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경주 월성로 금구슬.jpg]] [[파일:경주 월성로 금구슬3.jpg]]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의 월성로 가-13호 무덤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금구슬]].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경주 월성로 금구슬2.jpg]] 전시된 모습. 좌측에 있는 유물은 [[경주 월성로 금귀걸이]]이다.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의 [[대릉원|월성로 고분군]] 가-13호 무덤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금구슬]] 일체로, 1985년 3월 22일부터 같은 해 6월 22일까지 월성로 좌·우측의 하수도 정비공사를 하던 중 총 56기의 고신라시대 고분이 발견되자 [[문화재청]]을 중심으로 가-13호 고분 및 몇개 고분을 부분발굴하던 중 발견된 것이다. 당시 가-13호 고분에서는 약 800여점의 신라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아직 고분군의 완전 발굴은 이루어진 적이 없으나 [[경주 월성|월성]] 주변은 이미 3세기대부터 고분군이 조영되기 시작하였고, 늦어도 4세기 전반에는 이혈 으뜸·딸린덧널식의 대형 덧널무덤이 조영되는 등 고신라 초기부터 무덤 조성이 이루어진 매우 이른 시기의 고분군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황금 구슬들의 제작 연대는 대략 4~5세기(서기 300~400년대)로 추정된다. 신라의 정교한 황금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