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궁궐)] [목차] == 개요 == [[고려]] [[왕조]]가 후비, 왕족을 위해 건설한 궁(宮)과 원(院)을 모아둔 문서. == 설명 == 고려는 [[궁궐]]의 순위를 전(殿) >= 궁(宮) > 원(院) > 택(宅)으로 두었다. 궁(宮)은 가장 높은 권위를 가진 건축으로 고위왕족만 자신의 관저에 궁호를 붙일 수 있었다.[* 이렇다보니 [[이자겸]]은 권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관저를 의친궁(懿親宮)으로 지은 적이 있다. [[인종(고려)|인종]]의 [[외할아버지]]이긴 해도 원래 법도상 궁호는 가질 수 없었다.] 고려의 태후들은 궁보다 높은 전(殿)을 관저로 삼았다. 원(院)은 고려 초기, 후기에 쓰였고 중기엔 쓰이지 않았다. 원은 궁전보단 낮되 택보단 높은 대우를 받았고, 고려 초기엔 여러 호족들의 거점지로 사용되었다. 고려 후기엔 원 간섭기에 들어서 [[왕비]]의 관저로 사용되기도 했다. 전, 궁, 원 산하에는 부(府)를 설치해 산하기관을 구성할 수 있었다[* 부가 설치된 원을 부원이라고 부른다. 고려의 태자는 [[수춘궁]]을 관저로 받고 태자부(太子府)라 불리는 기관을 가질 수 있었다.]. 택(宅)은 관저 중 가장 낮은 건축기관으로, 양인의 처나 왕의 서녀들이 받는 호칭이었다. == 궁원 목록 == === 원 === 고려의 태조는 호족을 모아 건국했기에 이들을 우대해줘야했다. 여기서 나온 것이 지역명을 딴 원 건설이다. 예를 들어 황주 황보씨 호족은 황주원을 받아 고려의 중심지인 개경에서 입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고려 초기 원 건설은 호족들과 긴밀히 연결 돼 있는 셈이다. * '''황주원(黃州院) → [[명복궁]](明福宮)''' 대표적인 궁원으로 [[고구려]]계 황주 호족인 황주 황보씨가 주인이었다. 황주는 현 황해도 황주이다. 황보씨는 많은 왕후를 배출하여 명실상부한 대호족의 지위를 가졌다. ||||||||||<#FEDC89> '''{{{#670000 역대 황주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670000 시호}}}''' ||<#FEDC89> '''{{{#670000 배우자}}}'''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초대}}}''' ||<#ffffff>'''[[신정왕태후|명복궁대부인]]'''{{{-2 (본궁)}}}[br]'''소황주원부인'''{{{-2 (별궁)}}} ||<#ffffff>태조 신성대왕 ||<#ffffff>? ~ 976.06[br]? ~ ? ||<#ffffff>976년 [[명복궁]]으로 승격 || * 동양원(東陽院) 고구려계 평주 호족인 평산 유씨가 주인이었다. 평주는 현 황해도 평산이다. 명장 [[유금필]]의 딸 관저였다.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평주의 별칭은 동양 및 연덕이라고 하는데, 훗날 [[연덕궁]]으로 발전한 것인지는 불명. ||||||||||<#FEDC89> '''{{{#670000 역대 동양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유O''' ||<#ffffff>'''동양원부인'''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2대}}}''' ||<#ffffff>'''왕원''' ||<#ffffff>'''[[효은태자]]''' ||<#ffffff>? ~ ? ||<#ffffff> || * '''대량원(大良院)''' [[신라]]계 합주 호족이 주인이었다. 합주, 대량은 지금의 경남 합천군이다. [[현종(고려)|현종]]이 한때 대량원의 주인이었다. ||||||||||<#FEDC89> '''{{{#670000 역대 대량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김O''' ||<#ffffff>'''[[신성왕태후|대량원부인]]'''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2대}}}''' ||<#ffffff>'''이O''' ||<#ffffff>'''후대량원부인'''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3대}}}''' ||<#ffffff>'''[[현종(고려)|왕순]]''' ||<#ffffff>'''대량원군''' ||<#ffffff>? ~ 1009.02.03 ||<#ffffff> || * 광주원(廣州院) ||||||||||<#FEDC89> '''{{{#670000 역대 광주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함O'''[br]'''함O'''{{{-2 (별궁)}}} ||<#ffffff>'''광주원부인'''[br]'''소광주원부인'''{{{-2 (별궁)}}}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2대}}}''' ||<#ffffff>'''함O''' ||<#ffffff>'''후광주원부인'''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3대}}}''' ||<#ffffff>'''왕O''' ||<#ffffff>'''[[광주원군]]''' ||<#ffffff>? ~ ? ||<#ffffff> || * 서원(西院) 고구려계 동주 호족이 주인이었다. 동주는 지금의 황해도 서흥군이다. ||||||||||<#FEDC89> '''{{{#670000 역대 서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김O'''{{{-2 (본궁)}}}[br]'''김O'''{{{-2 (별궁)}}}[br]'''박O'''{{{-2 (전각)}}} ||<#ffffff>'''대서원부인'''{{{-2 (본궁)}}}[br]'''소서원부인'''{{{-2 (별궁)}}}[br]'''서전원부인'''{{{-2 (전각)}}} ||<#ffffff>? ~ ? ||<#ffffff> || * 동산원(東山院) * 흥복원(興福院) * 명주원(溟州院) ||||||||||<#FEDC89> '''{{{#670000 역대 명주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김O'''{{{-2 (본궁)}}}[br]'''김O'''{{{-2 (별궁)}}} ||<#ffffff>'''대명주원부인'''{{{-2 (본궁)}}}[br]'''정목부인'''{{{-2 (별궁)}}} ||<#ffffff>? ~ ? ||<#ffffff> || * 천안부원(天安府院) ||||||||||<#FEDC89> '''{{{#670000 역대 천안부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유O''' ||<#ffffff>'''천안부원부인'''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2대}}}''' ||<#ffffff>'''왕O''' ||<#ffffff>'''효성태자''' ||<#ffffff>? ~ ? ||<#ffffff> || * 몽량원(夢良院) 고구려계 평주 호족인 평산 박씨가 주인이었다. * 월경원(月鏡院) 고구려계 평주 호족인 평산 박씨가 주인이었다. * 의성부원(義城府院) ||||||||||<#FEDC89> '''{{{#670000 역대 의성부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홍O''' ||<#ffffff>'''의성부원부인''' ||<#ffffff>? ~ ? ||<#ffffff> || ||<#FEDC89> '''{{{#670000 2대}}}''' ||<#ffffff>'''왕O''' ||<#ffffff>'''의성부원대군''' ||<#ffffff>? ~ ? ||<#ffffff> || * 해량원(海良院) * 신주원(信州院) * 월화원(月華院) * 홍덕원(弘德院) * 청주원(淸州院) ||||||||||<#FEDC89> '''{{{#670000 역대 청주원 주인}}}''' || ||<#FEDC89>'''{{{#670000 대수}}}''' ||<:><#FEDC89>
'''{{{#670000 이름}}}''' ||<#FEDC89> '''{{{#670000 봉호}}}''' ||<#FEDC89> '''{{{#670000 봉위기간}}}''' ||<#FEDC89> '''{{{#670000 비고}}}''' || ||<#FEDC89> '''{{{#670000 1대}}}''' ||<#ffffff>'''김O'''[br]'''김O'''{{{-2 (남궁)}}} ||<#ffffff>'''청주원부인'''[br]'''청주남원부인'''{{{-2 (남궁)}}} ||<#ffffff>? ~ ? ||<#ffffff> || * 경흥원(景興院) * '''연경원(延慶院)''' 대표적인 궁원으로 안산 김씨 호족인 [[원성태후]]의 관저였다. 안산은 지금의 경기도 안산시다. 원성태후가 [[덕종(고려)|덕종]], [[정종(고려 10대)|정종]]을 낳으며 [[연경궁]]으로 지위가 상승했다. * 복창원(福昌院) * 경창원(敬昌院) - 금석문 기록. 고려사 식화지에서는 경창원(景昌院)으로 나온다. * 정녕원(靖寧院) * 명순원(明順院) * 숙창원(淑昌院) * 순화원(順和院) === 궁 === 궁부인宮夫人 * 명복궁대부인明福宮大夫人 : 태조 제4비 [[신정왕태후]] 황보씨神靜王太后 皇甫氏 *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혼인 전)->[[낙랑공주]]樂浪公主(혼인 후) *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 林氏 : 혜종과 [[의화왕후]] 임씨義和王后 林氏의 딸이자 광종의 제2비 *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 광종과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의 딸 * [[대명궁부인]] 류씨大明宮夫人 柳氏 : 원장태자元莊太子[* 태조와 제6비 [[정덕왕후]] 류씨貞德王后 柳氏의 아들]와 흥방궁주興芳宮主[* 태조와 제3비 [[신명순성왕태후]] 유씨의 딸]의 딸로 경종 제5비 * [[연창궁부인]] 최씨延昌宮夫人 崔氏 : 성종 제3비, 이후 낙랑군대부인이 됨 궁대군宮大君 궁왕자宮王子 * 연덕궁왕자延德宮王子 : [[고려 숙종]] 5남 [[대원공]] 궁주宮主(고려) - 원칙적으로 앞뒤 글자를 바꿔써도 동일한 인물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 연흥궁주延興宮主 * 성종 제2비 [[문화왕후]] 김씨文和王后 金氏, 현덕궁玄德宮으로 옮김 * 정종 제1비 용신왕후 한씨容信王后 韓氏 * 정종 제4비 용절덕비 김씨容節德妃 金氏 * 현덕궁주玄德宮主 * 연흥궁延興宮에서 옮김, 성종 제2비 [[문화왕후]] 김씨文和王后 金氏 * 현종 제1비 [[원정왕후]] 김씨元貞王后 金氏 * 창성궁昌盛宮에서 옮김, 정종 제2비 용의왕후 한씨容懿王后 韓氏 * 이후 왕의 별궁이 되었다. * 대명궁주大明宮主 * 별칭 항춘전왕비恒春殿王妃, 현종 제2비 [[원화왕후]] 최씨元和王后 崔氏 * 연경원주延慶院主->[[연경궁]]주延慶宮主 * 현종 제3비 [[원성태후]] 김씨元成太后 金氏, 장경궁長慶宮으로 옮김 * 별칭 연경궁장공주延慶宮長公主, 덕종의 누나(1034년 책봉) * 이후 왕의 별궁이 되었다. * 안복궁주安福宮主->[[연덕궁]]주延德宮主->흥덕궁주興德宮主 * 현종 제4비 [[원혜태후]] 김씨元惠太后 金氏 * 문종 제2비 [[인예태후]] 이씨仁睿太后 李氏 * 숙종 제1비 [[명의태후]] 류씨明懿太后 柳氏 * 예종 제2비 [[문경태후]] 이씨文敬太后 李氏 * 인종 제1비 [[연덕궁주]] 이씨延德宮主 李氏, 이자겸의 난으로 폐위 * 인종 제3비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 * 의종의 제1비 [[장경왕후(고려)|장경왕후]] 김씨莊敬王后 金氏 * 신종과 [[선정태후]] 김씨宣靖太后 金氏의 장녀 효회공주孝懷公主 * 신종의 왕비 선정태후 * 희종 대에는 [[최충헌]]이 흥덕궁을 소유했다. * 강종 제2비 [[원덕태후]] 류씨元德王后 柳氏 * 흥성궁주興盛宮主 * 현종 제6비 원목왕후 서씨元穆王后 徐氏 * 헌종에 따르면 선종이 국원공인 시절 잠저였다고 한다. 계림공의 잠저 명복궁에 기거하던 [[명의태후]]가 명복궁주로 불린 것을 생각하면, 국원공비로 불린 정신현비가 흥성궁주였을 가능성이 있다. 정신현비는 원목왕후의 외조카손녀이기도 하다. * 창성궁주昌盛宮主 * 정종 제2비 용의왕후 한씨容懿王后 韓氏, 현덕궁玄德宮으로 옮김 * 정종 제3비 용목왕후 이씨容穆王后 李氏 * 연창궁주延昌宮主 * 정종 제5비 연창궁주 노씨延昌宮主 盧氏 * 수령궁주壽寧宮主->대령궁주大寧宮主 * 문종 제3비 인경현비 이씨仁敬賢妃 李氏 * 숙종과 명의태후의 장녀 * 강종과 제1비 사평왕후 이씨思平王后 李氏의 딸 * [[수창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할 때가 더 많은데, 이 명칭으로 쓰일 경우 국왕의 별궁이다. * 숭경궁주崇慶宮主/승경궁주承慶宮主->보령궁주保寧宮主 * 문종 제4비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 李氏, 숭경궁주崇慶宮主로도 기록됨 * 문종과 인예태후의 차녀 * 인종과 공예태후의 장녀 * 숭화궁주崇化宮主 * 문종 제5비 인목덕비 김씨仁穆德妃 金氏 * 적경궁주積慶宮主 * 현종과 원정왕후의 장녀 * 현종과 원화왕후의 장녀 * 문종과 인예태후의 장녀 * 예종 제3비 문정왕후 왕씨文貞王后 王氏 * 장녕궁주長寧宮主 * 정간왕 제1비 장녕궁주 이씨長寧宮主 李氏, 거신의 난으로 폐출 * 연복궁주延福宮主 * 순종 제2비 [[선희왕후]] 김씨宣禧王后 金氏 * 장경궁주長慶宮主->숭덕궁주崇德宮主/[[승덕공주]]承德公主 * 경종 제3비 [[헌애왕후]] 황보씨獻哀王后 皇甫氏 * 연경궁延慶宮에서 옮김, 현종 제3비 [[원성태후]] 김씨元成太后 金氏 * 순종 제3비 장경궁주 이씨長慶宮主 李氏, 노비와의 간통혐의로 폐출 * 문종과 인예태후의 차녀 보령궁주保寧宮主, 보령궁주-흥수궁주-[[승덕공주]]는 순서대로 시어머니-며느리 사이다. * 숙종과 명의태후의 차녀, 열전에서는 흥수궁주興壽宮主로 기록되어 있는데, 조카이자 며느리인 [[승덕공주]]에게 숭덕궁을 물려주면서 옮긴 것으로 보인다. * 예종과 문경태후의 장녀 * 연화궁주延和宮主 * 선종 제1비 [[사숙태후]] 이씨思肅太后 李氏 * 경흥원주景興院主->원희궁비元禧宮妃->원신궁주元信宮主 * 현종 제8비 원순숙비 김씨元順淑妃 金氏 * 선종 제3비 [[원신궁주]] 이씨元信宮主 李氏 * 명복궁주明福宮主 * 계림공 시절 숙종의 거처였다. * 숙종 제1비 [[명의태후]] 류씨明懿太后 柳氏, 연덕궁延德宮으로 옮김 * 이후 왕의 별궁이 되었다. * 연평궁주延平宮主->안수궁주安壽宮主 * 안수궁 자체는 연평궁에서 개칭된 것인데 정작 사서에서 연평궁주인 인물은 나오지 않는다. 같이 개칭된 수녕궁과 장경궁이 본래 현종의 왕후와 순종 왕후를 위한 궁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평궁 역시 현종~순종 시기 왕후가 기거하던 궁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 숙종과 명의태후의 3녀 * 복녕궁주福寧宮主 * 숙종과 명의태후의 4녀 * 공양왕의 어머니 [[국대비 왕씨]] * 장신궁주長信宮主 * 예종 제4비 숙비 최씨淑妃 崔氏 * 연수궁주延壽宮主 * 인종 제4비 선평왕후 김씨宣平王后 金氏 * 덕녕궁주德寧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차녀 * 창락궁주昌樂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3녀 * 명종이 폐위된 후 유폐된 곳이다. 창락궁주는 1216년 사망하니 명종이 폐위된 1197년에는 이미 거처를 옮긴 상태(아마도 시가인 숭덕궁)였던 듯하다. * 영화궁주永和宮主 * 인종과 공예태후의 4녀 * 경덕궁주敬德宮主 * 의종과 [[장경왕후]]의 장녀 * 안정궁주安貞宮主 * 의종과 장경왕후의 차녀 * [[화순궁주]]和順宮主->순화원비順和院妃 * 의종과 장경왕후의 3녀, 순화궁주順和宮主로도 기록됨 * [[수춘궁]]주壽春宮主 * 대령후의 딸 * 본래 수춘궁은 고려의 동궁이지만 이 시기에는 여정궁으로 개명된 상태였으므로, 이름만 같은 다른 시설이거나 여정궁의 일부를 분할해 만든 별궁으로 생각된다. * 연희궁주延禧宮主 * 명종과 [[광정태후]] 김씨光靖太后 金氏의 장녀 * 수안궁주壽安宮主 * 명종과 광정태후의 차녀 * 경녕궁주敬寧宮主->정화원주貞和院主->정화궁주貞和宮主 * 신종과 선정태후의 차녀 * 충렬왕 제2비 [[정화궁주]] 왕씨貞和宮主 王氏 * 함평궁주咸平宮主 * 희종의 아내 [[성평왕후]] 임씨成平王后 任氏 * 승복궁주承福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장녀이자 고종의 왕비 [[안혜태후]] 류씨安惠太后 柳氏 * 덕창궁주德昌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3녀 * 가순궁주嘉順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4녀 * 정희궁주貞禧宮主 * 희종과 성평왕후의 5녀 * 수흥궁주壽興宮主 * 고종과 안혜태후의 딸 * 경창궁주慶昌宮主 * 원종 제2비 경창궁주 류씨慶昌宮主 柳氏, 충렬왕 대 무고로 폐위 * 경안궁주慶安宮主 * 원종과 경창궁주의 장녀 * 함녕궁주咸寧宮主 * 원종과 경창궁주의 차녀 * 숙녕궁주肅寧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順妃盧氏의 장녀 * 정신궁주貞信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차녀 * 경화궁주敬和宮主 *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3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궁호, version=75, paragraph=2)] [[분류:고려의 궁전]][[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북한의 없어진 건축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