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include(틀:서울특별시 성북구의 중학교)] [[파일:external/img.gioo.com/group_48569.jpg]] ||<-2> {{{#ffffff {{{+1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br]{{{#ffffff '''高麗大學校 師範大學 附屬中學校'''}}}[br]{{{#ffffff '''Korea University Middle School'''}}} || ||<-2> [[파일: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png]] || ||<-2> [include(틀:지도, 장소=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 {{{#ffffff '''개교'''}}} || 1968년 3월 11일 || || {{{#ffffff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ffffff '''성별'''}}} || 남녀공학 || || {{{#ffffff '''형태'''}}} || 사립 || || {{{#ffffff '''학교법인'''}}} || [[고려중앙학원]] || || {{{#ffffff '''교장'''}}} || 송창범 || || {{{#white '''교장'''}}} || 반웅렬 || || {{{#ffffff '''교훈'''}}} || 협조(協調), 창조(創造), 실천(實踐) || || {{{#ffffff '''교화'''}}} || [[무궁화]] || || {{{#ffffff '''교목'''}}} || [[은행나무]] || || {{{#ffffff '''학생 수'''}}} || 855명[*A 2019년 3월 기준] || || {{{#ffffff '''교직원 수'''}}} || 66명[*A] || || {{{#ffffff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161 || || {{{#ffffff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 || {{{#ffffff '''홈페이지'''}}} || [[http://koryo.m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8년 3월 11일 개교한 일반계 사립 남녀공학 중학교이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다. 정식명칭은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이지만 너무 길어서 보통 약자로 '''고대부중'''이라 불린다. == 역사 == 1967년 12월 26일 학교법인 우석학원에서 우석중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1967년 3월 11일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산1번지 교사에서 개교하였다. 1971년 12월 6일 학교법인 우석학원이 [[고려중앙학원]]에 병합되면서 고려중앙학원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1972년 1월 1일 고려중학교로 변경되었다가 1996년 3월 1일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연혁 == ||<-2> {{{#ffffff {{{+1 '''연혁'''}}}}}} || ||<-2> {{{#ffffff {{{+1 '''2010년대'''}}}}}} || ||'''2021.02.07'''||제 51회 졸업식|| ||'''2019.03.01'''||13대 송창범 교장 취임|| ||'''2019.02.15'''||제 49회 졸업식|| ||'''2018.02.09'''||제 48회 졸업식|| ||'''2017.02.09'''||제 47회 졸업식|| ||'''2016.02.04'''||제 46회 졸업식|| ||'''2015.02.11'''||제 45회 졸업식|| ||'''2014.06.05'''||12대 이주현 교장 취임|| ||'''2014.02.13'''||제 44회 졸업식|| ||'''2013.02.08'''||제 43회 졸업식|| ||'''2012.05.24'''||김재호 이사장 취임|| ||'''2012.02.10'''||제 42회 졸업식|| ||'''2011.02.11'''||제 41회 졸업식|| ||'''2010.09.01'''||11대 이장규 교장 취임|| ||'''2010.02.02'''||제 40회 졸업식|| ||<-2> {{{#ffffff {{{+1 '''2000년대'''}}}}}} || ||'''2009.07.06'''||김정배 이사장 취임|| ||'''2005.09.01'''||현승종 이사장 취임|| ||'''2003.09.02'''||10대 김효언 교장 취임|| ||'''2001.09.01'''||9대 권태원 교장 취임|| ||<-2> {{{#ffffff {{{+1 '''1990년대'''}}}}}} || ||'''1999.09.01'''||8대 김대현 교장 취임|| ||'''1999.03.05'''||김병관 이사장 취임|| ||'''1996.09.01'''||7대 정영귀 교장 취임|| ||'''1996.03.01'''||'''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 교명 변경|| ||'''1995.06.12'''||채문식 이사장 취임|| ||'''1994.03.31'''||김용식 이사장 취임|| ||'''1992.09.01'''||6대 김종화 교장 취임|| ||<-2> {{{#ffffff {{{+1 '''1980년대'''}}}}}} || ||'''1984.09.01'''||5대 박종옥 교장 취임|| ||'''1982.11.06'''||김상만 이사장 취임|| ||'''1981.09.01'''||4대 이대선 교장 취임|| ||<-2> {{{#ffffff {{{+1 '''1970년대'''}}}}}} || ||'''1979.12.19'''||3대 이일천 교장 취임|| ||'''1972.01.01'''||고려중학교로 교명 변경|| ||'''1971.12.26'''||이활 이사장 취임|| ||'''1971.12.06'''||학교 법인 고려중앙학원과 학교법인 우석학원 병합|| ||'''1971.04.10'''||신축 교사로 이전|| ||'''1970.02.28'''||여자 21학급 증설인가를 얻어 총 39학급으로 증설|| ||<-2> {{{#ffffff {{{+1 '''1960년대'''}}}}}} || ||'''1968.11.02'''||2대 이희복 교장 취임|| ||'''1968.03.11'''||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산1번지 교사에서 개교|| ||'''1967.12.29'''||초대 이승수 교장 취임|| ||'''1967.12.26'''||학교법인 우석학원 인가, 우석중학교 설립(18학급)[br]초대 김두수 이사장 취임|| == 상징 == === 교표 === ||[[파일: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png]]|| || {{{#ffffff '''교표'''}}} ||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로서 고려대학교 건학 정신인 교육 구국을 상징하는 방패 속에 용기, 결단, 민활, 위엄을 나타내는 우리나라의 상징인 호랑이를 넣어 교표로 하였다.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s-3.1|이 문서]]와 비슷해 보이는 건 기분 탓-- [*출처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홈페이지] === 교훈 === >협조(協調), 창조(創造), 실천(實踐) === 교목 === ||[[파일:attachment/c0026408_4b7e0fe4327b0.jpg]]|| || '''[[은행나무]]''' || === 교화 === ||[[파일:무궁화.jpg]]|| || '''[[무궁화]]''' || === 교가 === || {{{#ffffff {{{+1 '''가사'''}}}}}} || ||'''1절''' 진리의 전당이다 높이 솟았다 태양이 하늘에서 온누리를 비치듯 우리들의 상아탑 불멸의 긍지 보아라 배움의 집 영광 드높다 나간다 우리들은 영원한 젊음 슬기 정성 사랑과 용기로서 겨래와 온 인류의 앞길 밝히는 아아 고대부중 부중 만만세|| ||'''2절''' 자유의 전당이다 깃발 날린다 오대양 푸른바다 끝없이 출렁이듯 우리들의 푸른 얼 넘처나는 이 정열 보아라 불사조의 날개 떨친다 나간다 우리들은 영원한 젊음 슬기 정성 사랑과 용기로서 겨래와 온 인류의 앞길 밝히는 아아 고대부중 부중 만만세|| --2절이 있는지도 모르는 학생이 더 많다 [[카더라]]-- 05년생들이 1학년인 2018년까지는 매주 월요일 본관 운동장에 모여 조회를 하였지만, 교장이 바뀐 후 그 관습이 사라져 교가는 입학식,졸업식 때만 부른다. --2020학년도 졸업식 때는 부르지도 않았다..-- || {{{#ffffff {{{+1 '''악보'''}}}}}} || ||[[파일:20170310134010971_PM0OXGAX.jpg]] [[파일:고대부중교가악보.jpg]]|| [*출처] == 학교 특징 == *상당한 수의 자율 동아리가 있다. 동아리 활동을 하는게 도움이 될 것이다. *1학년 어느시점부터 자유학년제 프로그램을 시작하는데 명작감상, 꼼지락&펀펀한 과학, 나노블럭, 청소년 애니어그램, 글로벌톡톡, 음악 영상 제작 등 여러가지 활동이 있다. * 2014년 입학생까지만 해도 매우 눈에 띄는 --메로나 와사비--연두색 생활복이 교복으로 지정되었으나 그들이 2학년 초중반에 들어설때 쯤 고대부고의 남색 생활복과 비슷한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 심지어 바지도 생겨났다!][* 생활복 상의와 교복 바지를 함께 입을 수 있다.] 고대부고와 고대부중의 생활복구분방식은 들어가는 체크무늬가 다르다는 것이라 [[카더라]]. * 2017년 신입생부터 교복이 바뀌었다. 그리고 후드집업이 추가되었는데 후드집업은 2, 3학년도 입을 수 있다! * 원래 지금의 1학년 건물에 매점이 있었으나, 사라지고 탈의실로 쓴다. 따라 매점은 고대부고의 매점을 쓸 수 있는데, 위치는 학교를 관통하는 큰 길을 중심으로 보았을때 고등학교 반대편에 있다. 본관에서 갈 때는 오른쪽에 시멘트로 만들어진, 좁은 경사길이 있다.[* 고등학교 급식실 출구와 이어진다.] * 성적이 상위 20%만 되면 기본적으로 선생님들이 '''아주''' 예뻐해 준다. 그만큼 학교 시험이 쉬운 편이긴 한데, 학생들도 그에 보답하듯 성적이 정말 낮다.(...) * 학교의 특목고와 자사고 진학률은 성북치고 나쁘지 않은 편. 과고나 영재고는 극히 드문편이다. -그보다는 외고의 진학률이 꽤 높은편이다. 물론 영어시험도 쉬운편이다. 그 예로 2013년 졸업생중 14명이 [[대일외국어고등학교]]로 진학했다. 대부분이 일반고에 진학하나, 특성화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다. 그 이유는 지역특성을 보면 알 수 있다. * 학교 시험이 쉬운만큼 고등학교에 가서 고생하는 학생들이 많다. 인서울이 하고싶다면 적어도 고등학교 1학년 수학은 어느정도 선행을 하고 고등학교 진학을 하도록 하자. * 수행평가는 선생님들이 거저주는 점수다. 넙죽넙죽 받아서 잘 챙기도록 하자. * 신입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착각중에 하나가, '1학년이니까 놀아도 되지' 이다.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성적계획을 잡아놓고 공부를 하자. 과학고등학교와 영재고, 외고는 올 A가 아니면 잘 거들떠도 보지않는다. == 학교 시설 == === 본관 === 2, 3학년 교실과 보건실, 급식실, 상담실, 컴퓨터실, 전산실 등이 위치해 있다. --3층 생활교육부실에 크리스피감자가 있지만 가서 얻어먹는 일이 없도록 하자.-- === 별관 === 1학년 교실과 멀티미디어실, 음악실, 미술실, 기술•가정실 등이 위치해 있다. 멀티미디어실과 음악실은 그정도면 크고 좋은거니 많이 감상해두자. 요즘은 리모델링도 확실하게 되었으니 좋은 시설을 경험할 수 있을것이다 === 도서관 === 1층은 고대부중의 도서관이고 2층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고대부고]]의 도서관, 3, 4층은 고대부고 학습실이다. === 체육관 === 1층은 다용도실, 2층은 체육관으로 사용하고 3층은 관객석이다. 졸업식, 입학식 등의 학교의 큰 행사에 사용된다. 하지만 거의 고대부고가 독점하고, 고대부중은 본관 뒤에 위치한 자그마한 체육관인 '수련관'을 이용한다. --이마저도 2,3학년이 써서 1학년은 거의 운동장에서만 체육수업을 한다는 것은 함정-- === 운동장 === 대운동장은 꽤 크다. 원래는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과 함께 사용했지만 안암 캠퍼스로 이전하며 고대부중•고 만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2, 3학년이 사용하는 소운동장이 본관 앞에 하나 더 있다. --그래도 [[신일고등학교|여기]] 보다는 운동장이 작다.-- == 출신 인물 == *현대카드 겸 현대캐피탈 대표이사 [[정태영(기업인)|정태영]] *가수 [[김세헌]] *핸드볼선수 [[윤경신]] *탤런트 [[엄기준]] *가수 [[신철(가수)|신철]] *배우 [[안소희]] *범죄자 [[강훈]][* 2년동안 전교부회장을 역임했다.] *유튜버 [[아롱다롱TV|아롱이(이유리)]] [* 2023년 중학교 3학년 재학중] == 학교 생활 == === 행사 === 뮤지컬 동아리 '야호'가 1학기 '아띠데이'와 2학기 '뮤지컬의 날'에 공연을 한다. 통상적으로 1학기에는 짧은 에피소드를 여러 개 공연하고 2학기에는 1시간 반 분량의 공연을 한다. 뮤지컬을 직접 연출,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고려한마당 === 학년 말에 고려한마당이라는 축제를 연다. 동아리 학생들이[[https://www.youtube.com/watch?v=EPj6NnrBDyM|(ex.댄동)]]나와서 여러가지 활동을 진행한다. 가끔 일반학생도 나온다. 지난 몇년간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고려한마당으로 대체하였는데 2022년도 다시 오프라인 고려한마당이 개최되었다 (---2022년도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처음이자 마지막 오프라인 고려한마당---)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국민대후문 || [[서울 버스 1116]] || || 고려대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서울 버스 110B]][*청덕초교 방향 한정][* [[서울 버스 110A]]는 길건너 북악중학교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br] [[서울 버스 163]] [br] [[서울 버스 171]] [br] [[서울 버스 1020]][* 청덕초교 방향만 정차한다. 정릉4동 방향은 정릉3동주민센터 정차.] [br] [[서울 버스 1213]] [br] [[서울 버스 7211]] || || 정릉3동주민센터 || [[서울 버스 1114]] || == 여담 == *2023년 기준 [[자유학기제]] 학교이다. *수련회가 잠시 없어졌다. 이유인 즉슨, 가서 정원보다 한명이 늘어와서.(...) *동관 뒤에있는 탁구장, 통일동산, 보건대쪽 컨테이너 뒤, 5층 화장실, 2층 장애인 화장실, 서문 밖으로 나가서 흡연을 하는 친구들이 꽤 많은데, 선생님들이 알고도 봐주는거니 흡연은 삼가도록 하자. *본관 2층은 창문 시야가 콘크리트 시야라 빛이 잘 들지 않는다. --즉 대부분 1,2,3반은 숙면을 취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 성북구의 중학교)] [include(틀: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분류:성북구의 중학교]][[분류:고려중앙학원]][[분류:1968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