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제강점기의 신문)] ---- ||<-2> {{{#fff {{{+1 '''고려시보'''}}}[br]{{{-1 高麗時報}}}}}} || || '''국가''' || [[일본 제국|[[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30]] 일본 제국령 조선]]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 '''창간''' || [[1933년]] [[4월 15일]] || || '''폐간''' || [[1941년]] [[4월 16일]] || || '''복간 및 재폐간''' || [[1945년]] ~ [[1950년]] || || '''설립 및 운영자''' || 공진항, 김학형, 김재은, 고한승, 이선근, 김영의[br]박일봉, 김구[*A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직위)|주석]]을 지낸 [[김구]]와는 동명이인.], 김병하, 마태영, 박재청 ||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 '''종류''' || 지방신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려시보.jpg|width=100%]]}}} || || {{{#fff ''' 《고려시보》의 영인본, 영인초고, 원본, 발췌본[* 사진 출처 - 국립중앙도서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중후반과 [[대한민국]] 초기에 발간한 [[경기도]] [[개성시]]의 [[지방신문]]. 개성의 사회상과 현안을 다루었다. 개성의 지역신문이었으나, 개성 외에 [[황해도]]까지도 보급 대상 지역으로 삼았다. 이름은 개성을 [[수도(도시)|수도]]로 삼았던 국가 [[고려]]에서 따왔다. == 역사 == 1933년 4월 15일에 [[경기도]] [[개성시|개성부]]에서 창간되었다. 창간 당시에는 동인제(同人制)로 운영했다. 동인제는 모든 운영진이 권리와 의무를 동시에 지는 방식을 말하는데, 당시 동인이었던 사람들은 공진항, 김학형, 김재은, 고한승, 이선근, 김영의, 박일봉, 김구[*A], 김병하, 마태영, 박재청 등 10명이었다. 설립 2년 뒤인 1935년 6월에는 [[주식회사]]로 체제를 전환했다. 이 때 [[발기(동음이의어)#s-1.2|발기인]]은 34명이었는데, 개성 출신 [[토호|유지]]들을 비롯하여 [[여운형]] 등 유명인사들도 이름을 올렸다. [[조선총독부]]의 언론통폐합 정책으로 1941년 4월 16일에 강제 폐간당했다. 1945년에 [[8.15 광복|광복]]이 되면서 바로 복간했으나 1950년 [[6.25 전쟁]]이 터지면서 결국 문을 닫고 말았다. == 고려시보 유물 == 《고려시보》는 현재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다. [[6.25 전쟁]] 때 대부분이 불타 사라졌기 때문이다. 다만, 소수는 남아있는데 남게 된 과정도 매우 극적이다. [[6.25 전쟁]]이 끝난 후 [[개성시|개성]] 출신 기업인 김용남이 [[서울특별시|서울]] 근교의 [[인삼]]밭을 지나가던 중에, 우연히 한 인부가 집에서 [[아궁이]] 불을 피우는 것을 보았다. 그런데 그때 불쏘시개로 사용한 종이가 눈에 띄어 자세히 들여다보니 바로 《고려시보》였던 것. 김용남은 이를 보고 귀중한 개성의 자료가 사라지는 것을 매우 안타까워하여 인부에게 큰 돈을 주고 그나마 남아있던 《고려시보》 신문지들을 매입했다고 한다. 김용남은 사들인 신문들을 개성시민회에 기증했고, 이후 개성시민회에서 계속 보관했다. 그러다 2018년 3월에 박광현 개성시민회 및 (주)제일향역 회장과 그의 아들 박수종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교수가 《고려시보》와 관련한 유물 4점을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했다.[[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328000290|#]] 유물은 《고려시보》 원본을 비롯하여 《고려시보》의 주필이었던 박재청이 집필한 문학 작품들을 따로 뽑아내어 펴낸 《고려시보 발췌》 및 《고려시보》 영인본, 《고려시보》 영인 초고 등이다. 참고로 기증자 박광현 - 박수종 부자는 각각 박재청의 아들과 손자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기증받은 자료를 데이터화시켜 [DATE] 현재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를 통해 공개했다. 누구나 [[무료]]로 읽을 수 있다. [[https://www.nl.go.kr/newspaper/|링크]] [[분류:일제강점기의 신문]][[분류:한국의 신문]][[분류:1933년 설립]][[분류:1950년 해체]][[분류:개성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