구 수성구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대구선]]의 경우 [[하양역]], [[청천역]]이 있으나 [[청천역]]은 여객 취급을 하지 않는다. [[하양역]]은 경산시 북부 주민들이 [[안동시|안동]], [[영주시|영주]] 등 [[경상북도]] 북부 일부 지역이나 [[포항시|포항]]이나 [[경주시|경주]], [[울산광역시|울산]], [[부산광역시|부산]] 등지로 갈 때 이용한다. ===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2012년 9월 19일 [[영남대역]]까지 연장 개통하여 영업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으로 [[경산시|경산]] 지역을 경유하는 [[역(교통)|역]]은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 3개 [[역(교통)|역]]이 있다. 경상북도 내에서 유일하게 지하철 노선이 들어온다는 메리트가 크다.[* 비수도권에서 전철이 들어오는 도 산하 기초자치단체는 6개밖에 없다. 바로 충남 [[천안시]], [[아산시]]([[수도권 전철 1호선]]), 강원 [[춘천시]]([[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북 경산시([[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남 [[양산시]]([[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남 [[김해시]]([[부산김해경전철]]). 이마저도 천안, 아산, 춘천은 수도권 전철이 연장된거라 완전한 의미에서의 지하철이 들어오는 비수도권 일반시는 경산을 포함하여 3개뿐이다.]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하양역(도시철도)|하양]] 연장이 2014년에 확정되어 2019년 5월 17일에 착공하였고, 2024년 12월에 개통될 예정이다. 추가로 [[영천시|영천]] [[금호역(대구선)|금호역]] 혹은 [[영천역]]까지 연장되는 계획이 생기면서 대구대입구역도 개통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대구권 광역철도]]의 1차구간 시종점이 [[경산역]]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2024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 그리고 지역 사회에서는 [[밀양역]]까지의 연장을 촉구하고 있다. == 버스 == === 시외버스 === 시외버스의 무덤에 속한다. [[고속버스]]는 아예 없고 시외버스만 있다. 다양한 지역으로 가고 싶으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가야 한다. [[경산시외버스정류장]]은 노선이 많이 없다. [[인천국제공항]]행[* 코로나19로 인해 1일4회 운행중],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청도공용버스터미널 착발이며 대구광역시 시지정류소(KFC 앞)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운휴중],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경유 [[포항터미널|포항]]행,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행, 청도 경유 풍각/밀양행, 대천행(일부 운문사, 언양까지 운행) 등이다. 이 중 포항, 울산행 노선은 영남대정류소, 진량정류소 등에 중간 정차한 다음 [[경부고속도로]] [[경산IC]]로 진입한다. 과거에는 대구 [[남부정류장]] 노선의 중간 승하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가, 통합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의 개장 후 상당수 [[남부정류장]] 기점 노선들이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으로 단축되어 착발노선이 늘어났다. [[하양시외버스터미널]]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정문 인근 하양우방타운3차아파트 건너편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운행 노선으로는 [[경주시외버스터미널|경주]], [[포항터미널|포항]], [[울산시외버스터미널|울산광역시]], [[영천시외버스터미널|영천]], [[구미종합터미널|구미]],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 등이 있으나, 편수가 많은 곳은 경주, 포항, 울산, 구미 정도다. 규모가 상당히 작은 터미널로, [[경산시외버스정류장]]처럼 철도로 운행하기 곤란한 지역들의 편수가 많다. 예전에는 몇몇 [[경산시 시내버스]] 노선이 시종점으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노선들이 [[호산대학교]]로 종점을 이전하여 [[경산 버스 진량1|진량1번]]만 사용 중이다. 그리고 원래는 옆 건물에 대합실과 승하차장이 따로 있었지만 현재는 임대 후 도로변 정류장에서 승하차한다. 예전에는 11번과 311번 시내버스의 시종착점으로 쓰였으며, 311번은 시외완행 성격의 노선인지라 [[경산시]] 관내에서도 구간요금 및 승차권을 받으며 운행했다. 그리고 311번은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었다. 개편 후 311번은 803번, 하양-와촌1번(환상리지선[* 진량1번에 등록됐지만 실제로는 하양-와촌1번이 환상리지선을 운행했으며, 현재는 809번에 이관됐다.] 포함), 진량2번 등으로 분리되어 일반적인 시내버스같이 카드를 찍고 타도 된다. [[대구대학교]] 정문쪽에도 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원래 노선망이 꽤 많았으나 코로나 여파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이 많아졌고 이 중 청도발 경산 경유 동서울행 시외버스는 2020년 2월 24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현재 운행되는 노선은 경주, 울산, 영천, 포항, 구미 정도이다. 여기는 현장발권만 가능하다. === 시내버스 === * [[경산시 시내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영천시 시내버스]]: 요금제가 완벽하게 통합되어 있다. 시외버스와 달리 시내버스 교통은 비교적 편리하다. [[경산시]]까지 운행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대구 시내버스]]가 많은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대구 시내버스]]의 노선번호에 8번([[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안심지구]],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영천시]] 금호읍)이나 9번([[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지구]], '''경산시(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제외)''')이 붙을 경우 그 버스는 [[경산시]]까지 운행하는 버스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경산시 시내버스|경산 시내버스]]가 [[영천시|영천]] [[신녕면]]까지 운행되고 반대로 [[영천시 시내버스|영천 시내버스]] [[영천 버스 55, 555|55, 555번]]이 [[하양읍|하양]]을 통과해서 [[영천시|영천]]과의 교통도 편리하다. 단, 34'''9'''([[대구종합유통단지]]~[[황금역|황금네거리]]~시지지구), 61'''8'''(대곡지구~동구청~동호지구), '''8'''05([[반야월역]]~[[반월당역]]~[[장기동(대구)|장기동]]), '''8'''36(반야월역~복현오거리~[[대천동공영차고지]]), '''8'''49(-1)(동호지구~[[담티역]]~동호지구), '''9'''37(시지지구~복현오거리~관음동)번은 아니다. 왜냐하면 노선번호 체계에서 8번은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을 비롯한 경산 북부 지역 외에도 [[대구광역시|대구]] [[동구(대구)|동구]] [[안심지구]], 9번은 남경산 외에도 [[대구광역시|대구]] [[수성구]] [[시지지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8'''08번은 [[대구대학교]]와 [[영천시]] 금호읍까지 가는 분리노선이 각각 있지만 둘 다 [[하양읍]]을 거친다. 대구와 경산, 영천의 시내버스에는 [[시계외요금]]이 없다. 요금체계와 환승 체계 또한 동일해서 왕복이 용이하다. 특히 [[경산시|경산]]이 사실상 [[대구광역시|대구]]와 동일한 생활권에 속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실 [[대구광역시|대구]]와 [[경산시|경산]], [[영천시|영천]] 모두 [[시계외요금]] 자체가 없다. 즉 대구에서 대구 시내를 왕래하든, 경산이나 영천까지 가든, 동명까지 가든 요금은 똑같다는 것.] 특이점은 버스정류장 안내판에 '앞'과 '건너'를 표기해 두어 방향을 헷갈릴 일이 없다. 이는 [[대구광역시|대구]]나 [[영천시|영천]] 등 일부 [[경상북도|경북]] 남부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https://youtu.be/-resdgUVeEs|영상]]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경산IC]]), [[새만금포항고속도로]]([[청통와촌IC]])[* 나들목과 요금소는 [[영천시]] [[청통면]]이지만 진출입은 [[와촌면]]에서 가능하다.]가 있고,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고속도로]]는 경산을 지나가지만 관내에 IC가 없다.[* 다만 [[수성IC]]로 접근이 가능하다.] === [[국도]] === [[4번 국도]]와 [[25번 국도]]가 있다. * [[4번 국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경산시|경산]] [[하양읍]]을 거쳐 [[영천시|영천]]으로 넘어가는 국도이다. 대구 - 하양 - 영천 간 대체도로가 없다시피하기 때문에 교통량이 많다. 심지어 [[하양읍]]내를 우회하는 도로가 없기 때문에 자주 막힌다. * [[25번 국도]]: [[청도군|청도]]에서 넘어와 남천, 시내를 거쳐 [[대구광역시|대구]] 수성구로 들어간다. 시내를 관통하고 대구 [[시지지구]] 방면으로 통하다 보니 통행량이 많다. 시내 이남은 최근에 왕복 4차로로 개량되었다. === 지방도 === 그 외 [[919번 지방도]]가 경산 시내 - [[압량읍]] - [[진량읍]] - [[하양읍]]을 이어주고 [[경산IC]]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위의 두 국도만큼 교통량이 많다. [[분류:경산시의 교통]][[분류:경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