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라의 금제유물]][[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분류:경주시의 문화재]][[분류:동궁과 월지]] [[파일: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3.jpg]] [[http://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01011000617828|사진 출처 : 두산백과(doopedia) - 안압지 금동봉황장식]]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 [[동궁과 월지|월지]](月池)에서 발견된 7세기~8세기 경 [[통일신라]]시대 금동 [[봉황]] 장식 1쌍. 현재 2점 모두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2.jpg]] 월지 금동봉황장식1. [[http://blog.daum.net/chefjhkim/6481022|사진 출처 : 경주박물관 - 안압지 유물]] [[파일: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4.jpg]] 월지 금동봉황장식2. [[https://blog.naver.com/chefjhkim/220578958012|사진 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 신라의 황금 문화와 불교 미술]] 과거 [[안압지]]라고 불리던, [[경주시]] [[동궁과 월지|월지]](月池)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금동 장식품이다. [[봉황]]을 묘사한 작품으로, 연구 결과 제작 연대는 7세기~8세기 무렵으로 확인되었다. 최초 발굴조사 당시 경주 월지에서는 무려 1만 5000여점이 넘는 신라시대의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불상]], [[숟가락]], 청동거울, [[벼루]], [[송곳]], [[가위]], 건물의 목재 조각, 심지어 유람용 배까지 별의별 유물들이 다 나왔다. 이후 지속적으로 월지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지면서 2008년 기준 금속공예품 1,152점, 목제품 920점, 철제품 603점, 와전류 24,353점, 토기류 3,388점, 기타 2,171점 등, 총 32,587점에 이르는 신라시대 유물들이 추가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http://blog.daum.net/tasofhso/15359030|#]] [[파일: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1.jpg]] 이 [[봉황]] 모양 장식품들은 월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당시 신라인들이 몸체와 양쪽 날개를 조형한 후 [[황금]]으로 [[도금]]한 작품이다. 그러나 현재 도금은 거의 빛을 잃은 상태이고, 이 중 1점은 날개 부분도 파손되어 있는 상태다. 봉황의 머리 위에는 뒤로 젖힌 [[뿔]]이 있고 볼록한 가슴에는 [[비늘]]이 있으며, 그 양쪽에 활짝 편 날개를 달았는데 날개는 현재도 움직여진다. 발 밑에는 둥근 받침이 있고, 부리에는 고리가 물려 있는 것으로 보아 어딘가에 부착했던 장식으로 추정되나 정확히 어디에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http://blog.daum.net/inksarang/16876203|금동제봉황장식(金銅製鳳凰裝飾)]] 이 금동 봉황 장식의 정확한 용도에 대해서는 그저 몇가지 가설만이 나오고 있다. [[파일: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5.jpg]] 월지 금동 봉황 장식과 함께 출토된 월지 금동보상화무늬 문고리(중앙)의 모습.[[https://blog.naver.com/bl85219/110100942745|사진 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 안압지관]] 첫번째는 이 장식품과 함께 발견된 금동보상화무늬 문고리와 셋트를 이룬다는 가정 하에, 당시 신라인들이 문을 열고 닫을 때 사용한 장식품이라는 주장이다. 이는 봉황의 부리에 고리가 걸려있다는 사실에서 유추한 것이다. [[파일:경주 월지 금동 봉황 장식6.jpg]] 월지 금동 봉황 장식과 함께 출토된 월지 금동 연봉장식(맨위)의 모습.[[http://www.dapsa.kr/blog/?p=25231|사진 출처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왕경]] 두번째는 경주 [[동궁과 월지|월지]] 및 [[경주 월성]]에서 수백여점이 쏟아져나온, 금동 연봉장식들과 셋트를 이룬다는 가정 하에, 당시 신라인들이 월지나 월성 해자 등의 다양한 인공 [[호수]]를 조성한 후 그 주변에 울타리와 난간을 설치하면서 함께 꽂아 장식한 황금 장식품들이라는 주장이다. 이쪽 가설이 사실일 경우 월지 주변을 걸을 때마다 연꽃봉오리와 봉황으로 장식된 황금 울타리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으로부터 1,300~1400여년 전에 만들어진 [[한국]]의 금동 장식품으로, 신라시대 금속공예술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