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소량 황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A380 0%, #00C499 20%, #00C499 80%, #03A380)" {{{#ece5b6 '''목종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소역의 아들들)] ---- [include(틀:역대 양(남조) 황태자)] ---- [include(틀:역대 양(남조) 승상)]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3A380 0%, #00C499 20%, #00C499 80%, #03A380); color: #ece5b6" '''소량 제4대 황제[br]{{{+1 목종 경황제 | 穆宗 敬皇帝}}}'''}}} || ||<|2> '''출생''' ||[[543년]] || ||[[양(남조)|소량]] [[장쑤성|남난릉군]] [[창저우시|난릉현]][br](現 [[장쑤성]] [[창저우시]]) || ||<|2> '''즉위''' ||[[558년]] [[11월 1일]] || ||[[양(남조)|소량]] [[장쑤성|단양군]] [[난징시|건강현]][br](現 [[장쑤성]] [[난징시]]) || ||<|2> '''사망''' ||[[558년]] [[5월 5일]] (향년 15세) || ||[[진(남조)|남진]] [[난징시|건강]][br](現 [[장쑤성]] [[난징시]]) || || '''능묘''' ||미상 || ||<|4> '''재위기간''' ||'''{{{#ece5b6 소량의 황태자}}}''' || ||[[555년]] [[8월 28일]] ~ [[555년]] [[11월 1일]] || ||'''{{{#ece5b6 소량의 황제}}}''' || ||[[555년]] [[11월 1일]] ~ [[557년]] [[11월 1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소(성씨)|난릉 소씨]] || || '''휘''' ||방지(方智) || || '''부모''' ||부황 [[효원제|세조]][br]모후 황태후 하씨 || || '''형제자매''' ||6남 4녀 중 4남 || || '''배우자''' ||황후 왕씨 || || '''아명''' ||법진(法眞) || || '''자''' ||혜상(慧相) || || '''작호''' ||흥양후(興梁侯) → 진안왕(晉安王)[br]→ 양왕(梁王) → 강음왕(江陰王) || || '''묘호''' ||'''[[목종]](穆宗)''' || ||<|2> '''시호''' ||'''[[후량(남북조시대)|후량]]:''' 효성황제(孝成皇帝) || ||'''[[진(남조)|남진]]:''' 경황제(敬皇帝) || || '''연호''' ||소태(紹泰, [[555년]] ~ [[556년]])[br]태평(太平, [[556년]] ~ [[557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북조시대]] [[양(남조)|양나라]]의 4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 영가왕 소장(蕭莊)은 묘호는 목종(穆宗), 효성황제(孝成皇帝)라는 시호를 내렸고, 널리 알려진 시호인 경황제(敬皇帝)는 [[진패선]]이 내린 시호이다. 재위 기간 동안 소태(紹泰), 태평(太平)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 자는 혜상. 아명은 법진. == 생애 == 대동 9년(543년)에 태어났으며 원제 [[효원제|소역]]과 하씨의 9남이다. 승성 원년(552년)에 진안왕으로 책봉되고, 이듬해(553) 강주 자사에 임명되었다. 소방지의 형제들은 대부분 요절하거나 서위군의 강릉 습격 때 소역과 함께 사망했다. 승성 3년(554년) 12월, 태위 왕승변, 사공 [[진패선]]에 의해 태재로 옹립되었다. 소태 원년(555년) 정월, 서위군이 강릉을 깨뜨리고 소역을 죽이며, 소찰을 황제로 세우고 괴뢰 정권인 후량을 건국했다. 거기에 북제는 8년 전에 사로잡혔던 정양후 소연명을 석방시켜 양나라 황제로 세우고 강남을 뺏을 작정을 했다. 2월, 소방지가 황제에 올랐으나, 북제는 소방지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왕승변에게 서한을 보내 소연명을 황제로 세우라고 했지만 왕승변은 이를 거절했다. 3월, 하지만 북제의 군대가 침공해 오자 왕승변은 겁을 먹고, 소방지를 황태자로 세우는 조건으로 소연명의 동의하에 그를 5월에 황제로 내세웠다. 원래 진패선과 왕승변은 [[후경]] 토벌부터 대권 장악까지 함께 한 사이라서 서로의 자식들을 정략결혼까지 시켰다. 그러나 위태로운 동맹 관계였으며, 경구를 지키던 진패선이 여러 차례 사람을 보내 왕승변에게 소연명 추대에 대해 강경한 충고를 했지만 거절당하자 결국 이때부터 틀어지기 시작했다. 9월, [[석두의 변|진패선은 군대를 보내 왕승변을 죽였고, 소연명은 스스로 퇴위했다.]] 10월, 진패선은 다시 소방지를 황제로 추대하고 혼자 대권을 장악했다. 소방지는 북제에 서한을 보내 '북제의 신하로써 영원한 번국이 되기를 청원합니다'라고 했다. 북제에서는 사신을 파견하여 역양에서 양나라와 동맹을 맺었지만 북제는 [[뒤통수]]를 쳤다. 한편으로 진패선에 대해 불만을 품던 양나라 초주, 진주 자사 서사휘와 남예주 자사 임약을 후원하여 건강을 기습하게 했지만 실패했다. 소태 2년(556년) 3월, 북제는 서사휘, 임약과 함께 10만 대군을 동원하여 다시 건강을 공격했지만 진패선이 북제군을 대패시키고 서사휘를 사로잡은 다음 죽였다. 이로 인해 진패선의 위망은 날로 높아졌고 9월에는 승상, 녹상서사, 진위 대장군, 양주목, 의흥공이 되었다. 태평 2년(557년) 9월에는 상국이 되고 10월에는 진왕이 되었다. 10월, 소방지는 진패선의 협박을 이기지 못하고 그에게 선양하고 강음왕에 책봉되었다. 하지만 이듬해(558년) 4월, 진패선은 사람을 보내 소방지를 죽였는데 당시에 나이는 16세였다. 그래도 진패선은 양나라 황족 소씨를 몰살시키지는 않았다. 실제로 그 덕분인지, 진나라가 수나라에 멸망했을 때 수나라 문제 양견은 진나라 황족 진씨들을 살려주고 서북 변방으로 전부 이주시켰다.[* 그러나 자신이 무너뜨린 북주의 황제 우문천은 자신의 손으로 직접 목숨을 빼앗았다.] == 둘러보기(계보) == [include(틀:양서)] [include(틀:남사)] [include(틀:양기)] [[분류:양(남조)/황제]][[분류:망국의 군주]][[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분류:543년 출생]][[분류:558년 사망]][[분류:난릉 소씨]][[분류:양(남조)/황태자]][[분류:장쑤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