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경주 월성로 금목걸이.jpg]]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의 월성로 가-13호 무덤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황금 [[목걸이]].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경주 월성로 금목걸이2.jpg]]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2454&cid=42665&categoryId=42666|사진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의 [[대릉원|월성로 고분군]] 가-13호 무덤에서 발굴된 신라시대 금목걸이로, 1985년 3월 22일부터 같은 해 6월 22일까지 월성로 좌·우측의 하수도 정비공사를 하던 중 총 56기의 고신라시대 고분이 발견되자 [[문화재청]]을 중심으로 가-13호 고분 및 몇개 고분을 부분발굴하던 중 발견된 것이다. 당시 가-13호 고분에서는 금제 가는고리귀걸이와 금으로 만든 잔 등 800여점의 신라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아직 고분군의 완전 발굴은 이루어진 적이 없으나 [[경주 월성|월성]] 주변은 이미 3세기대부터 고분군이 조영되기 시작하였고, 늦어도 4세기 전반에는 이혈 으뜸·딸린덧널식의 대형 덧널무덤이 조영되는 등 고신라 초기부터 무덤 조성이 이루어진 이른 시기의 고분군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목걸이는 대략 4~5세기(서기 300~400년대)에 신라에서 제작된 황금 목걸이로, 순금을 가늘게 뽑은 후 여러줄을 꼬아 사슬 형태의 목걸이줄로 만든 후 황금고리를 달아 장식한 것이다. 오직 신라 고분에서만 발견되는 정교한 황금 세공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로,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2009년 방영된 MBC의 드라마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에서 [[경주 월성로 금귀걸이]]와 함께 [[태종 무열왕|춘추]]가 끼고 있는 장면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https://blog.naver.com/hs72hs72/220355075748|'선덕여왕'을 통해서 본 신라인의 장신구]] [[분류:신라의 금제유물]] [[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