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구려)] [include(틀:고구려 오부)] {{{+1 高句麗五部}}} [목차] == 개요 == [[고구려]]를 이루던 5개의 [[부족]]으로, [[계루부]](桂婁部)·[[소노부]](消奴部)·[[절노부]](絶奴部)·[[순노부]](順奴部)·[[관노부]](灌奴部)가 있었으며, 이들 부족들은 역사서마다 기록된 이름들이 조금씩 다르다. 또한 계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족들을 나부(那部)라고 하여 이 오부 체제를 나부 체제(那部體制)라고 하기도 한다. [[고국천왕]] 대부터는 내부(內部)·서부(西部)·북부(北部)·동부(東部)·남부(南部)로 이름이 바뀌면서 고구려의 [[행정구역]]으로 변모하였다. == 오부의 이름 == [[계루부]](桂婁部)·[[소노부]](消奴部)·[[절노부]](絶奴部)·[[순노부]](順奴部)·[[관노부]](灌奴部)는 [[정사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 나온 이름들이고, [[삼국사기]]에는 계루부를 제외하고 비류나부(沸流那部)·연나부(椽那部)·환나부(桓那部)·관나부(貫那部)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비류나부·연나부·환나부는 각각 소노부·절노부·순노부 중에 어느 부족에 대응하는지 알 수 없다. 다만 기록으로 대조하여 볼 때, 연나부는 절노부에 비정된다. 이처럼 계루부를 제외한 4부의 명칭에는 '나(那)' 또는 '노(奴)'자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데, [[고구려어]]에서 '나'는 강가, 혹은 산간 계곡에 자리잡은 지역의 집단을 나타내는 단어로, 내(內), 노(奴), 양(壤) 등과 통한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초기 기록에는 위의 4부 명칭 외에도 ' 조나(藻那)'·' 주나(朱那)' 등 '-나(那)'로 지칭되는 집단들이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고구려]]의 초기 중심지인 압록강 중상류와 그 지류인 혼강(渾江, 훈장) 유역에 '-나'로 지칭되는 여러 집단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설로는 노(奴) 자를 '사람'을 가리키는 [[흉노]]식 명사로 보고 있는데, 이는 고구려가 [[흉노]]와 문화적으로나 혈통적으로나 연결이 되어 있었음을 뜻한다고 본다. 노(奴) 앞에 붙는 소, 절, 순, 관은 방위를 뜻하는 접두사라고 볼 때, 결국 '소노'는 '서부 사람'이고 '절노'는 '북부 사람'을 뜻하는 것이다. 다만 '계루'는 왕성(王城)을 뜻하는 [[향찰]]문자로 보인다. == 상세 == 계루부는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으로 대표되는 [[부여]]계 유민 집단이었고, 나머지 4부는 [[압록강]] 유역의 토착 세력이었다. 초기 [[고구려]]는 여러 세력 집단 내지는 [[성읍국가]]들이 [[연맹]]을 이루어 형성된 [[국가]]였으며, [[왕족]]인 [[계루부]] 아래에 있던 여러 부족들이 각자의 영토를 가지고 그 안에서 [[자치권]]을 행사하였다. 이 부족들은 차차 정복과 통합을 거듭하여 [[태조대왕]] 대에는 5개의 큰 부족으로 완전히 정립되었으며, 통합 과정을 거쳐 오부로 복속된 부족들은 오부 휘하의 작은 부족들로 남았다. 오부는 계루부와 함께 고구려의 최상위 지배층으로서 군림하였으며, [[계루부]]에서는 [[왕]]이, [[절노부]]에서는 [[왕비]]가, [[순노부]]에서는 [[대막리지]]가 배출되었다. [[정사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따르면 본래 고구려의 왕위는 [[소노부]]에서 이어 왔는데, 나중에 [[계루부]]가 계승했다고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해씨 고구려설]]이 있다. 각 부족의 수장인 대가(大加)들은 [[제가회의]]를 열어 국정의 주요 사안을 논의하였는데, 이 제가회의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연맹왕국]]의 성격을 띄고 있던 [[부여]]에도 있었던 것이다. 한편, [[3세기]]에 이르러 고구려는 연맹왕국에서 [[중앙집권국가]]로 전환되기 시작한다. 고구려의 제9대 국왕이었던 [[고국천왕]]이 형제 상속제에서 부자 상속제로 왕권 세습 체제를 바꾸고[* 다만 형제 상속제라는 제도의 실체에 대하여서는 의문점이 많다. 원래부터 부자 상속이 원칙이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형제 상속이 빈번히 일어난 것인지, 아니면 형제 상속은 있었지만, 부자 상속이 완전히 확립된 것은 [[고국천왕]] 때보다 더 이전인 [[동천왕]] 대인지에 대한 것이다. 자세한 것은 [[고국천왕]] 항목 참조.], 오부의 이름을 고치는 등, [[왕권]]을 강화하려고 한 흔적이 엿보인다. 이때 계루부는 내부(內部), 또는 황부(黃部), 소노부는 서부(西部), 또는 우부(右部), 절노부는 북부(北部), 또는 후부(後部), 순노부는 동부(東部), 또는 좌부(左部), 관노부는 남부(南部), 또는 전부(前部)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진통도 상당하였던 모양으로, 고국천왕 대에 연나부가 반란을 일으켰다든가, 고국천왕 사후에 고국천왕의 아우이자 [[신대왕]]의 삼남인 [[고발기]]가 왕위 계승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을 때, 비류나부가 이에 동조하였다든가 하는 기록들이 있다. 아무튼 이러한 과정을 거쳐 5부 귀족들은 중앙 귀족으로 편입되었으며, [[수도(도시)|수도]] 내에서 이들이 사는 곳을 기준으로 동·서·남·북·중의 방위명을 붙여 행정구역 단위로 정착하게 되었다. 한편 [[신라]]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는데, 신라의 건국 세력인 [[사로육촌]]이 훗날 [[서라벌]]의 행정구역으로 개편되었던 사례가 있다. 이는 한반도의 고대 국가가 연맹왕국에서 중앙집권국가로 거듭나는 시기에 흔히 일어나는 과정이며, 이렇게 중앙집권국가로 발돋움하지 못 한 연맹왕국들은 고구려·백제·신라의 3국으로 통합되고 말았다. 부체제론에 따르면 좁은 의미의 고구려인은 바로 이 5부에 속한 사람을 뜻하였다. 고구려에는 [[예맥계]]의 5부 집단 외에도 정복 활동을 거쳐 [[말갈]] 등의 다른 민족까지 통합해 나갔는데 5부 집단에 속하였다는 것은 본래부터 고구려계였던 사람, 혹은 5부에 속하여 고구려에 완전히 동화된 사람을 의미하며, 그것은 곧 고구려의 제도권 내로 편입되었다는 의미이다. [[분류:한국의 귀족]][[분류:고구려의 왕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