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윔블던(테니스 대회)|[[파일:윔블던 로고.svg|width=100]]]] [br]{{{#ffffff '''역대 [[윔블던(테니스 대회)|{{{#ffffff 윔블던}}}]] 남자 단식 우승자'''}}} || || [[2000년]][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피트 샘프러스]]''' || → || [[2001년]][br][[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5]] {{{#000000 '''고란 이바니세비치'''}}} || → || [[2002년]][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레이튼 휴이트]]'''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란 이바니.png|width=100%]]}}} || ||<-2> '''{{{#ffffff 고란 이바니셰비치}}}'''[br]'''{{{#ffffff (Goran Ivanišević)}}}''' || || '''{{{#ffffff 생년월일}}}''' || '''[[1971년]] [[9월 13일]] ([age(1971-09-13)]세)''' || || '''{{{#ffffff 국적}}}'''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5]] [[크로아티아]]''' || || '''{{{#ffffff 출신지}}}''' ||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 || '''{{{#ffffff 프로데뷔}}}''' || '''1988년''' || || '''{{{#ffffff 신장}}}''' || '''193cm (6 ft 4 in)''' || || '''{{{#ffffff 사용 손}}}''' || '''왼손 (투핸드 백핸드)''' || || '''{{{#ffffff ATP 싱글 랭킹}}}''' || '''최고 2위''' || || '''{{{#ffffff ATP 더블 랭킹}}}''' || '''최고 20위''' || || '''{{{#ffffff 개인전 통산 성적}}}''' || ''' 599승 333패(64.27%)''' || || '''{{{#ffffff 개인전 통산 성적}}}''' || ''' 262승 225패(53.79%)''' || || '''{{{#ffffff 개인전 타이틀 획득}}}''' || '''22회''' || || '''{{{#ffffff 복식전 타이틀 획득}}}''' || '''9회''' || || '''{{{#ffffff 통산 상금 획득}}}''' || '''$19,878,007'''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란 이바니셰비치는 1990년대 크로아티아를 대표했던 테니스 선수이다. == 설명 == [[마린 칠리치]]가 2014년 US오픈에서 우승하기 전까지 크로아티아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획득한 선수였으며 아직까지도 남자 테니스 역사상 유일의 와일드카드 출신의 우승자이다.[* 물론 이는 고란 이마니세비치가 이 우승 전 이미 세계 2위에 올랐었고 그랜드 슬램 준우승을 3번 경험했으며 ATP월드투어 파이널에도 수차례 출전했던 베태랑이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2019년 윔블던 대회부터 [[노박 조코비치]]의 코치를 역임하고 있다. 덕분에 경기 중 조코비치의 코치 박스에서 자주 보이는 편. 이후 조코비치가 9개의 슬램을 쓸어담는 등 성공적인 코치 활동을 하고 있다. == 커리어 == '''그랜드슬램 대회''' * 호주 오픈 : 최고 8강(1989, 1994, 1997) * 프랑스 오픈 : 최고 8강(1990, 1992, 1994) * 윔블던 : 우승 1회(2001) / 준우승 3회(1992, 1994, 1998) * US 오픈 : 최고 4강(1996) '''고란 이바니셰비치의 연도별 메이저대회 성적표''' || '''{{{#white 연도}}}''' || '''[[호주 오픈|{{{#white 호주}}}]]''' || '''[[프랑스 오픈|{{{#white 프랑스}}}]]''' || '''[[윔블던|{{{#white 윔블던}}}]]''' || '''[[US 오픈|{{{#white US}}}]]''' || || 1988 || 불참 || 불참 || 1라운드 || 불참 || || 1989 || 8강 || 4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 1990 || 1라운드 || 8강 || 4강 || 3라운드 || || 1991 || 3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4라운드 || || 1992 || 2라운드 || 8강 || '''{{{#black 준우승}}}''' || 3라운드 || || 1993 || 불참 || 3라운드 || 3라운드 || 2라운드 || || 1994 || 8강 || 8강 || '''{{{#black 준우승}}}''' || 1라운드 || || 1995 || 1라운드 || 1라운드 || 4강 || 1라운드 || || 1996 || 3라운드 || 4라운드 || 8강 || 4강 || || 1997 || 8강 || 1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 1998 || 1라운드 || 1라운드 || '''{{{#black 준우승}}}''' || 4라운드 || || 1999 || 불참 || 1라운드 || 4라운드 || 3라운드 || || 2000 || 2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 2001 || 불참 || 불참 || '''{{{#white 우승}}}''' || 3라운드 || || 2002 || 2라운드 || 불참 || 불참 || 불참 || || 2003 || 불참 || 불참 || 불참 || 불참 || || 2004 || 불참 || 불참 || 3라운드 || 불참 || '''기타 대회''' * ATP 월드 투어 파이널 : 최고 4강(1992, 1993, 1996) * 마스터스 1000 시리즈 : 우승 2회(1992, 1993) / 준우승 5회 * 그랜드 슬램 컵 : 우승 1회(1995) / 준우승 1회(1996) == 선수 경력 == 1988년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그라츠 챌린저 투어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이 대회에서 그는 8강에 진출하였고 랭킹은 960위에서 418위로 급등하였다. 이 대회 이후 윔블던에 참가하였고 9월에는 서울 올림픽에도 참가하였다. 1988년은 371위로 마무리 지었다. 1989년 호주 오픈에서 8강에 진출하며 일약 스타가 되었고 125위로 랭킹을 끌어올린다. 계속해서 상승세를 탄 그는 플로렌스 오픈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연말 41위를 기록한다. 1990년 별다른 활약은 없었으나 우마그 오픈에서 준우승을 기록, 월드 팀 컵에 참가하여 결승에서 [[짐 쿠리어]]를 꺽으며 유고슬라비아를 우승 팀으로 만드는데에 기여한다. 이어서 참가한 프랑스 오픈에서는 8강, 윔블던에서는 4강에 진출하며 세계 랭킹 20위권에 성공한다. 그리고 슈투트가르트 오픈에서 우승하며 개인 첫 싱글 타이틀 획득에 성공한다. 이후 롱 아일랜드 오픈, 보르드 오픈, 바젤 오픈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9위를 기록한다. 그리고 12월 가장 많은 상금을 자랑하는 [[그랜드 슬램 컵]]에 참가하여 8강전에서 [[피트 샘프라스]]에게 패하며 1990년을 마무리한다. 2001년 와일드카드로 윔블던에 참가하여 [[카를로스 모야]], [[앤디 로딕]]을 꺾고 8강에 진출, 8강전에서 [[마라트 사핀]]을 3:1로 누르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윔블던의 얼굴마담 [[팀 헨먼]]을 꺾고 커리어 네 번째 윔블던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 [[패트릭 래프터]]를 끝없는 접전 끝에 3:2(6-3, 3-6, 6-3, 2-6, 9-7)로 꺾으며 커리어 막바지에 '''그랜드슬램 우승'''을 기록한다. 프로 테니스 역사상 최초로 메이저 대회를 우승한 와일드카드이며, 남자 단식으로는 현재까지 유일한 기록이다. 2004년에 은퇴할 때까지 상술한 윔블던 우승 및 메이저 대회 남자 단식 준우승 3회, 4강 진출 3회, 8강 진출 7회, 마스터스 컵 남자 단식 4강 진출 3회, 마스터스 시리즈 남자 단식 우승 2회, 준우승 5회, 4강 진출 9회,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테니스 남자 단식 동메달, ATP 투어 남자 단식 우승 18회, 준우승 18회 등 서브 의존도가 매우 높은 선수치고는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엄청나게 강력한 서브가 주된, 그리고 유일한 무기였다. 비록 초강력 서브가 톱클래스급 선수들에겐 잘 안 통하였지만 잔디 코트처럼 서브가 빠를수록 유리한 코트에선 톱클래스 선수들과도 어느 정도 경기를 해볼만 했고 이바니세비치의 컨디션이 좋은 경우에는 톱클래스 선수도 이바니세비치의 초강력 서브를 잘 못막아서 고전하였다. == 여담 == *2000년에 [[이형택]]과 경기를 한 적이 있는데, 경기가 풀리지 않자 가지고 있던 라켓들을 모조리 부쉈고 경기를 할 라켓이 더 없어서 실격처리된 적이 있다. [[분류:크로아티아의 테니스 선수]][[분류:1971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2004년 은퇴]][[분류:스플리트 출신 인물]][[분류:1988 서울 올림픽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