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려)] [include(틀:고려)] [include(틀:태조(고려))] ||<-2>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width=15%]] '''{{{#ffd700 [[고려|{{{#670000 고려}}}]] [[왕실|{{{#670000 왕실}}}]]}}}''' || || '''{{{#670000 관향}}}''' ||[[경기도]] [[개풍군]] 서면 개성리|| || '''{{{#670000 창업조}}}''' ||[[태조(고려)|태조 신성대왕]] || || '''{{{#670000 중시조}}}''' ||[[광종(고려)|광종 대성대왕]], [[현종(고려)|현종 원문대왕]] || || '''{{{#670000 주요인물}}}''' ||[[고려/왕사|고려 국왕들]], [[충선왕]], [[안종(고려)|안종]], [[대종(고려)|대종]], [[충렬왕]], [[공민왕]], [[우왕]], [[공양왕]] || [목차] == 태조 이전 == ||<|4>[[태조(고려)|태조 왕건]]||<|2> [[세조(고려)|세조 왕륭]] || [[의조(고려)|의조 작제건]] || || [[원창왕후]] || ||<|2>[[위숙왕후|위숙왕후 한씨]]|| || || || === [[국조(고려)|국조]] === * 처증조부 : [[호경(신라)|호경]] * 처조부 : 강충 * 장인어른 : 강보육 * [[국조(고려)|국조 원덕대왕]] * 처 : [[정화왕후]] * 아들 : [[의조(고려)|의조 경강대왕]] === [[의조(고려)|의조]] === * [[의조(고려)|의조 경강대왕]] * 부인 : [[원창왕후]] * 장남 : [[세조(고려)|세조 위무대왕]] * 며느리 : [[위숙왕후]] * 손자 : [[태조(고려)|태조 신성대왕]] * 차남 : 왕평달 * 손자 : [[왕식렴]] * 증손 : 왕함윤 * 증손 : 왕함순 * 증손 : 왕풍 * 손자 : 왕신 * 손자 : 왕육 * 삼남 : [[개성 왕씨]] * 사남 : [[개성 왕씨]] === [[세조(고려)|세조]] === [include(틀:세조(고려))] * [[세조(고려)|세조 위무대왕]] * 처 : [[위숙왕후]] * 아들 : [[태조(고려)|태조 신성대왕]] == 고려 전기 == >'''표기법''' > * 는 자신, 부인 > * 는 아들, 며느리, 딸 > * 는 손자, 손녀, 손부 >배우자는 이름 앞에 '''배우자:'''를 붙인다. === [[태조(고려)|태조]] === 태조 왕건은 부인이 많기로 유명하다.[* 고려를 떠나 한국사 전체의 왕으로서도 가장 확실히 기록된 사례다. 자식의 경우 총 34명(25남 9녀)로 기록.] 역사를 잘 모르는 사람이라도 태조가 많은 부인을 가졌다는 사실 정도는 알 정도.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즉위 초 불안한 왕권과 낮은 정통성을 보완하기 위해 유력 귀족들과 혼인을 통해 혈맹을 맺는 혼인정책을 펼쳤다. 사서 등 알려진 바에 따르면, 29명[* [[동국통감]]에만 나오는 대량원부인은 일반적으로 [[신성왕태후]]가 왕태후가 되기 전 호칭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왕건에게는 25비주(妃主)가 있다고 하여 고려사의 기록과 차이가 있다. 다만 고려에서는 조선과 달리 후궁을 비(妃)로 칭했으므로 후궁 23명에 훗날 왕태후로 승격된 [[신정왕태후|명복궁대부인]], [[신성왕태후|대량원부인]]을 추가하면 정확히 25명이 된다.]의 부인을 두고 있고 부인들 모두는 유력 지방 호족이거나 공신들의 딸이다.[* 태조는 이들에게 [[고려의 궁원]]을 봉해주었다.] 이 혼인 정책은 태조가 살아있을 때는 그들의 딸을 인질로 삼아 반역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였지만, 사후에는 유력 귀족을 외가로 둔 쟁쟁한 왕자들 덕분에 왕위 쟁탈전의 계기를 제공하였다. 분량 문제로 인해 왕후[* 신혜, 장화, 정덕] · 태후로 승격된 원주[* 신명, 신정, 신성], 특정 시호를 받은 원주[* 헌목, 정목, 숙목, 예화, 성무], 그 외 기타 원주, 이외 기록에서 발견되는 자식들로 나눠 서술한다. ==== 왕후 및 왕태후와 그 자녀 ==== * 1대 [[태조(고려)|태조 신성대왕]] * 제1비: 하동군부인(건국 전) → [[신혜왕후]] 류씨 * 제2비: [[장화왕후]] 오씨 * [[혜종(고려)|혜종 의공대왕]] 무(武) * 제3비: [[신명순성왕후]] 유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왕태(고려)|태자 태]] - 정종과 광종이 왕위를 이은 것을 보아 요절한 것으로 추정되나 《[[고려사]]》에서는 사망 관련 기록을 찾을 수 없다. * [[정종(고려 3대)|정종 문명대왕]] 요(堯) * [[광종(고려)|광종 대성대왕]] 소(昭) * [[문원대왕]] 정(貞) * 증통국사(證通國師) * [[낙랑공주(고려)|낙랑공주]] 왕씨 - [[경순왕|낙랑왕]]의 부인 * [[흥방궁주]] - 원장태자(元莊太子)[* 태조의 제6비 [[정덕왕후]]의 아들]의 부인 * 제4비: 명복궁대부인(황주원부인) → [[신정왕태후]] 황보씨 * [[대종(고려)|대종]] 욱(旭) * [[대목왕후]] 황보씨 - [[광종(고려)|광종]]의 제1비 * 제5비: 대량원부인 → [[신성왕태후]] 김씨/이씨 * [[안종(고려)|안종]] 욱(郁() * 제6비: [[정덕왕후]] 류씨 * 왕위군(王位君) * 인애군(仁愛君) * 원장태자(元莊太子) * 흥방궁대군(興芳宮大君) * [[대명궁부인]] 류씨 - [[경종(고려)|경종]]의 후궁. 이후 경장태자(敬章太子)의 부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장태자의 딸인 [[원용왕후]]가 [[정덕왕후]]와 같은 정주 류씨이고, 류씨 성을 따를 수 있는 모계 후계가 있는 사람은 오직 원장태자 뿐이기 때문이다.] * 조이군(助伊君) * [[문혜왕후]] 류씨 - [[문원대왕]]의 부인 * [[선의왕후(고려)|선의왕후]] 류씨 → 선의왕태후 류씨 - [[대종(고려)|대종]]의 부인 * 공주 - 의성부원대군의 부인 ==== 추존 후궁과 그 자녀 ==== * 제7비: [[헌목대부인]](獻穆大夫人) 평씨[* 경주 평씨(慶州 平氏)] - 평준(平俊)의 딸. 손자가 홍덕원군이라는 봉호를 달고 있는 것을 보면 본래 홍덕원부인(弘德院夫人)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수명태자(壽命太子) * 홍덕원군(弘德院君) 규(圭) * 배우자: [[문덕왕후]] 유씨 - [[광종(고려)|광종]]의 3녀, 후에 [[성종(고려)|성종]]과 재혼 * [[선정왕후]] 유씨 - [[목종(고려)|목종]]의 제1비 * 제8비: [[정목부인]] 왕씨[* 명주 왕씨(溟州 王氏). 현재의 [[강릉 김씨]]이며 강릉 김씨 중 몇몇 왕씨로 사성받은 인물들은 강릉 왕씨로 부르기도 한다.] - [[왕경#고려 초기의 왕족|왕경]](王景)의 딸. 같은 명주 왕씨인 제14비 대명주원부인 왕씨가 대(大)를 달고 있는 걸 보아 원호는 소(小)명주원부인으로 추정된다. * [[순안왕대비]] 왕씨 - 왕대비로 추존된 경위는 기록에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지만 대비란 칭호를 봤을 때 현종 이후의 국왕이 추증했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에서 [[대비]]는 국왕의 계모[* 정확히 계모는 아니더라도 국왕을 키워준 사람에게 주던 호칭이다.]에게 주던 호칭이었다. 순안(順安)은 고려 시대에 현대의 [[영주시]]를 뜻하는 단어다. * 제10비: 숙목부인(肅穆夫人) 임씨[* 진주(진천) 임씨(鎭州 林氏)]- 임명필(林名必)[* 사서에서는 성이 누락되어 있으나 태조 즉위 직후 있었던 인사 이동에서 임명필(林明弼)이 순군부령에 임명되는데, 고려 초기에는 같은 이름의 한자 표기가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으로 인해 임씨로 보기도 한다.]의 딸. [[의화왕후]] 임씨와 같은 가문 출신이다. 아들인 원녕태자가 진주낭군으로도 불리는 점을 보면 원래는 진주원부인(鎭州院夫人)으로 불린 듯하다. * 원녕태자(元寧太子) - 일명 진주낭군(鎭州郞君). 976년 [[경종(고려)|경종]]이 호족 유화책으로 [[복수법]]을 제정하자 이복형제인 효성태자(孝成太子)와 함께 [[왕선]](王詵)에게 살해당했다. * 효당태자(孝當太子) * 제18비: 예화부인(禮和夫人) 왕씨[* 광해주 왕씨(光海州 王氏). [[사성정책]] 전에는 해주 박씨(海州 朴氏)] - [[왕유#s-2]](王柔)의 딸. 광해주는 현재의 해주가 아닌 춘천을 뜻한다. 예나 지금이나 춘천 일대가 경기도에서 강원도로 가는 요충지이기에 영서지방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동진을 위해서 혼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제25비: 성무부인(聖茂夫人) 박씨[* 평주 박씨(平州 朴氏). 이전에는 평산 박씨(平山 朴氏)] - [[박지윤(고려)|박지윤]]의 딸. 박지윤은 [[박수문]]과 [[박수경(고려)|박수경]] 형제의 아버지이기 때문에 월경원부인(月鏡院夫人)[* 태조의 제27비]과 몽량원부인(夢良院夫人)[* 태조의 제28비]의 고모가 된다. * 효제태자(孝悌太子) * 효명태자(孝明太子) * 법등군(法燈君) * 자리군(資利君): 《고려사》에 따르면 자리(資利)는 [[막내]]의 사투리이기 때문에 태조의 자식들 중 막내아들로 추정된다. * 공주: [[경순왕]]의 부인 ==== 원주와 그 자녀 ==== * 제9비: 동양원부인(東陽院夫人) 유씨 - 평주(평산) 유씨(平州 庾氏) [[유금필]]의 딸. * 효목태자(孝穆太子) 의(義) - 천안낭군(天安郞君),[* 태조의 제11비 천안부원부인의 장남] 진주낭군(鎭州郞君)[* 태조의 제10비 숙목부인(肅穆夫人)의 장남]과 다르게 동생인 효은태자만 동양군으로 불리는 것으로 보아, 족내혼을 하여 동양원에 대한 상속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 출가한 아들 * [[효은태자|효은태자 동양군]][* 여담으로 [[한국사]]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호부견자]]다.《[[고려사]]》에 따르면 인성이 [[막장|개막장]]인데다가 질이 나쁜 인간들과 어울려 다녔고, 결국 [[광종(고려)|광종]] 즉위 이후 반역을 꾀하다 사사당했다.《[[제국의 아침]]》에서는 작가가 [[거열형]]으로 끔살당하게 만드는 [[역사 왜곡]]을 저지른 덕분에 이 드라마 이후 광종을 다룬 [[빛나거나 미치거나|다른]]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작품들]]에서도 대접이 [[영 좋지 않다]].] * 림(琳) * 온결공(溫潔公) 정(禎) - 현존하는 [[개성 왕씨]]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동양군파는 동양군의 아들 온결공의 후손이다. * 제11비: 천안부원부인(天安府院夫人) 임씨[* 경주 임씨(慶州 林氏)] - [[임언]]의 딸 . 경주 출신임에도 천안부(天安府)를 명칭으로 사용한 것에 대해 토착 세력이 없던 천안을 왕실의 주요 지역 기반으로 삼고자 천안을 본거지로 삼게 했기에 임씨의 아들들이 천안낭군(天安郞君)이라 불렸다는 설과 임언이 태수를 지낸 지역이 천안이라는 설이 있다. 고려사에 진주낭군(鎭州郞君)[* 태조의 제10비 숙목부인(肅穆夫人)의 장남]과 정치적 견해를 같이 했고 성씨가 임씨로 같은 것으로 보아 천안과 진주(진천)가 인접한 것을 고려했을 때 본래 같은 가문이었으나 임언이 신라 조정에서 일하면서 본적을 옮겼을 가능성도 없진 않다. * 효성태자(孝成太子) 주림(珠琳)[* 고려사 종실열전 태조소생왕자편 서론에서는 주림(珠琳)이라 기록되어 있으나 본편에서는 림주(琳珠)라고 기록되어 있다.]: 일명 천안낭군(天安郞君). [[정종(고려)|정종]]과 [[문성왕후]] 박씨의 딸과 혼인했다. 976년 [[경종(고려)|경종]]이 제정한 [[복수법]]으로 인해 이복형제인 원녕태자(元寧太子)[* 태조의 제10비 숙목부인(肅穆夫人)의 장남 ]와 함께 [[왕선]](王詵)에게 살해당했다. * 효지태자(孝祗太子) * 제12비: 흥복원부인(興福院夫人) 홍씨[* 홍주 홍씨(洪州 洪氏)] - 홍규(洪奎)의 딸 * 태자 직(稷) * 공주: 제3비 [[신명순성왕태후|신명순성왕후]] 유씨의 장남 왕태(王泰)의 부인 * 제13비: 후대량원부인(後大良院夫人) 이씨[* 협주 이씨(俠州 李氏). 이전에는 합주 이씨(陜州 李氏)] - 이원(李元)의 딸 * 제14비: 대명주원부인(大溟州院夫人) 왕씨[* 명주 왕씨(溟州 王氏). [[사성정책]] 전에는 [[강릉 김씨]](江陵 金氏)] - [[김예|왕예]](王乂)의 딸. 제8비 [[정목부인]]과 6촌관계이다. * 제15비: 광주원부인(廣州院夫人) 왕씨[* 양근 함씨(楊根 咸氏)] - [[왕규#s-1]]의 딸 * 제16비: 소광주원부인(小廣州院夫人) 왕씨 - 제15비 광주원부인 왕씨의 자매. 광주원부인과 소광주원부인은 [[혜종(고려)|혜종]]의 후궁 후광주원부인 왕씨(後廣州院夫人 王氏)와도 자매지간이다. * [[광주원군]](廣州院君) - [[정종(고려)|정종]], [[광종(고려)|광종]] 형제가 [[왕규]]를 없앨 때, 왕규가 광주원군을 즉위시키려 한다고 누명을 씌웠기 때문에 광주원부인, 소광주원부인, 후광주원부인과 함께 처형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제17비: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 박씨[* 승주 박씨(昇州 朴氏). 현재는 순천 박씨(順天 朴氏)] - [[박영규#s-1]]의 딸. [[견훤]]의 외손녀로 [[정종(고려)|정종]]의 제1비 [[문공왕후]] 박씨, 제2비 [[문성왕후]] 박씨와 자매지간이다. * 제19비: 대서원부인(大西院夫人) 김씨[* 동주 김씨(洞州 金氏)] - 김행파(金行波)의 딸 * 제20비: 소서원부인(小西院夫人) 김씨 - 대서원부인의 자매. 김행파가 [[신혜왕후]] 류씨를 따라 두 딸을 시집보내고자 평양에 들른 왕건에게 두 딸을 출가하게 만들었지만, 왕건은 신혜왕후 때와 달리 김씨 두 자매에게 대서원과 소서원이라는 평양의 두 절과 노복을 주고 궁으로 데려오지는 않았다. ~~[[지못미]].~~ 그래도 최소한의 예우는 받았기에 후궁으로 본다.[* 이후 같은 가문의 [[김치양]]이 [[천추태후]]와 사통하고 그 자식이 왕위를 노리는 사태까지 벌어진다.] * 제21비: 서전원부인(西殿院夫人) 박씨 - 사서에 나오는 왕건의 부인 중 성씨, 가계, 출신지에 대해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은 유일한 사람이다. [[한국사의 후궁 제도]]를 참고할 경우, 전(殿)과 원(院)은 양립하지 않고 규모에 따라 확연히 구분됐음에도 불구하고 둘 모두를 당호에 포함한 것은 굉장히 특이한 일이다. 다만 “서전원”이라는 곳이 당대에 서경이라 불린 평양에 있었을 가능성은 높다. 이 경우 922년 김행파와 함께 서경으로 이주하는 시중-대승 박질영이라는 인물이 그녀의 아버지일 수 있으며 금석문 기록 상 패강-서경을 기반으로 하는 박씨가 확인된다. * 제22비: 신주원부인(信州院夫人) 강씨[* 신주 강씨(信州 康氏). 지금은 신천 강씨(信川 康氏)]- 강기주(康起珠)의 딸. [[궁예]]의 부인 [[강비]]와 같은 가문 출신이다. * 아들이 있었으나 요절해 제3비 [[신명순성왕후]]의 아들인 [[광종(고려)|광종]]을 자신이 보살폈다. 신주는 상대적으로 황주와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대목왕후]]와의 결혼을 주도한 것으로 추정되며, 나아가 광종의 즉위 기반이 되었으리라는 추측이 있다. * 제23비: 월화원부인(月華院夫人) - 영장(英章)의 딸. 성씨는 알 수 없으며, 927년 왕건 휘하의 해군 장군으로서 [[대야성]]을 점령한 영창(英昌)이 있고, [[신라시대]]부터 章과 昌이 혼동되어 쓰였으므로 동일인물이 아닌가 추정된다. 밑에 나올 징효대사탑비에 나온 인물은 탑비로부터 가까운 순서대로 기록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월 또는 영월과 가장 인접한 대도시 원주의 호족으로 추정된다. 영월에 은거하던 [[궁예]]가 의탁한 [[양길]] 역시 원주의 도적이었으며 이 당시 원주의 호족으로는 [[원극유]]의 원주 원씨가 있었다. * 제24비: 소황주원부인(小黃州院夫人) 황보씨 - "순행(順行)의 딸로 사서(史書)에서 성씨(姓氏)를 잃어버렸다."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현대 학자들은 황주 출신이라는 점에서 황주 황보씨(黃州 皇甫氏)이며 소(小)라고 표기하기 때문에 "[[신정왕후]] 황보씨가 대황주원부인(大黃州院夫人)이 아니냐?" 추정하고 있다. 신정왕후의 부인 시절 봉호는 [[명복궁]]대부인(明福宮大夫人)이었는데, 명복궁의 본래 이름이 황주원이었다는 점도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한다. * 제26비: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 홍씨 - [[홍유]]의 딸. 경상도 북부에 대한 안정과 홍유의 공 때문에 혼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 [[의성부원대군]] - 제6비 [[정덕왕후]] 류씨의 딸과 혼인했다. * 제27비: 월경원부인(月鏡院夫人) 박씨[* 평주 박씨(平州 朴氏). 이전에는 평산 박씨(平山 朴氏)] - [[박수문]]의 딸. 박수문이 [[박지윤(고려)|박지윤]]의 아들이자 [[박수경(고려)|박수경]]의 형이기 때문에 성무부인(聖茂夫人) 박씨는 고모,[* 태조의 25비] 몽량원부인(夢良院夫人)박씨[* 태조의 제28비]와는 사촌자매가 된다. * 제28비: 몽량원부인(夢良院夫人) 박씨[* 평주 박씨(平州 朴氏). 이전에는 평산 박씨(平山 朴氏)] -[[박수경(고려)|박수경]]의 딸. 박수경이 [[박지윤(고려)|박지윤]]의 아들이자 [[박수문]]의 동생이기 때문에 성무부인(聖茂夫人) 박씨[* 태조의 25비]는 고모, 월경원부인(月鏡院夫人) 박씨[* 태조의 제27비]와는 사촌자매가 된다. * 제29비: 해량원부인(海良院夫人) 최씨 - [[최선필]](崔宣必)의 딸. 최선필은 신라 출신으로 재암성(載巖城) 장군으로 있다가 태조를 돕고 930년 고려로 귀순한 최선필(崔善弼)이라는 설이 있다. 왕건이 말년의 선필을 상보(尙父)로 대우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 자식에 대한 기타 기록 ==== 징효대사탑비에 따르면 왕건의 자녀들 중 ◯◯대왕, 필영대왕(弼榮大王), 청단◯주(淸端◯主)라는 호를 가진 자녀들이 있었다.[[https://blog.naver.com/gil092003/100205980519|#]]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등장하지 않는데, <징효대사탑 비문>에 왕요군(정종), 왕소군(광종), 글자 마멸 부분 뒤에 ??대왕과 필영대왕이라는 이름이 나타나면서 알려졌다.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는 924년(태조 7년)에 비문을 지었으나 944년(혜종 2년)에 비석이 세워졌다. 비석에는 비석 수립에 기여한 사람의 명단을 새겼는데, 왕요군, 왕소군 등으로 기록된 당시 왕자군이나 태자 칭호가 아닌 대왕으로 추존되어 탑비가 세워진 944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王堯君 王照君 ◯◯大王 弼榮大王 英章正匡 王景大承 淸端◯主 金鎰蘇判 兢達蘇判 王規佐承 權說佐承 王詢佐承 王廉佐承 誠俊元甫 * [[대왕(고려 추존)|◯◯대왕]], [[필영대왕]]은 대왕으로 칭해지는 것을 볼 때 상당한 권위가 있던 왕자로 보이지만 기록에서 소멸되어 자세한 것은 불명이다. <징효대사탑 비문>에 다른 왕자들을 제치고 왕요군, 왕소군과 함께 나란히 기록된 걸 보면 나름 핵심적인 인물이었던 것 같다. * 영장 정광은 태조의 후궁 월화원부인의 아버지이다. * 왕경 대승은 태조의 후궁 정목부인의 아버지이다. * 청단◯주는 《고려사》 <병지>에 나오는 평주와 안서(해주) 사이에 걸쳐있는 청단에서 따온 말로 추정된다. 한자는 다르지만 현재 북한 체제 하에 [[청단군]]이 있는 곳과 동일하다. 그리고 지워진 글자는 公(공)자가 아닌 宮(궁)자로 추정되는데, 고려 왕실은 왕녀를 공주가 아닌 궁주로 책봉했기 때문에 宮의로 추정된다. * 김일 소판은 태조의 사위 [[경순왕]]의 장남으로 전해진 인물이다. 다만 김일이 [[마의태자]]와 동일 인물인지는 알 수 없다. * 긍달 소판은 태조의 왕비 신명왕후의 아버지이다. * 왕규 좌승은 태조의 후궁 광주원부인 및 소광주원부인의 아버지이다. * 권열 좌승의 성씨는 충주 유씨로, 금석문에서도 충주의 호족으로 나와 있다. 따라서 정종과 광종의 외가 쪽 친족임이 유력해 보인다. * 왕순 좌승의 이름 자체는 현종과 같으나 시기상 가능성이 없다. 일단 명주의 왕경 또는 광주의 왕규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왕렴 좌승은 [[왕순식]]의 아들이다. * 이상의 인물은 명주(溟州), 원주(原州), 죽산(竹州), 공주(公州), 제천(堤州), 충주?(冷井), 진천(新知縣), 동해(又谷郡), 영월(奈生郡), 영월?(冷水縣), 영월(酒淵縣), 단양?(別斤縣), 괴산(丹越驛) 출신이 주된 것으로 보이며, 기록도 이 순서와 일치할 것으로 추측된다.[* 위치 미상인 곳은 기록된 순서로 봤을 때 제천과 진천 사이에 있는 “냉정”이 충주, 영월과 영월 사이에 있는 “냉수현”이 영월로 추정된다. “별근”의 경우 “붉은”의 가차로 보이므로 영월과 인접한 단양으로 추정이 가능하며, 한자는 다르지만 단월(丹月)역의 경우 괴산군에 소재한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나와있다.] * 기록상 특이할 만한 점이 하나 더 있는데, 왕요군-왕소군-◯◯대왕-청단◯주로 이어지는 라인에서 왕요군, 왕소군, 청단◯주는 다른 인물보다 2칸 더 내어쓰기 되어있다는 점이다. 왕요, 왕소, 청단 부분이 후대의 가필이거나, 모종의 이유로 왕요군, 왕소군, 청단◯주에게 ◯◯대왕과 필영대왕 및 기타 외척, 가신들과 구별되는 권위를 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 참고로 고려 정종은 923년생, 고려 광종은 925년생이다. 즉, 비문이 지어진 시점에 정종은 1살이었고 광종은 태어나지도 않았던 시점이다. 즉, "비문 자체는 비석과는 별개로 진행되었다."는 뜻. 달리 말하면 기록된 인물들은 944년 기준 '''살아있는 사람들'''이고 ◯◯대왕과 필영대왕은 시호가 아닌 존호일 가능성이 높다. 덧붙여 한국사 기록 중 “대왕”을 생존 중인 비통치 왕족에게 사용한 전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들의 호칭이 “태자”를 대체해 사용된 것인지도 불분명. 고려의 기록에는 없으나 [[요나라]] 기록에 따르면 발해 유민 [[고모한]]이 왕건의 사위가 되었으나 훗날 고려를 배반하고 요나라에 귀부했다고 하는데, 왕건의 딸들 중 배우자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은 [[순안왕대비]]와 앞에서 언급된 청단◯주 뿐이다. 다만 순안왕대비는 시열대상 가능성은 낮다. === [[혜종(고려)|혜종]] === * 2대.[[혜종(고려)|혜종 의공대왕]] * 제1비: [[의화왕후]] 임씨 - [[임희]]의 딸 * 흥화궁군(興化宮君) - 흥화낭군(興化郞君) 또는 그냥 흥화군(興化君)이라고도 한다. * [[경화궁부인]] 임씨 - [[광종(고려)|광종]]의 후궁. 여담으로 ‘경화궁’ 부분의 표기는 慶和宮, 慶化宮, 慶華宮 모두가 가능하다. * 정헌공주(貞憲公主) * 제2비: 후광주원부인(後廣州院夫人) 왕씨 - [[왕규]]의 딸 * 제3비: 청주원부인(淸州院夫人) 김씨 - 김긍률(金兢律)의 딸. 정종의 후궁 청주남원부인(淸州南院夫人)과 자매 * 제4비: 궁인 애이주(哀伊主) 연씨 - 연예(連乂)의 딸 * 태자 제(濟) * 명혜부인(明惠夫人) === [[정종(고려 3대)|정종]] === * 3대.[[정종(고려 3대)|정종 문명대왕]] * 제1비: [[문공왕후]] 박씨 - [[박영규]]의 차녀 * 제2비: [[문성왕후]] 박씨 - [[박영규]]의 삼녀 * 경춘원군(慶春院君) * 공주 - 효성태자(孝成太子)[* 태조의 제11비 천안부원부인(天安府院夫人)의 아들]의 부인 * 제3비: 청주남원부인(淸州南院夫人) 김씨 - 김긍률(金兢律)의 딸. 혜종의 후궁 청주원부인(淸州院夫人)과 자매 === [[광종(고려)|광종]] === * 4대.[[광종(고려)|광종 대성대왕]] * 제1비: [[대목왕후]] 황보씨 - [[신정왕태후|신정왕후]][* 태조의 제4비]의 딸 * [[경종(고려)|경종 헌화대왕]] 주(伷) * 효화태자(孝和太子) * 천추전부인(千秋殿夫人) - 이름은 아지(阿志). 천추전군(千秋殿君)[* [[문원대왕]]의 아들]의 부인 *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 남편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남매인 경종과 함께 겹사돈을 맺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문덕왕후]] 유씨[* 할머니 [[신명왕후]]의 성씨를 따랐다.] - [[성종(고려)|성종]]의 제1비 * 제2비: [[경화궁부인]] 임씨 - [[혜종(고려)|혜종]]의 장녀 * 제3비: 궁인 김씨 → 현비(賢妃) 김씨 - 《고려사》 후비 열전에는 누락되어 있으며, [[현종(고려)|현종]]에 의해 현비(賢妃)로 추증되었다. * 친동생: [[문원대왕]] * 문원대왕의 비: [[문혜왕후]] 류씨 - [[정덕왕후]][* 태조의 제6비]의 장녀 * 천추전군(千秋殿君) * 배우자: 천추전부인[* 이름은 아지(阿志)]- [[대목왕후]]의 차녀 * [[헌의왕후]] 류씨 - [[경종(고려)|경종]]의 제2비 === [[경종(고려)|경종]] === * 5대.[[경종(고려)|경종 헌화대왕]] * 제1비: [[헌숙왕후]] 김씨 - 고모 [[낙랑공주(고려)|낙랑공주]]와 [[경순왕]] 김부의 딸 * 제2비: [[헌의왕후]] 류씨 - [[문원대왕]]의 딸 * 제3비: [[헌애왕후]] 황보씨 → 헌애왕태후(천추태후) - [[대종(고려)|대종]]의 장녀 * [[목종(고려)|목종 선양대왕]] 송(誦) * 제4비: [[헌정왕후]] 황보씨 → 효숙왕태후 - [[대종(고려)|대종]]의 차녀 * 제5비: [[대명궁부인]] 류씨 - 원장태자(元莊太子)[* 태조의 제6비 [[정덕왕후]] 류씨의 삼남]의 딸 === [[성종(고려)|성종]] === * 부친: [[대종(고려)|대종 선경대왕]] * 모친: [[선의왕후]] 류씨 → 선의왕태후 류씨 - [[정덕왕후]]의 차녀 * 친형: 효덕태자(孝德太子) * 6대.[[성종(고려)|성종 문의대왕]] 치(治) * 제1비: [[문덕왕후]] 유씨 - [[광종(고려)|광종]]의 삼녀 * 제2비: [[문화왕후]] 김씨 - 김원숭(金元崇)의 딸 * [[원정왕후]] 김씨- [[현종(고려)|현종]]의 제1비 * 제3비: [[연창궁부인]] 최씨 → 낙랑군대부인 최씨 - 최행언(崔行言)의 딸 * [[원화왕후]] 최씨 - [[현종(고려)|현종]]의 제2비 * 누이: [[헌애왕후]] 황보씨 → 헌애왕태후(천추태후) - [[경종(고려)|경종]]의 제3비 * 누이: [[헌정왕후]] 황보씨 → 효숙왕태후 - [[경종(고려)|경종]]의 제4비, [[안종(고려)|안종]]의 내연녀 * 친동생: 경장태자(敬章太子) - 일명 황주원낭군(黃州院郞君) * [[원용왕후]] 류씨 - [[현종(고려)|현종]]의 제5비 === [[목종(고려)|목종]] === * 7대.[[목종(고려)|목종 선양대왕]] * 제1비: [[선정왕후]] 유씨 - 홍덕원군(弘德院君)[* 태조의 제7비 [[헌목대부인]]의 차남]과 [[문덕왕후]]의 딸 * 제2비: 요석택 궁인 (邀石宅 宮人) 김씨 === [[현종(고려)|현종]] === * 부친: [[안종(고려)|안종 효의대왕]] * 이복누이 : 성목장공주(成穆長公主) * 모친 : [[헌정왕후]] - [[경종(고려)|경종]]의 제4비, [[안종(고려)|안종]]의 비로서의 시호는 효숙왕후(孝肅王后) * 8대.[[현종(고려)|현종 원문대왕]] * 제1비: [[원정왕후]] 김씨 - [[성종(고려)|성종]]의 장녀 * 효혜궁주(孝惠宮主) - 추정 * 제2비: [[원화왕후]] 최씨 - [[성종(고려)|성종]]의 차녀 * 수(秀) * 효정공주(孝靜公主/孝靖公主) * 천수전주(天壽殿主) * 제3비: [[원성왕후]] 김씨 → 원성태후 - [[김은부]]의 장녀 * 인평왕후(仁平王后) - [[문종(고려)|문종]]의 제1비 * 경숙공주(景肅公主) * [[덕종(고려)|덕종 경강대왕]] 흠(欽) * [[정종(고려 10대)|정종 용혜대왕]] 형(亨) * 제4비: [[원혜왕후]] 김씨 → 원혜태후 - [[김은부]]의 차녀 * [[문종(고려)|문종 인효대왕]] 휘(徽) * [[정간왕]] 기(基) - [[개성 왕씨]] 평양공파 시조 * [[효사왕후]] 김씨 - [[덕종(고려)|덕종]] 제3비 * 제5비: [[원용왕후]] 류씨 - 경장태자[* [[대종(고려)|대종]]의 3남]의 딸 * 제6비: [[원목왕후]] 서씨 - [[서눌]]의 딸 * 제7비: [[원평왕후]] 김씨 - [[김은부]]의 삼녀 * 효경공주(孝敬公主) * 제8비: [[원순숙비]] 김씨 - [[김인위]]의 딸 * [[경성왕후]] 김씨 - [[덕종(고려)|덕종]] 제1비 * 왕녀 - 경성왕후를 “경흥원의 장녀”로 서술한 것과 관련되어, 최소 두 명의 딸을 두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제9비: [[원질귀비]] 왕씨 - [[왕가도]]의 장녀 * 제10비: 귀비 유씨(貴妃 庾氏) - [[유방(고려)|유방]](庾方)의 딸로 추정 * 제11비: 궁인 한훤영(宮人 韓萱英) - 한인경(韓藺卿)의 딸 * [[왕충(고려)|검교태사 충]] - [[덕종(고려)|덕종]]의 공주와 혼인 * 제12비: 궁인 이씨(宮人 李氏) - 이언술(李彦述)의 딸 * 제13비: 궁인 박씨(宮人 朴氏) - 박온기(朴溫其)의 딸 * 왕녀 아지(阿志) * 제14비: 궁인 한씨(宮人 李氏) - 한빈경(韓彬卿)의 딸 === [[덕종(고려)|덕종]] === * 9대.[[덕종(고려)|덕종 경강대왕]] * 제1비: [[경성왕후]] 김씨 - [[현종(고려)|현종]]의 7녀 * 제2비: [[경목현비]] 왕씨 - [[왕가도]]의 차녀 * [[상회공주]] * 제3비: [[효사왕후]] 김씨 - [[현종(고려)|현종]]의 5녀 * 제4비: 후궁 이씨 - 공부시랑(工部侍郞) 이품언(李禀焉)의 딸. [[정종(고려 10대)|정종]]의 제3비 [[용목왕후]]와 자매 * 제5비: 후궁 유씨 - 검교소감(檢校少監) 유총거(劉寵居)의 딸 * 왕녀: [[현종(고려)|현종]]과 현종의 후궁인 궁인 한훤영(韓萱英)의 아들 [[왕충(고려)|검교태사 충]]과 혼인 === [[정종(고려 10대)|정종]] === * 10대.[[정종(고려 10대)|정종 용혜대왕]] * 제1비: [[용신왕후]] 한씨 - [[한조(고려)|한조]]의 장녀 * 형(詗) * 제2비: [[용의왕후]] 한씨 - [[한조(고려)|한조]]의 차녀 * 애상군(哀殤君) 방(昉) * [[왕경(낙랑후)|낙랑후 경]](璥) * [[왕개(개성후)|개성후 개]](暟) * 제3비: [[용목왕후]] 이씨 - 이품언(李禀焉)의 딸, [[덕종(고려)|덕종]]의 후궁 이씨와 자매지간 * [[도애공주]] * 제4비: 연흥궁주(延興宮主) 김씨 → 용절덕비(容節德妃) 김씨 - 문하시중(門下侍中) [[김원충]]의 장녀. [[문종(고려)|문종]]의 후궁 인목덕비(仁穆德妃) 김씨와 자매 * 제5비: 연창궁주(延昌宮主) 노씨 * 제6비: 궁인 한씨(宮人 韓氏) * 제7비: 궁인 한씨(宮人 韓氏)[* 위의 궁인 한씨와는 다른 인물로, 《고려사》 세가에는 "작은 한씨(小韓氏)"로 언급된다.] * 제8비: 궁인 위씨(宮人 韋氏) - 문하시중(門下侍中) 위수여(韋壽餘)의 딸로 추정 === [[문종(고려)|문종]] === * 11대.[[문종(고려)|문종 인효대왕]] * 제1비: [[인평왕후]] 김씨 - [[현종(고려)|현종]]의 3녀 * 제2비: [[인예왕후]] 이씨 -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장녀. [[국청사]]의 창건자 * [[순종(고려)|순종 선혜대왕]] 훈(勳) * [[선종(고려)|선종 사효대왕]] 운(運) * [[숙종(고려)|숙종 명효대왕]] 옹(顒) * [[의천|대각국사 의천]] 후 (煦) * [[상안공|상안공 수]] (琇) * 도생승통(道生僧統) 탱(王) * [[금관후|금관후 비]] (㶨) * [[변한후|변한후 음]] (愔) * [[왕침(낙랑후)|낙랑후 침]] (忱) * 총혜수좌(聰慧首座) 경(璟) * [[적경궁주]] - [[부여공|부여공 수]][* [[인경현비]]의 차남]와 혼인 * [[보령궁주]] - [[낙랑공|낙랑공 영]][* 문종의 동복동생 [[정간왕|정간왕 왕기]]의 아들]과 혼인 * 조졸한 공주 * 조졸한 공주 * 제3비: [[인경현비]] 이씨 -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차녀 * [[조선국 양헌왕|조선국 양헌왕 도]] (燾) * [[부여공|부여공 수]] (㸂) * [[진한공|진한공 유]] (愉) - [[문정왕후(고려)|문정왕후]][* 문종의 손자인 [[예종(고려)|예종]]의 제3비]의 아버지 * 조졸한 공주 * 조졸한 공주 * 제4비: 인절현비(仁節賢妃) -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삼녀 * 제5비: 인목덕비(仁穆德妃) - [[김원충]]의 차녀. [[정종(고려 10대)|정종]]의 후궁 용절덕비(容節德妃) 김시와 자매 * 조졸한 공주 ==== [[정간왕]] ==== * 제후왕: [[정간왕]] 기(基) - [[개성 왕씨]] 평양공파 시조 * 배우자: 장녕궁주(長寧宮主) 이씨와 수안택주(遂安宅主) 이씨 - 둘 다 추정 * 진(璡) * 거(琚) * [[낙랑공|낙랑공 영]] * 며느리 : 보령궁주(保寧宮主) 왕씨 - [[문종(고려)|문종]]의 차녀[* 《고려사》 열전 왕영 편에는 정종(靖宗)의 딸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 * 승화백(承化伯) 정(禎) * 손부 : 흥수공주(興壽宮主) 왕씨 - [[숙종(고려)|숙종]]의 차녀 * 지(禔)[* 禔는 제, 지, 시 세가지로 [[훈음]]된다. 《고려사》 한글 변역본에서도 혼재되어 있다.] == 고려 중기 == == 고려 말기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태조(고려)/가족관계, version=124)] [[분류:고려]][[분류:개성 왕씨]][[분류:태조(고려)]][[분류:세조(고려)]][[분류:혜종(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