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려대학교/학사제도)] [include(틀:고려대학교)] [include(틀:고려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고려대학교 학부과정에 개설된 융합전공에 관한 문서이다. 주관 대학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서술한다. 각 융합전공마다 참여 학과가 정해져 있지만 타 학과 학생이라도 해당 융합전공을 들을 수 있다. 세종캠퍼스 학생이 서울캠퍼스 융합전공을 듣거나 그 반대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https://registrar.korea.ac.kr/eduinfo/info/major_convergence.do|고려대학교 교육정보 융합전공 안내]] == 서울캠퍼스 == === 문과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상징.png|height=150]] * 인문학과 정의: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독어독문학과, 언어학과, 한국사학과, 사학과, 한문학과, 법학전문대학원,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미디어학부, 불어불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참여. * EML(Emerging Market & Latin America): 서어서문학과, 경영학과, 국제학부, 사학과, 정치외교학과 참여. * LB&C(Language, Brain & Computer):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심리학과, 컴퓨터학과 참여. * 인문학과 문화산업: 한문학과, 국어국문학과, 한국사학과, 독어독문학과, 중어중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서어서문학과, 언어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미디어학부, 디자인조형학부, 불어불문학과 참여. * GLEAC(Global Leader for East Asian Century): 중어중문학과, 국어국문학과, 한문학과, 일어일문학과, 한국사학과, 사학과, 경영학과,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국제학부 참여. * 의료인문학: 영어영문학과, 사학과, 한국사학과,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법학전문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의학과, 간호학과, 생명과학과, 보건정책관리학과, 보건환경융합과학과 참여. * 통일과국제평화: 한국사학과, 사학과, 독어독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사회학과, 국제학부,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참여. === 생명과학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상징.png|height=150]] * 생태조경: 환경생태공학부, 식품자원경제학과, 건축학과, 디자인조형학부 참여. * 기후변화: 환경생태공학부, 식품자원경제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의학과, 국제학부 참여. * 미생물융합기술: 환경생태공학부, 생명과학부, 생명공학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바이오시스템의공학부 참여. === 정경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상징.png|height=150]] * 금융공학: 수학과, 경영학과, 경제학과, 통계학과, 산업경영공학부 참여. '''서울캠퍼스 소속 학생만 들을 수 있다.''' 즉 세종캠퍼스 학생은 들을 수 없다. * 사회규범과행정[* 원래는 '법과행정'이었으나 법학전문대학원 설치로 2018년부터 학부 법학과가 폐지됨에 따라 개칭.]: 행정학과, 법학전문대학원 참여. * [[PPE|PEP]](Politics, Economics and Policy)[* 원래는 'PEL(Politics, Economics and Law)'이었으나 법학전문대학원 설치로 2018년부터 학부 법학과가 폐지됨에 따라 개칭.~~정작 해당 융합전공은 개칭 전이나 후나 법학과/법학전문대학원이 참여하지 않는다(...)~~]: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행정학과, 통계학과, 경영학과 참여. === 공과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상징.png|height=150]] * 기술창업: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기계공학부, 산업경영공학부, 신소재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화공생명공학과, 건축학과, 경영학과, 컴퓨터학과 참여. ==== [[https://www.unihub.kr/|에너지신산업혁신공유대학]] ==== * 에너지신산업: 융합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화공생명공학과,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참여. === 사범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상징.png|height=150]] * 패션디자인 및 머천다이징: 가정교육과, 경영학과, 심리학과, 디자인조형학부, 미디어학부 참여. * 다문화한국어교육: 국어교육과, 가정교육과, 교육학과 참여. === 정보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상징.png|height=150]] * 뇌인지과학: 컴퓨터학과, 심리학과, 생명과학부, 환경생태공학부, 뇌공학과(대학원) 참여. * 소프트웨어벤처: 컴퓨터학과, 전기전자공학부, 산업경영공학부, 법학전문대학원, 경영학과 참여. * 정보보호[* 정보보호학부와는 관련 없다! 헷갈리지 말자.]: 컴퓨터학과, 정보보호대학원, 수학과, 법학전문대학원 참여. * 인공지능: 컴퓨터학과, 뇌공학과, 기계공학부, 바이오의공학부, 산업경영공학부, 전기전자공학부 참여. === 국제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국제대학 상징.png|height=150]] * GKS(Global Korean Studies): 국제학부, 국어국문학과, 사회학과, 한국사학과, 경영학과, 미디어학부, 정치외교학과, 경제학과 참여. '''외국인 학생만 들을 수 있다.''' === 보건과학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상징.png|height=150]] * 식품산업관리: 식품영양학과, 식품자원경제학과 참여. === 자유전공학부 === [[파일:고려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상징.png|height=150]] * 공공거버넌스와 리더십: 법학전문대학원, 행정학과, 경제학과 참여. '''자유전공학부 학생은 반드시 이 융합전공을 들어야 한다.''' 다만 타 전공 학생이 이 융합전공을 듣는 것도 가능하다. === KU-KIST융합대학원[*A 대학원 주관 학부 융합전공] === [[파일: 고려대학교 KU-KIST융합대학원 상징.jpg|height=150]] * 메디컬융합공학: KU-KIST융합대학원, 생명공학과, 화공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과, 전기전자공학부, 바이오의공학부 참여. == 세종캠퍼스 == === 과학기술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과학기술대학 상징.png|height=150]] * 인공지능·데이터분석: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참여. * 자율주행시스템: 미래모빌리티학과,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 전자기계융합공학과, 전자및정보공학과 참여. * 바이오헬스케어: 생명정보공학과,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 전자및정보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환경시스템공학과 참여. * 친환경동력시스템[*B 이 융합전공들은 미래모빌리티학과와 타 대학이 참여한다.] * 지능형전장제어시스템[*B] * 첨단센서융합디바이스[*B] * 디스플레이-시스템반도체소부장[*B] * 스마트휴먼인터페이스[*B] * 차세대통신융합디바이스[*B] * 모빌리티SW/AI[*B] === 글로벌비즈니스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상징.png|height=150]] * 지식산업: 글로벌경영전공,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전자및정보공학과 참여. === 공공정책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공공정책대학 상징.png|height=150]] * 사회인구학: 공공사회학전공,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경제정책학전공 참여. * 공기업경영-지능형기술관리: 정부행정학부, 글로벌경영전공, 컴퓨터융합소프트웨어학과,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참여. === 문화스포츠대학 === [[파일: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문화스포츠대학 상징.png|height=150]] * ~~디지털매체문화~~(폐지): 고고미술사학전공, 영미학전공, 중국학전공, 한국학전공, 글로벌경영전공, 스포츠비즈니스전공 참여. * 한류문화산업경영: 문화콘텐츠전공, 빅데이터사이언스학부, 스포츠비즈니스전공, 글로벌경영전공 참여. [[분류: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