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경산시)] [include(틀:경산시의 읍면동)]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bgs-map.png|width=600]] 경산시는 3읍 5면 7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 1월 1일부로 압량면이 압량읍으로 승격되었다. 동 지역과 압량읍, 남천면은 구 경산현,[* 이 외에도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지구|가천동·고모동·노변동·대흥동·매호동·사월동·삼덕동·성동·시지동·신매동·연호동·욱수동·이천동(이상 舊 경산군 고산면)]]이 경산현에 속했다.]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은 구 하양현,[* 이 외에 1981년 7월 1일에 대구광역시로 넘어간 옛 안심읍 지역인 대구광역시 동구 신기동, 율하동, 매여동, 상매동, 용계동, 율암동, 신서동, 사복동, 숙천동, 서호동, 금강동, 각산동, 대림동, 괴전동, 내곡동, 동호동, 동내동도 옛 하양현 지역에 속했다.] 남산면, 용성면, 자인면은 구 자인현 지역이다. == 옛 경산현 지역 == 아래의 지역은 조선시대부터 경산에 속했던 지역이다. 동 지역 전체와 압량읍, 남천면의 1읍 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 지역 === [[행정동]]들의 명칭은 죄다 방위를 딴 몰개성한 이름이라, 특정 지역을 칭할 때는 [[법정동]] 명칭이 활발하게 통용되는 편이다. ==== 남부동 ==== 관할 법정동은 백천동·삼남동·상방동·서상동·신교동이다. 인구는 '''19,481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상방동에는 경산생활체육공원,[* [[경산실내체육관]]은 계양동 관할이다.] 백천동에는 중소기업대구경북연수원이 있다. 상방동에는 약간의 아파트 단지가 있고 백천동에는 소규모 아파트 단지들과 원룸촌이 있다. 백천동에 경산시 유일의 종합병원인 경산종합병원이 있다. 학교는 경산초, 삼성현초, 경북체중, [[문명중학교|문명중]], 삼성현중, [[경북체육고등학교|경북체고]], [[문명고]][* [[박근혜정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국정 역사교과서 문제]] 때문에 한때 논란이 되었던 학교이다. 원래는 청도군 운문면 대천리에서 개교한 사립 학교로, 1993년 [[운문댐]] 공사로 수몰 지역에 포함되자 청도를 떠나 백천동으로 이전했다. [[경산버스]] 산하의 문명교육재단에서 운영한다.]가 있다. [[대신대학교]]가 문명고 옆에 붙어 있다. ==== 동부동 ==== 관할 법정동은 계양동(일부)·남방동·내동·사동·삼풍동·신천동·여천동·유곡동·점촌동·평산동이다. 인구는 '''38,432명'''[*A]으로 경산시 읍면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계양동을 제외한 나머지는 압량읍에서 편입한 곳으로, 사동에는 [[대구지방법원]] 경산시법원과 경산시립[[박물관]], 유곡동에는 [[대구한의대학교]] 삼성캠퍼스, 평산동에는 옛 [[대구미래대학교]]가 있다. 여천동에는 옛 '''[[아시아대학교]]'''가 여천동에 있었다가 폐교된 후 [[대구한의대학교]] 오성캠퍼스가 들어섰다.[* 여담으로 [[대구한의대학교]] 오성캠퍼스는 행정구역상 여천동이라 동부동 관할이지만 지리상 거의 남산면으로 취급받는다(...). 정확히는 여천동과 남산면 양 쪽에 속해 있다.] 계양동과 사동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있는데 특히 사동지구에는 꾸준히 아파트들이 들어서고 상업시설도 늘고 있어 인구가 계속 유입되고 있다. 계양동에는 경산경찰서, 경산시보건소가 있다. [[영남대학교]] 캠퍼스의 약 40%정도가 삼풍동에 해당된다. 학교는 남성초, 동부초, 사동초, 평산초, [[경산중학교|경산중]], 사동중, [[경산고]], [[사동고]]가 있다. 자인면으로 가는 길에 있는 신천동에는 2007년에 경산CNG충전소가 설치되어 [[영남대학교]]나 자인, 압량 등지에서 운행을 끝낸 시내버스들이 가스를 충전하러 신천동으로 많이 들어온다. 옛 대구미래대학교 근처에서 [[한국조폐공사]] 경산조폐창으로 가는 갈림길에는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의 차고지가 있다. 근데 교통이 상당히 아쉽다. 2017년 통계 기준으로 경산시에서 '''가장 많은 인구 증가'''를 보이는 곳이 바로 이 동부동인데도 불구하고 버스는 배차간격이 매우 긴 버스들이 매우 많고, 지하철역으로 가는 버스는 꽤나 많은 편인데 이들의 배차 간격도 전부 길다.[* 오히려 이렇게 접근성이 조금 떨어진다는 점이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것을 피하고 싶은 부유층에게는 매력 포인트일 수도 있다. 사동과 평산동 지역에 고급 전원주택단지가 들어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볼수 있다. 오죽하면 이 지역도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동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을 정도.] 무엇보다 동부동은 다른 평평한 동과는 달리 오르막 내리막이 엄청 많아서 겨울에 눈이 많이 와 길이 얼어버리면 진짜 매우 흔하게 차사고를 본다... 여담으로 2015년 사동고등학교가 생기며 사동이 경산에 '동'중에는 동 이름 걸고 초중고 다 가진 첫 동이 되었다. [[6.25 전쟁]] 당시에 가슴아픈 [[경산 코발트광산 학살사건|대규모 학살 사건]]이 발생한 곳이 이 지역이다. 한의대로의 개통에 따라, 자인면을 거치지 않고 바로 남산면 안쪽으로 오갈 수 있다. ==== 북부동 ==== 관할 법정동은 갑제동·계양동(일부)·대동·대정동·대평동·임당동·조영동이다. 인구는 '''16,902명'''.[*A] 이 중에서 갑제동과 조영동은 압량읍에서 편입한 곳이다. 갑제동과 대동, 조영동에 걸쳐 [[영남대학교]] 캠퍼스가 있으며 갑제동에는 경상북도경산교육지원청, 대동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조영동에는 조영동고분군, 임당동에는 [[임당동 고분군]]이 있다. 참고로 조영동에는 75번 종점이라고 부르는 [[삼천리버스]] 차고지 겸 영남대학교 종점, 경산소방서가 있었다.(모두 압량읍으로 이전) 그 일대는 영남대학교 번화가이자 원룸촌이다. 조영동은 압량읍 부적리와 시가지가 그대로 이어진다. 학교는 임당초, [[경산과학고]]가 있다. 경산사거리 동북쪽 방면으로는 대평동과 임당동의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는데, 대략 50만평에 달하는 이곳에 약 1만여 세대의 주택공급이 예정되어 있어(통칭 '대임지구') 앞으로 도시경관 및 시민생활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 곳이다. ==== 서부1동 ==== 관할 법정동은 사정동·옥곡동·옥산동(일부)이다. 원래 서부동이었다가 인구 증가로 2004년 10월 18일 서부1동과 서부2동으로 분동되었다. 인구는 '''34,389명'''.[*A] [[경부선]] [[경산역]]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있다. 경부선 주변으로 시가지가 빽빽하게 들어서 있기 때문에 더 이상 개발할 땅이 없다. [[수성구]] [[시지지구]]-서부2동-서부1동으로 연담화가 되어 있으며, 남천을 경계로 다른 동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시지 생활권에 더욱 가깝다. 옥산동에 [[경상북도개발공사]]가 있었으나 [[예천군]] 호명면 [[경상북도청신도시]]로 이전했다. 학교는 서부초, 옥곡초, 장산초, [[장산중학교(경북)|장산중]], 경산여고가 있다. ==== 서부2동 ==== 관할 법정동은 옥산동(일부)·정평동·중방동(일부)·중산동이다. 인구는 '''35,520명'''.[*A]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정평역]], [[이마트 경산점]]이 있다. 참고로 서부2동 일대에는 옛날 [[새한그룹|새한]] 경산공장을 포함하여 공장들이 밀집했던 곳으로 재개발을 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중산신도시 개발이 진행되는 등 신개발 지역이지만, 경산시장 일대에 비해 시내버스 노선망이 상당히 적어 시내로 이동하려면 [[정평역]]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학교는 성암초, 정평초가 있다. ==== [[중방동]] ==== 관할 법정동은 중방동(일부)이다. 인구는 '''9,320명'''.[*A] [[경산시청]], [[경산시외버스정류장]],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임당역]], 경산[[향교]]가 있다. 학교는 중앙초가 있다. ==== 중앙동 ==== 관할 법정동은 삼북동·중방동(일부)이다. 인구는 '''6,159명'''.[*A] [[경산시]]의 [[시내]] 지역이자 중심지인 [[경산시장]]이 있다. [[경산시]]로 넘어가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대다수는 중산삼거리에 있는 시 경계에서 [[경산역]]으로 우회전하여 경산시장으로 들어오지만, 정작 이 곳 일대에서는 지하철을 이용하러 [[임당역]]으로 가자면 너무 돌아서 가게 되고 [[정평역]]으로 가는 노선은 [[경산 버스 남천1|남천1번]]밖에 없기 때문에,[* [[대구 버스 980|980번]]도 있지만, 영대로 들어오기 전에만 편도 운행한다.] 지하철을 이용하고 싶으면 중산삼거리에 있는 대구/경산시 경계를 넘어가서 '''[[사월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 읍면 지역 === ==== [[남천면]] ==== 면소재지는 삼성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구일리·금곡리·대명리·산전리·삼성리·송백리·신방리·신석리·원리·[[하도리]]·협석리·흥산리] 인구는 '''2,818명'''.[*A] 경산에서 청도 넘어가는 길목이다. 경산시내와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영남외국어대학]]을 제외하곤 한적한 시골이며 [[제2수송교육연대]]의 주둔지이다. ==== [[압량읍]] ==== 읍소재지는 부적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가일리·강서리·금구리·내리·당리리·당음리·백안리·부적리·신대리·신월리·신촌리·압량리·용암리·의송리·인안리·현흥리]이며, 인구는 '''20,724명.'''[*A] [[2016년]] [[5월 18일]]부터 인구가 2만 명을 돌파해, 2019년 9월 20일 읍 승격이 확정됐고, 2020년 1월 1일 읍으로 승격됐다. 지도로 보면 알겠지만 굉장히 면적이 좁은 읍이며, 시가지는 부적리와 신대리에 걸쳐 있고 바로 옆 북부동과 연담되어 있다. 부적리 북쪽의 금구리에는 시내버스 종점이 있다. 고대 [[진한]]의 [[압독국]](또는 압량국, 압량소국)이 있던 곳이며, 경산 시내와 비교적 가깝다. 조영동 시가지와 연담되어 있는 신대리와 부적리에는 [[신대부적지구]]가 있는데, 아파트들이 점점 들어서고 있으며 원룸촌들이 밀집해 있다. 신대리에는 2014년 10월 29일 [[경산소방서]]가 [[영남대학교]] 옆에서 이전해 왔다. 읍사무소 근처에 있던 압량초등학교도 신대부적지구 개발 이후 2017년 3월에 신대리로 이전해 왔다. 학교는 압량초, 현흥초, [[압량중학교|압량중]]이 있다. [[대구국제공항]]과 K-2 비행장이 9km나 떨어져 있으나 대구국제공항만 아파트랑 언덕으로 가려져 안 보일 뿐이지 압량읍 북쪽에 있는 들판지대는 비행기 항로로 활용되었으며, 이착륙하려 낮게 날아가는 비행기가 선명히 보인다.[* 이는 대구 [[북구(대구광역시)|북구]]의 국우동이나 연경동도 마찬가지. 서쪽 방향으로 향할 때 대구국제공항과 K-2 비행장에 있는 비행기들은 사람이 적게 사는 국우동ㆍ연경동 항로를 활용했다. 그래서 경산 압량읍과 대구 북구 국우ㆍ연경동은 비행장에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소음 피해가 가장 큰 지역이 되었다.] 자인면과 인접한 당리리에는 [[경산버스]]의 차고지가 있다. == 옛 하양현 지역 == 아래의 지역은 1914년 경산군에 합병되어 폐지된 [[하양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하양읍]] === 읍소재지는 금락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교리·금락리·남하리·대곡리·대조리·대학리·도리리·동서리·부호리·사기(沙器)리 ·서사리·양지리·은호리·청천리·한사리·환상리] 인구는 '''31,132명.'''[*A] 舊 하양군의 중심지로 1973년 7월 1일 안심면과 같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대구권의 교육 기능을 분담하는 [[경산시]]답게 몇몇 대학교들이 소재한 곳으로 인구 대비 유동인구가 많다. 금락리에는 [[대구선]] [[하양역]],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산시립[[도서관]]이 있으며 부호리에는 [[경일대학교]], [[호산대학교]], 사기리에는 환성사, 은호리에는 [[국군대구병원]]이 있다. 여담으로 대구보다도 더운 경산 내에서 독보적 원탑인 곳이다. 서사리, 양지리 일대로 택지가 조성되면서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 학교는 금락초, 청천초, 하양초, 하주초, [[대구가톨릭대학교사범대학부속무학중학교|대구가톨릭사대부속무학중]], [[하양여자중학교|하양여중]], [[대구가톨릭대학교사범대학부속무학고등학교|대구가톨릭사대부속무학고]], 하양여고가 있다. === [[와촌면]] === 면소재지는 덕촌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강학리·계당리·계전리·대동리·대한리·덕촌리·동강리·박사리·상암리·소월리·시천리·신한리·용천리·음양리] 인구는 '''5,458명.'''[*A] 서부 지역이 [[팔공산도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청통와촌IC]]의 진입로가 있다. 사실 경산시내보다 [[영천시|영천]]시내와 가까운 곳으로 [[하양읍]] 생활권이다. 대한리에는 [[갓바위(팔공산)|갓바위]][*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진인동에서 올라오는 것보다 이 쪽으로 올라가는 편이 30분 정도 빠르고 길도 편하다. 와촌 쪽은 뒷갓바위로 부르고, 동구 쪽은 앞갓바위로 부른다.]가, 강학리에는 [[불굴사]]가 있다. 소월리에는 [[하양읍]] 대학리와 더불어 2022년까지 경산지식산업경제자유구역이 조성되고 있으며[* 건설기계·부품, 의료기기·메디컬 신소재 특화단지, 생활편의시설, 의료시설 등이 들어선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유일하게 [[경상북도]] [[영천시]]로 운행하는 [[대구 버스 808|808번]] 금호행이 와촌면 용천리, 시천리, 계당리를 경유한다. 용천리에 하양CNG충전소가 2008년 12월에 영업을 개시하여, [[하양읍|하양]]이나 [[대구대학교|대구대]] 쪽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들이 충전하러 많이 들어오고 [[영천교통]] 차량들도 용천리에 와서 가스를 충전한다.[* 아직 [[영천시]] 관내에 CNG충전소가 없다.] 학교는 계당초, 대동초, 와촌초가 있다. [[갓바위(팔공산)|갓바위]]는 행정구역상으로 [[와촌면]] 대한리에 속한다. == 옛 하양현 + 자인현 지역 == 진량읍은 1914년 통합 당시 하양군에 속한 2개 면과 자인군에 속한 2개 면을 통합하여 설치하였다. === [[진량읍]] === 읍소재지는 신상리, 관할 법정리는 25개이다.[* 가야리·광석리·내리리·다문리·당곡리·대원리·마곡리·문천리·보인리·봉회리·부기리·북리·상림리·선화리·속초리·시문리·신상리·신제리·아사(阿沙)리·안촌리·양기리·평사리(坪沙里)·평사리(平沙里)·현내리·황제리] 1997년 11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하양읍]]을 제치고 가장 비약적으로 성장한 읍으로, 인구는 '''34,608명'''[*A]으로 경산시 읍면 중 인구가 가장 많다. 환상리에는 [[경부고속도로]] [[경산IC]], 선화리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 내리리에는 [[대구대학교]][* 이 곳 역시 커서 동측 일부는 [[영천시]] 금호읍 남성리 관할이다.], 봉회리에는 [[영남신학대학교]], 신상리에는 [[경산시]] 공업의 중심인 진량공단이 있다. 또한 양기리에는 [[코오롱인더스트리]]의 경산공장이 위치해 있다. 부기리에는 100kW의 대출력을 자랑하는 [[KBS대구방송총국|대구]] [[KBS 제1라디오]] AM 송신소가 있다. 학교는 다문초, 봉황초, 부림초, 진량초, 진성초, [[신상중학교(경북)|신상중]], [[진량고]]가 있다.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등에서 온 외국인노동자가 엄청나게 많은 동네다. 길거리에 경고문, 안내문 등이 한글이 아니라 중국어로 써져있을 정도. == 옛 자인현 지역 == 아래의 지역은 1914년 이전의 자인군의 영역에 해당한다. === 남산면 === 면소재지는 산양리, 관할 법정리는 18개이다.[* 갈지리·경리·남곡리·반곡리·사림리·사월리·산양리·상대리·송내리·안심리·연하리·우검리·인흥리·전지리·조곡리·평기리·하대리·홍정리] 인구는 '''3,687명'''.[*A] 삼성현역사문화공원과 [[반곡지]], 지금은 몰락한 [[상대온천]]이 있다. 갈고개를 통해 [[청도군]] [[금천면(청도군)|금천면]]으로 넘어갈 수 있으며, [[운문사]] 쪽으로 갈 때 용성면을 거치는 것보다 갈고개로 넘어가는 게 조금 더 가깝다. 그래서 갈고개행 [[경산 버스 남산2|남산2번]]의 일부가 [[청도군]] [[금천면(청도군)|금천면]] 동곡리의 동곡터미널까지 다니기도 한다. [[시계외요금]]은 없다. 반곡지라는 연못이 있는데 아주 신비로운 풍경을 자랑하는 곳으로 사진 동호인들이 즐겨찾는다. 학교는 남산초, [[영남삼육중학교|영남삼육중]], [[영남삼육고등학교|영남삼육고]]가 있다. 2017년 4월 20일 남산면에 있는 자인농협 하남지점 은행에 강도가 들어 '''단 4분'''만에(11시 55분~11시 59분) 15,630,000원을 털어 자전거를 타고 달아났다. 경찰이 7분만에 출동했지만 범행이 채 5분도 안 되어 끝나 놓치고 말았다. 현상금은 300만 원에서 다음날 오전을 기점으로 천만원까지 인상됐다. 다행히 이틀 뒤에 충북 단양에서 검거됐다. 여담으로 범행에 사용된 총기가 레밍턴에서 제조한 [[M1911|M1911A1]]로 밝혀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제조년도는 1943~1945년도 쯤으로 추정 중. === [[용성면]] === 면소재지는 당리리, 관할 법정리는 20개이다.[* 가척리·고은리·고죽리·곡란리·곡신리·내촌리·당리리·대종리·덕천리·도덕리·매남리·미산리·부일리·부제리·송림리·외촌리·용산리·용전리·용천리·일광리] 인구는 '''3,272명'''.[*A] [[경산시]]에서 가장 도시화가 덜 된 동네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거나 비교적 나은 다른 읍면동과는 다른 전형적인 시골이다. 관광 자원도 하나식물원 빼곤 딱히 내세울 게 없다. 경산시내에서도, 영천시내에서도 멀리 떨어져 있으며 오히려 [[청도군]] [[금천면(청도군)|금천면]]과 가깝다. 웬만한 곳으로 가려면 자인면 동부리의 자인정류장으로 가야 한다. 대종리 등 동남쪽 5개 리는 비오재라는 고개를 넘어가야 하는 굉장히 고립된 동네이다. 학교는 용성초, [[용성중학교(경북)|용성중]]이 있다. [[메가공무원]]의 한국사 강사인 [[전한길]]이 용성면 출신이다. === [[자인면]] === 면소재지는 북사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계남리·계림리·교촌리·남신리·남촌리·단북리·동부리·북사리·서부리·신관리·신도리·옥천리·울옥리·원당리·읍천리·일언리] 인구는 '''5,403명.'''[*A] 舊 자인군의 중심지로 동부 3개 면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면소재지도 규모가 꽤 되고 바로 옆에 경산산업단지가 붙어 있다. 동부리에 자인정류장이 있으며, 용성/남산 일대의 환승센터 역할을 한다. 단북리에 [[대경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자인초, 경산제일중, 자인중,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경북기계금속고]], 경산제일고와 특수학교인 경산자인학교가 있다. == 여담 == [[경상북도]]에서는 위에서도 나오는 아사리, 사기리처럼 어감이 좋지 않거나 혐오감을 주는 지명들을 바꾸기 위해 실태조사를 한다고 하고 주민들의 개명 의견을 받는다고 한다.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5393&yy=2014#axzz3AYMxeC5X|관련 기사]]. [[분류:경산시]][[분류:경산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