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프로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bio-rg-shirou.jpg|width=100%]]}}} || || '''이름''' || 郷 史朗[br](ごう しろう) || || '''현지화명''' || 설용 || || '''성별''' || [[남성]] || || '''연령''' || 24세 || || '''주요 출연작''' || [[초전자 바이오맨]] || || '''인물 유형''' || [[주인공]], [[히어로]] || || '''변신체''' || 레드 원 || || '''첫 등장''' || 수수깨끼의 거대로봇 출연[br](초전자 바이오맨 에피소드 1) || || '''마지막 등장''' ||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A 목소리 출연] || || '''배우''' || 사카모토 료스케[* 坂元亮介. 생년월일은 [[1959년]] [[8월 20일]]. 2016년, 해당 배우가 암투병(증세는 식도암 3기, 림프전이 있음) 중이라는 사실이 핑크 파이브 역의 배우인 마키노 미치코의 [[http://ameblo.jp/cocoa2617/entry-12194349575.html|블로그]], 페이스북을 통해 알려졌다. 젋었을 때 [[술]]을 많이 마셨기 때문이라고. (음주는 식도암의 원인). 다행히 9월 중 수술하여 잘 마무리 되어 현재는 특촬 관련 행사나 가수 활동 등을 하고 있다. 당시에는 16년 8월 27일에 열린 '아카마츠리(赤祭り - 슈퍼전대의 역대 레드들에 의해 매년 열리는 이벤트. 꼭 레드만 모이지는 않는 듯하며, [[다이(초신성 플래시맨)|그린 플래시]] 역의 우에무라 키하치로도 참여했다)'에서 바이오맨 멤버가 모두는 물론, [[타케루(광전대 마스크맨)|레드 마스크]]의 카이즈 료스케, [[고 시로#s-1|레드 원]]의 슈트 액터였던 니이보리 카즈오 등 많은 사람들이 모여 암투병을 응원하는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830676333735605&set=p.830676333735605&type=3&theater|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로부터 5년이 지난 2021년 10월 22일 마키노 미치코의 트위터를 통해 '''[[https://mobile.twitter.com/MICO2617/status/1451474164070551552?t=3DoLRQcyxS0PI4XmFvBNAA&s=19|암 완치]]''' 소식이 전해졌다.] || ||<|3> '''한국판 성우''' || [[오세홍]][* [[기동무투전 G건담]] 한국판 방영이 끝난 뒤, 열린 회식자리에서 오세홍이 다른 성우들에게 '나도 '열혈'해봤다.'며 이 캐릭터 이야기를 꺼냈다고 한다. 본작에서 생전에 본인이 말한 대로 열혈청년을 무척 잘 연기했다. 후속 작품인 [[전격전대 체인지맨]]에서 [[츠루기 히류]]와 [[형제권 바이크롯서]]에서 미즈노 켄를 맡았다.] || || [[심정민]][*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히어로 대결전|캡틴포스 VS 미라클포스 199 히어로 대결전]] 한정.] || || [[안효민]][*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가면라이더 VS 파워레인저 슈퍼 히어로 대전]] 한정. 자신이 직접 했다고 블로그에서 밝혔다.] || || '''슈트 액터''' || [[니이보리 카즈오]], [[아카다 마사토]][* 변신 전 액션더빙을 맡았다.] || [include(틀:초전자 바이오맨 레귤러 멤버)] [목차] == 개요 == || {{{#fff '''오프닝 소개 장면'''}}} || || 1 ~ 51화 || || [[파일:레드 원 오프닝.gif|height=300]] || 바이오맨의 리더인 레드 원으로 변신하는 주인공이자 리더.[* 소위 "1호"라는 칭호에 걸맞게 바이오맨들 중 가장 앞서는 넘버링이라는 점 뿐만 아니라, 나머지 4명도 사카모토 료스케를 실제로 마음의 리더라고 한다. 그린투를 연기한 오오타 타카히코는 사카모토 료스케를 많이 의지한다고 말하기도.] 멤버들은 그를 '''고상[* 한국말로 말하면 '''고 씨'''라는 뜻]''', '''고'''라고 부른다. == 작중 행적 == 일본인 최초로 우주비행사가 된 청년으로 1화에서 과학도시 테크노토피아 21에서 훈련 도중 신제국 기어의 습격을 받게 된다. 그리고 갑자기 나타난 [[바이오 로보]]에게 바이오맨의 리더인 레드 원으로 발탁된다. 이후 2화에서 500년 전 [[바이오 로보]]에게 바이오 입자를 받은 5명 중 하나의 후예였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당시 선조는 무사수행중이던 사무라이였다. 그래서 이러한 설정 때문인지 [[신제국 기어]] 간부들과 유독 검으로 싸우는 장면이 많다. 또한 검술 실력도 멤버 중 가장 뛰어나다. 사무라이 집안의 DNA 덕분인지 신체능력도 뛰어난데 '''겨우 24살 밖에 안 된 나이에 우주비행사가 된''', 엄친아 사기 캐릭터. 그 몸에 흐르는 바이오 입자의 영향 때문에 기본적으로 모든 동물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특수한 능력이 있어, 3화에서 동물들의 도움을 얻어 바이오 로보를 수리하기 위한 부품을 조달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이는 레드 원의 초기 설정인 [[모모타로]]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모모타로 전설의 주인공 모모타로는 원숭이, 꿩, 개 등 동물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또한 42화에서는 이 능력을 통해 숲에 사는 새들의 마음을 공감하고, [[신제국 기어]]의 [[메카쟈이간#s-4.11|썬더 메가스]]로부터 필사적으로 숲을 지키려는 모습을 보인다. 자신의 아버지가 어릴 때 죽은 줄 알고 있었는데, 극 막바지에 갑자기 등장한 아버지 고 신이치로와 만나게 된다. 대장 프리미엄답게, 멤버들 중 추리력이 가장 뛰어나다. 7화에서 바이오 성인인 [[피보]]의 친구 조이를 만났을 때 '바이오별 사람이 바이오별의 인사법을 모를 수는 없다.' 면서 조이의 정체를 의심하기도 하는 등, 멤버들과 활동하면서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추리력을 발휘한다. 전형적인 리더 타입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가끔 나사가 빠진 행동을 하는 것도 특징. 초대 옐로 포인 미카가 죽은 후 새로 선택된 쥰을 보면서 신제국 기어와의 전투가 끝날 때까지 싸울 것을 결의한다. 1986년 [[슈퍼히어로 대집합]]에서 [[타카스기 신고|그린 투]]와 함께 출전하였고, [[바이오 헌터 실바]]와 칼싸움을 벌였다. 1987년 슈퍼히어로 대집합에서도 그린 투와 함께 출전한다.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 히어로 대결전]]에 배우 본인이 등장, 레드 원 키를 통해 바이오맨의 위대한 힘을 전해준다. [[파일:20220227_112851_1.png]] [[4주 연속 스페셜 슈퍼전대 최강 배틀!!]]에서도 등장. == 기술 == 파이어 소드: 검신에 불을 붙여 적을 베는 무기. 던져서 사용할 때도 있다.[* 80년대 당시 특촬 기술인 애니메이션 효과를 입힌 것이 아니라 실제로 검신에 불을 붙여 불타는 검의 모습을 구현했다. 진짜 불을 사용하다 보니 검을 쥐고 있는 레드 원의 헬멧 고글 너머로 이글거리는 불의 검이 반사됨과 동시에 레드 원의 몸도 불꽃의 빛이 반사되어 빛난다.[[http://i.imgur.com/2U7dphO.jpg|이미지로 보기]] 2000년대 이후 슈퍼전대 시리즈는 이와 같은 효과를 CG를 이용해 구현하다 보니, 검신은 이글이글 타오르는데 그 빛이 반사되는 연출까지는 구현하지 않는(또는 제작비나 시간 관계상 구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레드 원 만의 상징적인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그렇다고 이 기법을 전혀 쓰지 않는 것은 또 아니라서, 거대전에서는 [[천장전대 고세이저]]의 [[고세이 그레이트]]의 필살기로 진짜 불을 활용해서 뱅크신을 만들기도 했다.] 스파크 소드: 검신에 스파크를 일으켜 주위에 적을 날려버리는 무기.[*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초전자 레이더: 레드 원의 전자 두뇌의 특성으로 10km 이내의 물체의 움직임을 캐치하거나 행동 반경을 예측하여 적을 판독해 저격한다. 단, 유령은 캐치 불가능하다. 다이빙 어택: 공중에서 적을 향해 몸을 내던지는 기술. 그린투도 사용 가능. 바이오 슈퍼 킥: 공중에서 회전하여 적에게 킥을 먹이는 기술. == 기타 == 왜색적인 장면때문인지, 대영팬더가 출시한 비디오판에서는 혼잣말하는 장면들이 많이 가위질되어 버렸다. 극 막바지에 주인공으로 이야기가 전개됐다. 양심회로를 개발하는 시바타 박사가 실은 자신이 어릴 때 돌아가셨다고 하는 자신의 친아버지 '''고 신이치로'''였던 점, [[닥터맨]]과 자신의 아버지가 학창시절 라이벌 사이였던 점, [[닥터맨]]의 친아들 [[프린스(초전자 바이오맨)#s-2.1|카게야마 슈이치]]를 위로하는 등, 친아버지를 만났다는 기쁨도 느낄 틈도 없이 여러 우여곡절을 겪게 되면서 결국 아버지를 영원히 떠나보내게 된다. 이때 등 너머로 메카인간 상태의 아버지가 폭발하는데 [[프린스(초전자 바이오맨)#s-2.1|슈이치]]와 멤버들은 고 신이치로의 죽음을 보며 안타까워 하는 것에 반해, 정작 아들인 고 시로는 '''뒤돌아보지 않고 눈물을 참아내며 속으로 아버지께 다짐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후에 [[피보]]와 힘을 합쳐 [[바이오 헌터 실바|실바]]와 [[발지온]]을 물리치고 돌아가신 아버지를 향해 '''"아버지, 이겼어요."''' 라고 독백을 남긴다. 아버지 고 신이치로에 따르면 아버지의 뛰어난 두뇌와 어머니의 미모, 좋은 면만 물려받았다고 한다. 유전적으로 공학도의 기질을 물려받게 된다. 다만 아버지 고 신이치로는 기계공학(특히 로봇공학 분야)•전자공학•컴퓨터공학, 아들 고 시로는 우주비행사로서의 항공공학지식을 습득했다. [[해적전대 고카이저]]의 극장판인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히어로 대결전]]에 게스트로 출연. 레드 원 키를 통해 고세이저와 고카이저를 응원하고 바이오맨의 위대한 힘을 부여한다. 그리고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슈퍼전대 시리즈]]의 크로스오버 극장판인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에서도 레드 원 역으로 목소리 출연을 한다고 한다. 이 작품에는 [[바이오 헌터 실바]][* 슈퍼 히어로 대전에서는 라이더 헌터 실바로 개명.]도 나오기 때문에 의미 있는 출연이라고 볼 수 있다. 대쇼커 대잔갸크 연합과의 싸움 때 실버에게 당한 고카이 실버에게 진짜 실버의 힘을 보여주라고 말한다. 하지만 슈퍼히어로 대전의 질을 생각하면 게스트가 너무 아깝다는 말도 있다. 더군다나 대사도 한 번뿐인데다가 얼굴은 한 번도 비추지 않아 팬들의 아쉬움을 샀다. 레드 아니랄까봐 버프를 상당히 잘 받은 편. 작중에서 혼자 다 해먹고 다니는 바이오 헌터 실버와 호각으로 총격전을 벌인다. 다른 멤버들이 바이오 헌터에게 압도 당하기만 하는 것과는 대조적. == 같이 보기 == [include(틀:초전자 바이오맨)] [include(틀:해적전대 고카이저의 레전드 게스트)]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주인공)]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레드)] [[분류:초전자 바이오맨/등장인물]][[분류:슈퍼전대 시리즈 레드]][[분류:해적전대 고카이저/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