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溪巖日錄. [[조선]] 중기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문인이었던 계암(溪巖) 김령(金坽)이 1603년부터 1641년까지 39년 동안 쓴 [[일기]]. 총 8책. == 내용 == [[선조(조선)|선조]] 36년, 계묘년(1603년) 7월 1일부터 [[인조]] 19년, 신사년(1641년) 3월 12일까지의 매일의 생활상을 기록하고 있다. 전쟁 이후 쓰여진 일기이긴 하지만 저자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17세 때부터 [[류성룡]]의 막하로 자진 종군했으며, [[명나라]]의 총병사 [[오유충]](吳維忠)과 유격장 노득공(盧得功) 두 사람으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았을 정도였기 때문에 단편적으로나마 임난 당시의 상황에 대해 알 수 있는 기록물이기도 하다. 정치적인 내용 뿐만 아니라 저자가 1618년 [[소성대비]]의 폐위 후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은거했는데 이 덕분에 당시 경북 지역의 민심과 민간인들의 생활, 초야의 상황에 대한 내용 또한 자세히 알 수 있다. 일상 생활의 내용과 함께 지방관의 가렴으로 인한 민생의 심각성, 향시의 폐단 등 당시 나라상황에 대한 기록, [[광해군]] 치하 대북 정권의 전횡과 훈척 세력에 의해 추대된 [[인조반정]]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도 이루어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당대 [[사대부]]의 일상생활에서 사회정치적인 문제까지 남긴 자료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직접 겪었고, 광해군, 인조반정 시기를 살았던 향촌 사대부의 비판적 사회의식과, 지방 사회에 자리잡은 선비의 생활 자세를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 번역 == 2013년 11월에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번역을 완료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572857|네이버 연합뉴스]] [[분류:조선의 일기]][[분류:안동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