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역사 학술서]] [목차] == 개요 == 경인문화사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학]] 연구총서. == 구성 == || {{{#ffffff 권호}}} || {{{#ffffff 제목}}} || {{{#ffffff 발행년도}}} || {{{#ffffff 저자}}} || {{{#ffffff 쪽수}}} || || 1 || 고려시대의 단군전승과 인식 || 2002년 || 김성환 || 362쪽 || || 2 || 대한제국기 야학운동 || 2005년 || 김형목 || 424쪽 || || 3 || 한국중세사학사 : 조선시기편.2 || 2002년 || 정구복 || 460쪽 || || 4 || 박은식과 신채호 사상의 비교연구 || 2002년 || 배용일 || 359쪽 || || 5 || 중경 대한민국임시정부사 || 2002년 || 황묘희 || 535쪽 || || 6 || 한국 고지명 차자표기 연구 || 2002년 || 이정룡 || 443쪽 || || 7 ||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 || 2002년 || 신안식 || 339쪽 || || 8 || 한국 고소설비평 연구 || 2002년 || 간호윤 || 456쪽 || || 9 || 한국 근대사와 만국공법 || 2002년 || 김세민 || 229쪽 || || 10 || 조선전기 성리학 연구 || 2002년 || 이애희 || 306쪽 || || 11 || 한국 중·근세 정치사회사 || 2003년 || 이상배 || 266쪽 || || 12 || 고려 무신정권시대 문인지식층의 현실대응 || 2003년 || 김호동 || 403쪽 || || 13 || 한국 위항문학작가 연구 || 2003년 || 차용주 || 398쪽 || || 14 || 다산의 '주역' 해석체계 || 2003년 || 김인철 || 295쪽 || || 15 || 신라 하대 왕위계승 연구 || 2003년 || 김창겸 || 484쪽 || || 16 || 한국 고시가의 새로운 인식 || 2003년 || 이영태 || 350쪽 || || 17 ||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 || 2003년 || 김영희 || 580쪽 || || 18 || 고려 예종대 정치세력 연구 : 한안인과 이자겸을 중심으로 || 2003년 || 김병인 || 248쪽 || || 19 || 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 2003년 || 박용운 || 402쪽 || || 20 || 최남선의 역사학 || 2003년 || 이영화 || 287쪽 || || 21 || 한국 근현대사의 탐구 || 2003년 || 조동걸 || 656쪽 || || 22 || 일제말기 조선인 강제연행의 역사 : 사료연구 || 2003년 || 정혜경 || 401쪽 || || 23 || 한국 중세축성사 연구 || 2003년 || 유재춘 || 633쪽 || || 24 || 정약용의 상제사상 || 2003년 || 김영일 || 286쪽 || || 25 ||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학파 || 2004년 || 신천식 || 740쪽 || || 26 || 19세기말 서양선교사와 한국사회 : The Korean repository를 중심으로 || 2004년 || 유영렬, 윤정란 || 402쪽 || || 27 || 식민지 시기의 역사학과 역사인식 || 2004년 || 박걸순 || 479쪽 || || 28 || 고려시대 시가의 탐색 || 2004년 || 김상철 || 355쪽 || || 29 || 조선중기 경학사상연구 : 16-17세기 『대학』주역서에 대한 분석 || 2004년 || 이영호 || 252쪽 || || 30 || 고려후기 신흥사족의 연구 || 2004년 || 이남복 || 261쪽 || || 31 ||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 2004년 || 문숙자 || 344쪽 || || 32 || 조선시대 관모공예사 연구 || 2004년 || 장경희 || 464쪽 || || 33 || 한국전통사상의 탐구와 전망 || 2004년 || 최문형 || 456쪽 || || 34 || 동학의 정치사회운동 || 2004년 || 장영민 || 649쪽 || || 35 ||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정 연구 || 2005년 || 류영철 || 323쪽 || || 36 || 한국 한문학의 이해 || 2005년 || 차용주 || 406쪽 || || 37 || 일제하 식민지 지배권력과 언론의 경향 || 2005년 || 황민호 || 330쪽 || || 38 || 기재기이 연구 || 2005년 || 유정일 || 341쪽 || || 39 || 다산 윤리사상 연구 || 2005년 || 장승희 || 396쪽 || || 40 || 조선시대 기상전답의 소유주 연구 || 2005년 || 박노욱 || 284쪽 || || 41 || 한국근대사의 탐구 || 2006년 || 유영렬 || 515쪽 || || 42 ||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연구 || 2006년 || 신용하 || 615쪽 || || 43 ||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 || 2006년 || 신용하 || 625쪽 || || 44 || 사계 김장생의 예학사상 || 2006년 || 장세호 || 318쪽 || || 45 || 고려대장경 연구 || 2006년 || 최연주 || 339쪽 || || 46 || 조선시대 정치권력과 환관 || 2006년 || 장희흥 || 347쪽 || || 47 || 조선후기 우금 주금 송금 연구 || 2006년 || 김대길 || 321쪽 || || 48 || 조선후기 불교와 사찰계 || 2006년 || 한상길 || 394쪽 || || 49 || 식민지 조선의 사회 경제와 금융조합 || 2006년 || 최재성 || 471쪽 || || 50 || 민족주의의 시대 : 일제하의 한국 민족주의 || 2007년 || 박찬승 || 436쪽 || || 51 || 한국 근현대사를 수놓은 인물들.1 || 2007년 || 오영섭 || 540쪽 || || 52 || 농암 김창협 연구 || 2007년 || 차용주 || 303쪽 || || 53 || 조선전기 지방사족과 국가 || 2007년 || 최선혜 || 332쪽 || || 54 ||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의 판각사업 연구 : 경전의 구성체제와 참여자의 출신성분 || 2008년 || 최영호 || 277쪽 || || 55 || 나말여초 선종산문 개창 연구 || 2008년 || 조범환 || 245쪽 || || 56 || 조선전기 사노비의 사회 경제적 성격 || 2007년 || 안승준 || 325쪽 || || 57 || 고전서사문학의 사상과 미학 || 2007년 || 허원기 || 307쪽 || || 58 || 신라중고정치사연구 || 2007년 || 김덕원 || 294쪽 || || 59 ||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 : 동학농민전쟁·항조·활빈당 || 2008년 || 박찬승 || 472쪽 || || 60 ||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 2008년 || 이해준 || 262쪽 || || 61 || 최송설당 문학 연구 || 2008년 || 김종순 || 310쪽 || || 62 || 고려후기 사원경제 연구 || 2008년 || 이병희 || 505쪽 || || 63 || 고려 무인정권기 문사 연구 || 2008년 || 황병성 || 247쪽 || || 64 || 한국고대사학사 || 2008년 || 정구복 || 359쪽 || || 65 || 한국중세사학사. 1. 고려시대편 || 2014년 || 정구복 || 588쪽 || || 66 || 한국근세사학사, 조선중·후기편 || 2008년 || 정구복 || 416쪽 || || 67 || 근대 부산의 민족운동 || 2008년 || 강대민 || 431쪽 || || 68 || 대가야의 형성과 발전 연구 || 2009년 || 이형기 || 253쪽 || || 69 ||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 연구 || 2009년 || 이순자 || 566쪽 || || 70 || 청평사와 한국불교 || 2009년 || 홍성익 || 338쪽 || || 71 || 고려시대 사원경제 연구 || 2009년 || 이병희 || 625쪽 || || 72 || 한국사회사의 탐구 || 2009년 || 최재석 || 516쪽 || || 73 || 조선시대 농본주의사상과 경제개혁론 || 2009년 || 오호성 || 350쪽 || || 74 || 한국의 가족과 사회 || 2009년 || 최재석 || 424쪽 || || 75 || 조선시대 단군묘 인식 || 2009년 || 김성환 || 258쪽 || || 76 || 일제강점기 단군릉수축운동 || 2009년 || 김성환 || 487쪽 || || 77 || 고려전기 중앙관제 성립 || 2010년 || 김대식 || 288쪽 || || 78 || 혁명과 의열 : 한국독립운동의 내면 || 2010년 || 김영범 || 605쪽 || || 79 ||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의 기초 || 2010년 || 조광 || 348쪽 || || 80 || 한국 근현대 천주교사 연구 || 2010년 || 조광 || 391쪽 || || 81 || 한국 고소설 연구 || 2010년 || 오타니 모리시게 || 486쪽 || || 82 || 고려시대 전장(田莊)의 구조와 경영 || 2010년 || 신은제 || 238쪽 || || 83 || 일제강점기 조선어 교육과 조선어 말살정책 연구 || 2010년 || 김성준 || 425쪽 || || 84 || 조선후기 사상계의 전환기적 특성 || 2010년 || 조광 || 562쪽 || || 85 || 조선후기 사회의 이해 || 2010년 || 조광 || 433쪽 || || 86 || 한국사학사의 인식과 과제 || 2010년 || 조광 || 431쪽 || || 87 || 고려 건국기 사회동향 연구 || 2010년 || 이재범 || 302쪽 || || 88 || 조선시대 향리와 지방사회 || 2010년 || 권기중 || 280쪽 || || 89 || 근대 재조선 일본인의 한국사 왜곡과 식민통치론 || 2010년 || 최혜주 || 406쪽 || || 90 || 식민지 근대관광과 일본시찰 || 2011년 || 조성운 || 481쪽 || || 91 || 개화기의 윤치호 연구 || 2011년 || 유영렬 || 352쪽 || || 92 || 고려 양반과 양반전(兩班田) 연구 || 2011년 || 윤한택 || 277쪽 || || 93 || 고구려의 요서진출 연구 || 2011년 || 윤병모 || 248쪽 || || 94 || 고려시대 송상왕래 연구 || 2011년 || 이진한 || 340쪽 || || 95 || 조선전기 수직여진인 연구 || 2011년 || 한성주 || 355쪽 || || 96 ||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 || 2011년 || 강재광 || 550쪽 || || 97 || 고구려역사제문제 || 2011년 || 박진석 || 610쪽 || || 98 || 삼국사기의 종합적 연구 : 한국고대사의 심층적 분석 || 2011년 || 신형식 || 726쪽 || || 99 ||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 || 2011년 || 최선일 || 434쪽 || || 100 || 한국독립운동의 시대인식 연구 || 2011년 || 한상도 || 499쪽 || || 101 || 조선총독부 중추원 연구 || 2011년 || 김윤정 || 423쪽 || || 102 || 미쩰의 시기 :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 2012년 || 김영수 || 297쪽 || || 103 ||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와 현실 || 2012년 || 박금해 || 526쪽 || || 104 || 지명과 권력 :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변천 || 2012년 || 김순배 || 661쪽 || || 105 || 일제시기 목장조합 연구 || 2013년 || 강만익 || 360쪽 || || 106 || 한글의 시대를 열다 : 해방 후 한글학회 활동 연구 || 2013년 || 정재환 || 456쪽 || || 107 || 고구려의 동북방 경역(境域)과 물길(勿吉) 말갈 || 2013년 || 김락기 || 277쪽 || || 108 || 조선후기 화폐유통과 경제생활 || 2013년 || 정수환 || 373쪽 || || 109 || 구비설화 속 거주공간과 인간욕망 || 2013년 || 김미숙 || 306쪽 || || 110 || 신라 목간의 세계 || 2013년 || 이경섭 || 455쪽 || || 111 || 일제시대 미곡시장과 유통구조 || 2013년 || 오호성 || 430쪽 || || 112 || 조선후기 정치·사회 변동과 추국 || 2013년 || 김우철 || 293쪽 || || 113 || 조선후기 지방사의 이해 || 2013년 || 김우철 || 296쪽 || || 114 || 고구려 남방 진출사 || 2014년 || 장창은 || 469쪽 || || 115 || 조선시대 사고제도 연구 || 2014년 || 박대길 || 319쪽 || || 116 || 조선시대 유람문화사 연구 || 2014년 || 이상균 || 386쪽 || || 117 || 일제강점기 도자사 연구 : 도자정책과 제작구조를 중심으로 || 2014년 || 엄승희 || 637쪽 || || 118 || 한국 근현대 불교사의 재발견 || 2014년 || 김순석 || 445쪽 || || 119 || 홍길동전 필사본 연구 || 2015년 || 이윤석 || 429쪽 || || 120 || 율곡 이이의 교육론 : 조선의 지도자교육과 국민교육론 이해 || 2015년 || 신창호 || 287쪽 || || 121 || 조선후기 영남 남인 연구 || 2015년 || 우인수 || 515쪽 || || 122 || 조선시대 여진인 내조 연구 || 2015년 || 박정민 || 359쪽 || || 123 || 경북유림과 독립운동 || 2015년 || 김희곤 || 562쪽 || || 124 || 근현대 중국관내지역 한인사 연구 || 2015년 || 김광재 || 527쪽 || || 125 || 강릉의 도시변천사 연구 || 2015년 || 김흥술 || 512쪽 || || 126 || 소화시평·시평보유 연구 || 2015년 || 차용주 || 435쪽 || || 127 || 정조의 무예사상과 장용영 || 2015년 || 최형국 || 241쪽 || || 128 || 고구려 남진 발전과 사적 의의 || 2015년 || 박성봉 || 241쪽 || || 129 || 일제하 한국기독교와 미션스쿨 || 2015년 || 박혜진 || 349쪽 || || 130 || 조선후기 양안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016년 || 박노욱 || 492쪽 || || 131 || 한글 창제 전후의 입겿 연구 || 2016년 || 남경란 || 367쪽 || || 132 || 최치원의 역사인식과 신라문화 || 2016년 || 김복순 || 297쪽 || || 133 || 한국 태실 연구 || 2016년 || 심현용 || 678쪽 || || 134 || 탕평시대 법치주의 유산 : 조선후기 국법체계 재구축사 || 2016년 || 김백철 || 385쪽 || || 135 || 구급방류 의서 연구 || 2016년 || 김남경 || 332쪽 || || 136 || 7세기 신라 정치사의 이해 || 2016년 || 박명호 || 331쪽 || || 137 || 고려사회의 이모저모 || 2017년 || 김호동 || 684쪽 || || 138 || 조선후기 실학자의 풍수사상 : 이재 황윤석, 존재 위백규, 여암 신경준의 풍수사상 연구 || 2017년 || 유기상 || 278쪽 || || 139 || 임진왜란과 조・명・일의 군수시스템 || 2017년 || 오호성 || 395쪽 || || 140 || 울릉도·독도·간도에 대한 일본의 인식 || 2017년 || 장영숙 || 195쪽 || || 141 || 고려시대 상주계수관 연구 || 2017년 || 한기문 || 417쪽 || || 142 || 고려시대의 도교 || 2017년 || 김철웅 || 437쪽 || || 143 || 대한제국기 경기도의 근대교육운동 || 2016년 || 김형목 || 283쪽 || || 144 || 백제멸망과 부흥전쟁사 || 2017년 || 이재준 || 405쪽 || || 145 || 한국어 정보학 || 2017년 || 남경란 || 322쪽 || || 146 || 조선초기 과전법 || 2017년 || 최이돈 || 419쪽 || || 147 || 조선전기 신분구조 || 2017년 || 최이돈 || 443쪽 || || 148 || 조선전기 특권신분 || 2017년 || 최이돈 || 444쪽 || || 149 || 조선전기 공공통치 || 2017년 || 최이돈 || 436쪽 || || 150 || 조선중기 사림정치 || 2017년 || 최이돈 || 445쪽 || || 151 || 조선의 근대전환과 평안도 연구 : 평안도인의 정치·문화 운동 || 2017년 || 하명준 || 373쪽 || || 152 || 고려후기 정치사 || 2017년 || 김창현 || 518쪽 || || 153 || 조선시대 지방양반의 존재양상 || 2017년 || 박진철 || 275쪽 || || 154 || 조선시대 번호(藩胡) 연구 || 2018년 || 한성주 || 373쪽 || || 155 || 해방 직후 국사교육 연구 || 2018년 || 김상훈 || 438쪽 || || 156 || 근현대 상해 한인사 연구 || 2018년 || 김광재 || 622쪽 || || 157 || 일본제국의 법과 조선기독교 || 2018년 || 안유림 || 528쪽 || || 158 || 중국 역사교과서의 서사구조와 이데올로기 || 2018년 || 윤세병 || 313쪽 || || 159 || 조선시대 한양과 지식인 || 2018년 || 이상배 || 384쪽 || || 160 ||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 이주·저항·정착의 점이지대 || 2018년 || 김주용 || 443쪽 || || 161 || 신라 왕경 형성과정 연구 || 2019년 || 이동주 || 325쪽 || || 162 || 이방인의 한국사 인식과 서술 || 2019년 || 장재용 || 336쪽 || || 163 || 안용복(安龍福)과 '죽도일건(竹島一件)' || 2019년 || 김호동 || 766쪽 || || 164 ||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 2019년 || 김아네스 || 532쪽 || || 165 || 남명 조식의 후학들 || 2019년 || 최석기 || 509쪽 || || 166 || 조선후기 경상우도의 학술동향 || 2019년 || 최석기 || 457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