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희궁)] [include(틀:조선 왕궁의 동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 ||<-3> {{{#ffd700 {{{+1 '''경희궁 집희당'''}}}[br]{{{-1 慶熙宮 緝熙堂}}}}}}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경희궁2길, 너비=100%, 높이=100%)]}}} || ||<-2> {{{#ffd700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희궁2길 || ||<-2> {{{#ffd700 '''건축시기'''}}} || [[1620년]] 추정 {{{-1 (창건)}}} / [[1865년]] ~ [[1868년]] {{{-1 (철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궐도 집희당.png|width=100%]]}}} || || {{{#gold '''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묘사한 집희당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희궁]]의 [[동궁]]으로, [[태자|왕세자]]가 머무는 처소이다. 쉽게 말해 왕세자의 [[집]]. [[위치]]는 [[경희궁]] 영역의 동북쪽이었다. 《서궐도안》에 따르면 [[경희궁 장락전|장락전]]의 동남쪽, [[경희궁 경선당|경선당]]의 서쪽에 있었다고 한다.[* 단, 《궁궐지》에 따르면, [[경희궁 경선당|경선당]]의 북쪽에 집희당이 있었다고 한다.(정확하게는 집희당의 남쪽에 경선당이 있다고 쓴 것.)] 자리는, 확실하지 않으나 경희궁 2길과 경희궁길이 만나는 그 주변 언저리로 추정된다. == 이름 == 원래 이름은 채선당(綵線堂)이었으나 [[숙종(조선)|숙종]] 때 집희당으로 바꾸었다.[[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집희당(緝熙堂)|#]] '집희(緝熙)'는 ‘계속하여(緝) 밝게 빛난다(熙)’는 뜻이다. [[영조]]는 자신이 직접 지은 ‘집희당시’에서 “이 전각은 옛날 세자의 집이라, 집 안에 훌륭한 작품들이 새롭구나. '''계속하여 밝게 빛나니''', 어진 이를 높이어 날로 더욱 친하도다.”라고 이름의 의미를 읊었다.[[http://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06&mn=NS_01_09_02&nttId=3826&pageUnit=10|#]] == 역사 == 처음 건립된 때는 정확히 모르나 1620년([[광해군]] 12년)에 [[경희궁]]이 창건될 때 같이 지은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처음 나타나는 것은 1691년([[숙종(조선)|숙종]] 17년) 1월 22일의 《[[승정원일기]]》 [[기사]]이다. 이 때 내전은 흥태문으로, [[동궁|세자궁]]은 채선당의 동문으로 들어가라고 한 것을 보아 세자의 정식 처소인 [[경희궁 승휘전|승휘전]]이 전소되기 전부터 [[동궁]]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http://sjw.history.go.kr/id/SJW-D17010220-00400|#]] 그리고 승휘전이 불 타 사라진 후에는 [[경희궁 경선당|경선당]]과 함께 정식 처소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간혹 [[왕]]들이 이용한 경우도 있었는데, [[순조]]는 때때로 이 곳에서 묵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wa_11104029_002|#]][[http://sillok.history.go.kr/id/kwa_11105009_002|#]] 1829년(순조 29년) 10월에 [[경희궁 회상전|경희궁]] [[경희궁 융복전|내전]] 일곽에 [[화재]]가 일어났으나 경선당은 거리가 멀어 무사했다. [[순조]] 이후의 집희당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1860년대]] [[고종(대한제국)|고종]] 시기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대부분의 경희궁 [[건물]]들의 90%를 헐어다 경복궁 중건의 자재로 쓸 때, 철거되었다. > 서궐(경희궁) 내에는 [[경희궁 숭정전|숭정전]], [[경희궁 회상전|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경희궁 흥정당|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 >《경복궁 중건일기》 == 구조 == * 《서궐도안》에 따르면, 동향을 하고 있다. 정면 5칸, 측면 1칸의 총 5칸으로, 가운데 3칸은 [[대청]]이고 좌, 우에 [[온돌|온돌방]]을 각각 1칸 씩 두었다. [[지붕]]은 맞배지붕이고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했으며 [[치미]]를 올렸다. 그리고 건물 양 쪽과 앞, 뒤로 행각이 붙어있으며 서로 연결되어있다. 전체적으로 [[경희궁 경선당|경선당]]과 [[구조]]가 비슷하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희궁 경선당, version=3)] [[분류:경희궁]][[분류:조선 시대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