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려대학교/대학원)]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고려대학교/학부/경영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원)] [include(틀:고려대학교의 대학원)] ||<-2> '''{{{+1 {{{#872434 고려대학교}}} {{{#7b4b37 경영전문대학원}}}}}}[br]{{{#872434 高麗大學校}}} {{{#7b4b37 經營專門大學院}}}[br]{{{#872434 Korea University}}} {{{#7b4b37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2> [[파일: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대학원 상징.jpg|height=100]] || || '''{{{#d7c9b1 상징색}}}''' || '''진갈색''' || || '''{{{#d7c9b1 대학원 코드}}}''' || '''41''' || || '''{{{#d7c9b1 원장}}}''' || '''김상용''' || || '''{{{#d7c9b1 연혁}}}''' || '''1963년 경영대학원 출범[br]2006년 경영전문대학원으로 전환''' || || '''{{{#d7c9b1 링크}}}''' || [[https://biz.korea.ac.kr/mb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고려대학교]]의 [[경영전문대학원]]. 1963년 1월 국내 최초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으로 개원하였고 이후 2006년 9월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으로 전환되었다. [[고려대학교]]의 학풍이 이어져 상대적으로 네트워킹, 혹은 인맥 형성에 강점을 보인다. 세계 3대 경영인증 중 [[AACSB]]와 EQUIS 인증을 받았다. 그 외에도 한국형MBA, CEMS[* 총 33개국에서 1개교씩 선발되어 결성되는 세계 명문 비즈니스 스쿨 연합으로,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이 국내 유일의 회원교이다.]에서 경영인증을 받았다. 일부 대학의 경영전문대학원은 전문박사 학위 과정을 두고 있지만, 고려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에는 특별히 박사 학위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 MBA / MIM 과정 == === Korea MBA === [[https://biz.korea.ac.kr/mba/koreaMBA/features.html|Korea MBA 홈페이지]] 공식적으로 1963년 개원한 국내 최초의 MBA인 경영대학원의 후신이며, 정원은 190명 내외다. 4학기 동안 4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2년 야간 과정이며, [[https://mot.korea.ac.kr/|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MOT)]]과 복수학위제를 운영하고 있다. Korea MBA 과정 수료 후 MOT에서 1년 과정을 거치면 두 개의 석사 학위[* 경영학 + 기술경영학/국방기술경영학]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영어 강의 비율은 10%이며, 성적장학금 제도가 있다. === Executive MBA === [[https://biz.korea.ac.kr/mba/executiveMBA/features.html|Executive MBA 홈페이지]] 2003년 국내 최초로 Executive MBA로 출범하였으며, 정원은 55명 내외다. 4학기 동안 4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2년 주말 과정이며,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중역 및 고급관리자를 대상으로 한다. 영어 강의 비율은 30%이며, 성적장학금 제도가 있다. === Finance MBA === [[https://biz.korea.ac.kr/mba/financeMBA/features.html|Finance MBA 홈페이지]] 2006년 개원하였으며, 정원은 35명 내외다. 4학기 동안 45학점 이상을 이수하여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2년 야간 과정이며, [[https://mot.korea.ac.kr/|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MOT)]]과 복수학위제를 운영하고 있다. Finance MBA 과정 수료 후 MOT에서 1년 과정을 거치면 두 개의 석사 학위[* 경영학 + 기술경영학/국방기술경영학]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금융분야에 특화된 실무중심 교육을 목표로 하며, 금융권 및 일반기업의 재무 관련 직장인을 타겟으로 한다. 공인재무분석사(CFA) 협회의 University Affiliation Program (UAP)에 국내 최초로 참여하여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맺어오고 있으며, CFA의 최신교과기준 및 윤리강령, 직업행동표준을 교과과정에 반영하고 있다. 매년 CFA 시험에 응시하는 학생 중 선발해 CFA 협회에서 지원하는 장학금을 수여한다. 영어 강의가 없으며, 성적장학금 제도가 있다. === Global MBA === [[https://biz.korea.ac.kr/mba/globalMBA/features.html|Global MBA 홈페이지]] 2006년 개원하였으며, 정원은 45명 내외다. 1년 주간 과정으로, 입학생이 등록한 세부 트랙별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경영학 석사(MBA)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학위 취득을 위해 필요한 기간이 짧아 경력 단절을 최소화하고 빠른 현업 복귀 및 취업이 가능하다. 원한다면 수학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Student Exchange Track(교환학생 프로그램)으로 6개월 연장[* 총 1년 6개월], Dual Degree Track(복수학위 프로그램)으로 1년 연장[* 총 2년]할 수 있다. 100% 영어 강의로 진행되며, 입학장학금 제도가 있다. === Global MIM === [[https://biz.korea.ac.kr/mba/globalMIM/features.html|Global MIM 홈페이지]] 2005년 개원하였으며, 정원은 15명 내외다. 1년 주간 과정으로, 경영학 석사 Global MIM[* Master in Management] 학위와 CEMS MIM[* Master in International Management] Certificate(증명서)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지원 자격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경영·경제 관련 분야 학사과정 수업을 이수하고, TOEFL iBT 100점 이상 또는 영어권 학사학위 취득 등 일정 수준의 영어 구사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장경력이 2년 미만이여야 할 것을 요구한다. CEMS MIM을 취득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글로벌 기업에서 8주 동안 해외 인턴십을 의무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 출신 인물 == * [[김병욱(1965)|김병욱]] * [[김양식]] * [[박세환(군인)|박세환]] * [[박판제]] * [[밤비걸]] * [[신동원(기업인)|신동원]] * [[어윤대]] * [[오영교]] * [[오영식]] * [[이명호(강사)|이명호]] * [[이상민(1965)|이상민]] * [[이연택]] * [[이일규(1950)|이일규]] * [[이종원(법조인)|이종원]] * [[이진용(1958)|이진용]] * [[정규재]] * [[정석문]] * [[정유섭]] * [[지영주]] * [[진진형]] * [[케빈킴]] * [[황교선]] [각주] [[분류:고려대학교]][[분류:대한민국의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