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98년 설립]][[분류:1898년 해체]][[분류:대한제국의 신문]] [include(틀:대한제국의 신문)] ---- ||<-3> {{{#9e4233 {{{+1 '''경성신문'''}}}}}}[br]{{{-1 京城新聞}}} || ||<-2> '''국가''' ||<-2>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제국)] || ||<-2> '''본사 소재지''' ||<-2> [[한성부]] 전동 [[윤치호]] 자택 || ||<-2> '''창간''' ||<-2> [[1898년]] [[3월 2일]] || ||<-2> '''종간''' ||<-2> [[1898년]] [[9월 4일]][br]{{{-1 (동년 4월 6일부터[br]《대한황성신문》으로 제호 변경)}}} || ||<-2> '''설립자''' ||<-2> [[윤치호]] 등 || ||<-2> '''주필''' ||<-2> [[유근]] || ||<-2> '''종류''' ||<-2> 상업신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성신문.png|width=100%]]}}} || || {{{#fff ''' 1898년(광무 2년) 3월 30일 자 《경성신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성신문'''(京城新聞)은 [[대한제국]]의 신문으로, 한국사 최초의 상업지이다. [[1898년]](광무 2년) 3월 2일에 창간했다. 여기서 '경성(京城)'은 [[일제강점기]]의 '[[경성부]]'가 아닌, '서울(京) 도성(城)', 즉 수도를 가리키는 일반명사이다. == 역사 == [[윤치호]]가 주축으로 만든 신문이다. 창간 당시 사옥도 윤치호의 집이었으며 본인이 직접 필진을 맡았다. 뿐만 아니라 사촌 윤치소도 필진의 일원이었다.[* 대한민국 4대 대통령 [[윤보선]]의 아버지이다. 윤치소 외에도 윤치호, 이종일, [[이승만]] 등이 필진을 맡았다.] 사실 윤치소에 대해 저렇게만 말하기는 조금 그런 것이, 사실상 《경성신문》의 경영을 맡은 사람은 윤치소였기 때문이다. 그해 5월에 [[서재필]]이 [[고종(대한제국)|고종]]과의 갈등으로 [[미국]]으로 돌아가자 윤치호가 《[[독립신문]]》의 주필이 되었기 때문이다. 허가처인 농상공부에서 발행인가를 내준 날짜는 3월 8일이었는데 그 6일 전에 이미 창간호를 냈다. 윤치호와 사무원 정해원은 농상공부에 제출한 발행 청원서를 통해 경성신문의 발행 취지를 "우리나라 상업의 번창과 왕성을 위해 각 물건의 시세와 사람들이 보고듣는 것을 적고...(중략)... 각 분야의 상인들의 이익을 돕고자 한다"고 밝혔다. 즉, 상업 소식을 중심으로 전함으로써 상업 융성에 힘을 보태겠다는 뜻이었다. 창간 불과 1달 뒤인 4월 6일(제11호)부터 《대한황성신문(大韓皇城新聞)》으로 개칭했다. 그냥 '서울의 신문'이란 뜻보다는 자주독립국가인 '[[대한제국]]의 황성(수도)에서 내는 신문'이란 의미를 담았던 것. 신문사에서는 이름을 바꾸면서 [[장지연]]과 [[남궁억]]을 새로운 필진으로 영입했다. 다만, 기존 임원진은 그대로 유임했다. 그러나 얼마 못가 내분이 생기면서 윤치호가 신문 사업에서 손을 떼었다. 이후 남궁억이 신문사를 인수했고, 신문 제호를 《황성신문》으로 바꾼 뒤 일간으로 바꾸어 재창간했다. 이후의 역사는 [[황성신문]] 문서 참조. 《대한황성신문》의 일부 직원들은 따로 신문사를 차렸는데 이것이 《제국신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국신문]] 문서 참조. == 구성 == 한 주에 2번, [[수요일]]과 [[토요일]]에 발행했으며 전부 [[한글]]만 사용했다. 소형판 2면을 각각 총 3단으로 구성했고 1단 당 36행, 1행 당 20자를 사용했다. 구성은 《[[독립신문]]》과 비슷했다. 신문 이름을 첫 면 맨 위에 큼지막하게 두고 그 아래에 논설, 관보, 외신을 실었다. 또한 중간에 사설을 실었고 뒷 부분에는 평범한 일상 소식들을 게시했다. 신문 아랫부분에는 광고를 넣었다. 당시 신문 중 구독료가 알려져있는 몇 안되는 신문이다. 1장에 엽 5푼, 선납급은 1달 분이 14돈, 1년 분이 엽 4냥 2돈이었으며 서울이 아닌 지방에 사는 구독자에게는 배달료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