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2년 기업]][[분류:아랍에미리트의 기업]][[분류:경마 생산자]][[분류:경마 마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돌핀 이름의 유래, rd1=고돌핀 아라비안)]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고돌핀 바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2>
{{{#ffffff {{{+1 '''고돌핀'''}}}[br]'''Godolph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Godolphin.jpg|width=100%]]}}} || || '''기업명''' || '''{{{+1 고돌핀}}}[br]Godolphin''' || || '''종류''' ||비공개 회사 || || '''설립''' ||[[1992년]] || || '''설립자''' ||<|2>[[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 현재 [[두바이]] 통치자이자 [[아랍에미리트]] 부통령 및 총리][br](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br](محمد بن راشد آل مكتوم) || || '''대표자''' || || '''업종명''' ||[[경마]] || || '''소재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 '''웹사이트''' ||[[https://www.godolphin.com/|고돌핀]][br][[https://www.darleyeurope.com/|달리 유럽]] / [[https://www.darleyamerica.com/|달리 아메리카]] /[br][[https://www.darley.co.jp/|달리 재팬]]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Godolphin Racing Silks.png|width=100%]] || [[파일:Godolphin Japan.png|width=100%]] || || 고돌핀 중동, 유럽, 북미, 호주 승부복[* 여기에 [[에미레이트 항공]] 로고를 붙인다.] || 고돌핀 일본 승부복 || 두바이 [[아미르]]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이 창설한 경주마 오너 브리더[* 생산 목장과 마주를 겸임하는 형태를 말한다.] 그룹. 아일랜드의 '''[[쿨모어]](Coolmore)''', 사우디아라비아 자본으로 운영되는 '''[[주드몬테]](Juddmonte)'''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경마 회사 중 하나다. 고돌핀 레이싱(Godolphin Racing)이라고도 한다.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고돌핀 아라비안]]. 영국에서 시작하여 미국, 호주, 그리고 일본까지 진출하여 전 세계 경마 회사 중 가장 넓은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생산을 담당하는 달리 스터드(Darley Stud), 경주마 육성 및 경마 대회 참가를 담당하는 고돌핀 레이싱(Godolphin Racing)을 각각 따로 운영하다가, 2016년부터 두 조직을 통합하여 '''고돌핀(Godolphin)'''으로 운영하고 있다. 참고로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이 경마에서 개인 마주로 활동할 때는 '''셰이크 모하메드(Sheikh Mohammed)''' 명의를 사용한다. == 역사 == ||
[[파일:Godolphin 2.jpg|width=100%]] || || 전설적인 기수 '''[[프랭키 데토리]]''' (좌), 고돌핀 설립자 '''셰이크 모하메드''' (우) || 두바이를 통치하는 막툼 가문은 1970년대부터 경마 마주로 활동하고 있었다. 1981년 셰이크 모하메드는 영국 뉴마켓에 있는 달햄 홀 스터드(Dalham Hall Stud) 목장을 구입하고, 경주마 생산을 담당하는 '''달리 스터드(Darley Stud)'''를 설립했다. 1986년에는 아일랜드에 있는 킬덩건 스터드(Kildangan Stud) 목장을 구입했다. 그리고 셰이크 모하메드를 비롯한 막툼 가문은 '''[[노던 댄서]]''' 산구들을 차지하기 위해 경매장에서 [[쿨모어]]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고돌핀과 쿨모어의 라이벌 관계는 사실상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 1992년, 셰이크 모하메드는 겨울에는 유럽보다 따뜻한 두바이에서 경주마를 육성하자고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형제들과 힘을 합쳐 경주마 육성을 담당하는 '''고돌핀 레이싱(Godolphin Racing)'''을 설립했다. 1994년 암말 발란신(Balanchine)이 전설적인 [[프랭키 데토리]] 기수와 함께 [[오크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하며 고돌핀 레이싱에게 첫 클래식 우승을 안겨줬다. 그리고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호주, 일본에도 고돌핀 경주마들을 보내며 여러 나라에서 승리를 거두기 시작했다. 1996년, 셰이크 모하메드는 고돌핀의 세력을 확장하고 두바이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두바이 월드컵 미팅]]'''을 창설했다.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 호주, 그리고 일본에도 진출하며 두바이를 경마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1996년에 처음으로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오너 자리에 오른 후, 여러 번 영국 평지 경마 챔피언 오너를 수상했다. 하지만 [[쿨모어]]가 대종마 '''[[갈릴레오(말)|갈릴레오]]''', 전설적인 조교사 '''[[에이단 오브라이언]]'''과 함께 유럽의 패권을 쥐고 있어 2인자 자리에 머무르다가, 2021년 여름에 갈릴레오가 사망하자 드디어 유럽에서 1인자가 될 기회를 잡고 있다. 1999~2000년 '''[[두바이 밀레니엄]]'''이 현역 시절 맹활약을 했지만, 2001년에 빠른 요절로 죽었다. 하지만 그 짧은 시간에 배출한 '''[[두바위]]'''가 리딩 사이어로 활약하면서 많은 후손들이 배출된 두바위계는 명실상부 고돌핀 성골 혈통이 된다. 미국에서는 계속 세력을 불려가며 2009년에 처음으로 최우수 마주를 수상한 뒤, 2020년부터는 미국에서 확실한 1인자가 되었다. 일본에는 생산 목장인 달리 스터드가 2002년부터 진출해 '''달리 재팬(Darley Japan)'''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 [[지방경마전국협회|지방경마]]에는 2003년 봄부터 '''셰이크 모하메드(Sheikh Mohammed)''' 명의로 등록하여 참여하고 있다. 일본 [[일본중앙경마회|중앙경마]]에는 2005년, 2006년에 마주 등록을 신청했지만 [[샤다이 그룹]]을 비롯한 일본 생산자들의 격렬한 반대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2007년 여름에 [[콘도 리이치]]한테 40억엔을 주고 [[어드마이어 문]]을 구입했고, 어드마이어 문을 발판으로 삼아 달리 재팬(Darley Japan) 명의로 일본중앙경마에 마주로 등록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어드마이어 문은 당시 샤다이가 지분 절반을 가지고 있던 말이었고, 콘도 리이치가 샤다이 의사를 배제한 채 독단적으로 고돌핀에게 판매했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고돌핀은 몇 달도 지나지 않은 2007년 11월에 일본중앙경마회에게 마주 등록 말소를 신청했다. 그리고 2010년에 '셰이크 모하메드(Sheikh Mohammed)' 명의로 다시 일본중앙경마에 마주로 등록했고, 2018년부터 마주 명의를 '''고돌핀'''으로 변경해 일본에서도 본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소유마 목록 == * 고돌핀이 정식 창설한 1992년부터 고돌핀(Godolphin) 명의로 활동한 경주마 혹은 고돌핀이 육성을 담당해서 사실상 고돌핀 소속으로 취급받는 경주마를 기록한다. * 일본 경주마는 달리 재팬, 고돌핀 명의로 활동한 경주마를 기록한다. * '''G1/JpnI''' 경주만 서술 === 유럽 === * Balanchine[* 고돌핀의 첫 클래식 경주 우승마다. ]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스테이크스]](1994)''',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1994)''' * Cezanne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1994) * Moonshell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스테이크스(1995)''' * Heart Lake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야스다 기념]](1995) * [[람타라|Lammtarra]]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더비 스테이크스]](199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9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1995)''' * Halling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95, 199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1995, 1996),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이스파앙상(1996) * Classic Clich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애스콧 골드 컵(1996) * Mark of Esteem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9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1996) * Medaaly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레이싱 포스트 트로피[* 현재 퓨처리티 트로피](1996) * Swain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코로네이션 컵(199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97, 1998)''',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1998) * '''[[데일라미|Daylami]][* 1998년에 고돌핀 소속이 되었다. 1997년까지의 성적은 [[이스마일파#아가 칸|아가 칸]] 소속일 때의 성적.]'''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랭(199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9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맨 오 워 스테이크스(199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코로네이션 컵(199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99)''',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199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1999) * Cape Verdi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1000 기니 스테이크스]](1998)''' * [[케이프 크로스|Cape Cross]][* [[위저 보드(말)|위저 보드]], '''[[시 더 스타즈]]''', [[골든 혼]]의 아비다.]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1998) * Nedawi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8)''' * Aljabr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살라망드르상[* 2000년을 끝으로 폐지](199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서식스 스테이크스(199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00) * Kayf Tara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애스콧 골드 컵(1998, 2000),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세인트 레저(1998, 1999) * Island Sands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99)''' * Fly to the Stars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1999) * Zahrat Dubai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나소 스테이크스(1999) * Diktat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모리스 드 게스트상(199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스프린트 컵(1999) * '''[[두바이 밀레니엄|Dubai Millennium]]'''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자크 르 마루아상]](199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1999), '''[[두바이 월드컵 미팅|두바이 월드컵]](200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2000) * Mutafaweq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9)''',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독일 은행상[* 현재 베를린 대상](2000),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캐내디언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코로네이션 컵(2001) * Bachir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랭(2000)''',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2000 기니(2000)''' * '''[[판타스틱 라이트|Fantastic Light]]'''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맨 오 워 스테이크스(2000),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5px]]]] [[홍콩 컵]](2000),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태터솔스 골드 컵(200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200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200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2001) * '''[[사키(말)|Sakhe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1),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2001)''' * Street Cry - 두바이 월드컵(200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스티븐 포스터 스테이크스(2002) * Kazzia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1000 기니 스테이크스(200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스테이크스(200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플라워 보울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 2022년 GII로 강등](2002) * Grandera - [[싱가포르|[[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5px]]]] 싱가포르 항공 인터내셔널 컵[* 2015년을 마지막으로 폐지](200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2002),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2002) * Marienbard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독일 은행상[* 현재 베를린 대상](2002),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덴 대상(200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2002)''' * Sulamani[* 2003년에 고돌핀 소속이 되었다. 2002년까지의 성적은 니아르코스 일가 소속일 때의 성적. ]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조케 클뤼브상(2002)''', [[두바이 시마 클래식]](200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알링턴 밀리언(200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조 허쉬 터프 클래식 인비테이셔널 핸디캡[* 현재 조 허쉬 터프 클래식 스테이크스 ](200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4),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캐내디언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4) * Refuse To Bend[* 2004년에 고돌핀 소속이 되었다. 2003년까지의 성적은 Moyglare Stud Farm 소속일 때의 성적. ]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0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0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앤 스테이크스(200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04) * Moon Ballad - '''두바이 월드컵(2003)''' * Mezzo Soprano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베르메유상(2003) * Mamool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덴 대상(2003),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오이로파상(2003) * Papineau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애스콧 골드 컵(2004) * Doyen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04)''' * Rule of Law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04)''' * '''[[두바위|Dubawi]]'''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내셔널 스테이크스(2004),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2000 기니(200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자크 르 마루아상(2005). 영국 & 아일랜드 리딩 사이어(2022) * Shamardal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0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랭(2005)''',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조케 클뤼브상(200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05) * Punctilious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요크셔 오크스(2005) * Electrocutionist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밀라노 대상[* 2016년 G2로 강등](200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05), '''두바이 월드컵(2006)''' * Ramonti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비토리아 디 카푸아상[* 2017년 G2로 강등](200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앤 스테이크스(200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서식스 스테이크스(200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2007), [[홍콩|[[파일:홍콩 국기.svg|width=25px]]]] 홍콩 컵(2007) * Ibn Khaldun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레이싱 포스트 트로피(2007) * Creachadoir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08) * Cavalryman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파리 대상(2009) * Mastery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09)''', [[홍콩|[[파일:홍콩 국기.svg|width=25px]]]] [[홍콩 바즈]](2010) * Poet's Voic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2010) * White Moonston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필리스 마일(2010) * Rewilding - 두바이 시마 클래식(201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2011) * Blue Bunting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1000 기니 스테이크스(201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오크스(201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요크셔 오크스(2011) * Lyric of Light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필리스 마일(2011) * Enck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12)''' * Questing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코칭 클럽 아메리칸 오크스(201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앨라배마 스테이크스(2012) * Certify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필리스 마일(2012) * Dawn Approach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1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1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1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13) * Farhh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1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챔피언 스테이크스]](2013)''' * Outstrip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2013) * African Story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두바이 월드컵(2014)''' * Night of Thunder[* 2015년에 고돌핀 소속이 되었다. 2014년까지의 성적은 Saeed Manana 소속일 때의 성적. ]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1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15) * Prince Bishop - 알 막툼 챌린지 R3(2014), 두바이 월드컵(2015) * Belardo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1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16) * Jack Hobbs[* Bailey, Hall & Hood와 공동 소유]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2015)''', 두바이 시마 클래식(2017) * Ribchester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자크 르 마루아상(201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1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퀸 앤 스테이크스(2017),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물랭 드 롱샹상(2017) * Wuheida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마르셀 부삭상(201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필리 & 메어 터프(2017) * Hawkbill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16), 두바이 시마 클래식(2018) * Thunder Snow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크리테리엄 앵테르나시오날(2016),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장 프라상(2017), '''두바이 월드컵(2018, 2019)''' * Cloth of Stars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가네상(2017) * Harry Angel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줄라이 컵(201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스프린트 컵(2017) * Talismanic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2017) * Wild Illusion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마르셀 부삭상(201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나소 스테이크스(2018),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오페라상(2018) * Barney Roy[* 파이살 왕자와 공동 소유]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17), 제벨 하타(2020),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이에리셰스 추흐트레넨(2020),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덴 대상(2020) * Masar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더비 스테이크스(2018)''' * [[벤바틀|Benbatl]] - [[두바이 터프]](2018),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이에른 추흐트레넨(2018),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코필드 스테이크스(2018) * Quorto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18) * Royal Marine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장뤼크 라가르데르상(2018) * Cross Counter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멜버른 컵(2018) * Blue Point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스 스탠드 스테이크스(2018, 2019), 알코즈 스프린트(201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다이아몬드 주빌리 스테이크스[* 현재 퀸 엘리자베스 2세 주빌리 스테이크스](2019) * Castle Lady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리슈(2019)''' * Old Persian - 두바이 시마 클래식(2019),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노던 댄서 터프 스테이크스(2019) * Persian King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랭(2019)''',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이스파앙상(2020),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물랭 드 롱샹상(2020) * '''[[가이야스|Ghaiyyath]]''' -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덴 대상(201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코로네이션 컵(202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2020),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20) * Pinatubo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19),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19),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장 프라상(2020) * Victor Ludorum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장뤼크 라가르데르상(2019),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랭(2020)''' * Space Blues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모리스 드 게스트상(2020),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포레상(202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마일(2021) * [[어데이어|Adayar]]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더비 스테이크스(202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21)''' * Hurricane Lane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2021)''',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파리 대상(202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2021)''' * Creative Forc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브리티시 챔피언스 스프린트 스테이크스]](2021) * Yibir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2021) * Native Trail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빈센트 오브라이언 내셔널 스테이크스(2021),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듀허스트 스테이크스(202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2000 기니(2022)''' * Modern Games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주버나일 터프(2021),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풀 데세 드 풀랭(2022)''',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우드바인 마일 스테이크스(202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마일(202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로킨지 스테이크스(2023) * Coroebus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2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2022) * Naval Crown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플래티넘 주빌리 스테이크스[* 현재 퀸 엘리자베스 2세 주빌리 스테이크스](2022) * Nations Pride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새러토가 더비 인비테이셔널(2022),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5px]]]] 바이에리셰스 추흐트레넨(2023),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캐내디언 인비테이셔널 스테이크스(2023) * Notable Speech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2024)''' === 북미 === * Discreet Cat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시가 마일 핸디캡[* 2023년 GII로 강등](2006) * Music Note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마더 구스 스테이크스[* 2017년 GII로 강등](200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코칭 클럽 아메리칸 오크스(200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가젤 스테이크스[* 2013년 GII로 강등, 2020년 GIII로 강등.](200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발레리나 스테이크스(200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벨담 스테이크스[* 2019년 GII로 강등](2009) * Pyro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포어고 스테이크스(2009) * It's Tricky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에이콘 스테이크스(201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코칭 클럽 아메리칸 오크스(201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오그덴 필립스 스테이크스(2011) * Frosted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우드 메모리얼 스테이크스(201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메트로폴리탄 핸디캡(201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휘트니 스테이크스]](2016) * Maxfield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 퓨처리티 스테이크스(201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클라크 스테이크스(2021) * [[에센셜 퀄리티|Essential Quality]]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 퓨처리티 스테이크스(202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주버나일(202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벨몬트 스테이크스]](202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트래버스 스테이크스(2021) * '''[[코디스 위시|Cody's Wish]]'''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포어고 스테이크스(202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더트 마일(2022, 202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처칠 다운즈 스테이크스(2023),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메트로폴리탄 핸디캡(2023) === 호주 === * Exosphere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골든 로즈 스테이크스(2015) * Alizee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플라이트 스테이크스(2017),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퀸 오프 더 터프 스테이크스(2018),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퓨처리티 스테이크스(2019) * Flit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더 사우전드 기니스(2019) * Kiamichi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골든 슬리퍼 스테이크스(2019) * Lyre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블루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2019) * Bivouac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골든 로즈 스테이크스(2019),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뉴마켓 핸디캡(2020),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챔피언스 스프린트(VRC)(2020) * Trekking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스트래드브로크 핸디캡(2019),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더 굿우드(2020) * Colette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오스트레일리안 오크스(2020),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엠파이어 로즈 스테이크스(2021) * Anamoe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사이어스 프로듀스 스테이크스(2021),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코필드 기니(2021),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로즈힐 기니(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윙크스 스테이크스(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조지 메인 스테이크스(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코필드 스테이크스(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콕스 플레이트(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치핑 노턴 스테이크스(2023),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조지 라이더 스테이크스(2023) * Cascadian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동거스터 마일(2021),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올 에이지드 스테이크스(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오스트레일리안 컵(2023, 2024) * Paulele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윈터바텀 스테이크스(2022) * In Secret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쿨모어 스터드 스테이크스(2022),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5px]]]] 뉴마켓 핸디캡(2023) === 일본 === * [[푸리오소]]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전일본 2세 우준]](2006),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재팬 더트 더비]](2007),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제왕상]](2008, 2010),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카와사키 기념]](2011),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카시와 기념]](2011) * [[어드마이어 문]][* 2007년 여름에 달리 재팬 소속이 되었다.]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재팬 컵]](2007)''' * [[파인 니들]]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타카마츠노미야 기념]](2018),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18) * [[타워 오브 런던(말)|타워 오브 런던]]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2019) * 패셔니스타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JBC 레이디스 클래식]](2020) * [[레몬 팝]]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페브러리 스테이크스]](202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2023),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챔피언스 컵]](2023) === 셰이크 모하메드 명의 === * 고돌핀 소속 외 셰이크 모하메드 소유마 중 G1/JpnI 우승마만 서술 * '''[[페블스(말)|Pebbles]][* 마르코스 레모스와 공동 소유]'''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1000 기니 스테이크스(198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85),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챔피언 스테이크스(198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브리더스컵 터프(1985) * '''[[오 소 샤프|Oh So Sharp]]'''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1985 영국 암말 트리플 크라운^^([[1000 기니 스테이크스]], [[오크스 스테이크스]],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 Unite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스테이크스(1987)''',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오크스(1987)''' * Diminuendo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스테이크스(1988)''',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오크스(1988)''',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요크셔 오크스(1988) * Musical Bliss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1000 기니 스테이크스(1989)''' * Belmez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90)''' * [[오페라 하우스(말)|Opera House]][* [[티엠 오페라 오]], [[메이쇼 삼손]]의 아비다.]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코로네이션 컵(199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9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93)''' * Intrepidity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생탈라리상[* 2024년 G2로 강등](1993),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오크스 스테이크스(199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베르메유상(1993) * Moonax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로열오크상(1994) * Carnegie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개선문상(1994)''',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생클루 대상(1995) * Pennekamp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살라망드르상(1994)[* 2000년을 끝으로 폐지],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듀허스트 스테이크스(1994),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2000 기니 스테이크스(1995)''' * Shantou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1996)''',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자키 클럽 대상[* 2017년 G2로 강등](1996),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5px]]]] 밀라노 대상[* 2016년 G2로 강등](1997) * [[싱스필|Singspiel]]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 캐내디언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1996),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재팬 컵(1996)''',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코로네이션 컵(1997),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