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부천시의 도로]] [include(틀:부천시의 로)] [목차] == 개요 ==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에 위치한 [[도로]]. == 상세 == [[도로명주소]] 시행 이전에는 전 구간이 '''고리울2길'''이었으며, 도로명주소 시행 첫 고시 때는 '''수주로'''로 정해졌으나 2차 개정 때 지금의 고리울로로 개칭. 졸지에 수주로○번길은 고리울로○번길로 죄다 바뀌었으며, 그 덕에 2차 개정 때 수주로라는 도로명을 부여받은 도로(구 청룡3로)가 있음에도 수주로○번길이라는 이름을 가진 길은 전무하다.[* '수주로'는 고시 이전에는 지금의 [[역곡로]]에 쓰던 도로명이었다. 2차 개정 후에는 도로명주소 시행 이전 '청룡3로'였던 도로에 '수주로'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 개정 이후 '''로'''가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길마냥 '''1차로 도로'''인 것이 특징. 게다가 대부분의 구간은 일방통행이다. 현 수주로와의 교차로에서 종점까지는 1차로이긴 하지만 일방통행은 아니었는데, 2017년쯤부터 고리울초등학교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오전 8시에서 9시까지 시간제 일방통행 운영 중이다. 똑같이 역곡로가 기점인 인근의 고리울4길과 선사길은 2차선 도로임에도 불구하고 개정 때 각각 역곡로504번길과 역곡로472번길이 되었는데, 아마 이 둘 중 하나라도 로가 되었으면 인근의 길들이 애매해져서 로로 격상시키지 않은 듯. 일방통행 도로라서 [[고리울초등학교]]에서 [[역곡로]]로 나오는 것은 가능해도 반대로는 불가능하다. 게다가 역곡로로 나가려면 북쪽([[김포공항]] 방향)으로만 가능하지 남쪽([[역곡역]] 방면)으로 가려면 고리울사거리에서 유턴하는 수밖에 없다. == 대중교통 == 대중교통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 여담 == 고리울로의 도로명 부여 사유는 '고강동의 옛 이름인 고리울에서 유래'. 허나 개정 이전 고리울로의 도로명이 '고리울2길'이었다는 점과 종점에 고리울초등학교가 있다는 점에서 처음부터 수주로라는 도로명을 부여하지 않고 고리울로로 부여했어도 좋았을 텐데, 왜 당초에는 수주로로 부여했는지는 알 수 없다. 아마 역곡로가 시점인 도로인데 역곡로의 옛 이름이 수주로였기 때문에 옛 수주로와의 연관성을 살리고자 했던 듯하다. 하지만 2차 변경 이후인 지금의 수주로에는 수주 [[변영로]]의 묘와 송시비가 있기 때문에, 수주로라는 도로명을 붙이기에는 현재의 고리울로보다 지금의 수주로가 훨씬 더 적절하다.[* [[부천시/역사]] 문서에 나와 있듯이, 수주는 부천의 옛 이름이다. 변영로는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원적지의 옛 이름인 수주를 호로 사용하였다.] 반면 고리울로는 수주로라는 이름이 적절하기는커녕 로로 격상될 이유가 없다시피했음에도 도로와 지역 특성상의 이유로 로가 되었다.[* 역곡로가 기점인데도 역곡로에서 진입이 불가능한 일방통행 도로이기 때문에 역곡로의 길로 하기에는 어려웠을 수 있다. 또 고리울로는 고강본동 시가지를 거의 정확히 절반으로 나누는 도로이기도 하다. 게다가 '고강'이라는 지명이 [[일제 강점기]] 때 지어진 이름인 만큼 지역 주민들의 반감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