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후생노동대신)] [include(틀:노다 내각의 국무대신)] ||<-5><:>[[중의원|[[파일:shuugiin_logo.png|width=100px]]]] {{{#000000 '''[[일본|{{{#000000 일본}}}]] [[중의원|{{{#000000 중의원}}}]] ([[도쿄도 제6구|{{{#000000 도쿄 6구}}}]])'''}}}|| ||<:>'''제42대'''[br][[이시이 코키]]||<:>→||<:>'''제42[* [[이시이 코키 살인 사건|이시이 고키 의원의 사망]]으로 열린 보궐선거에서 당선.]~43대[br]고미야마 요코'''||<:>→||<:>'''제44대'''[br][[오치 다카오]] || ||<:>'''제44대'''[br][[오치 다카오]] ||<:>→||<:>'''제45대[br]고미야마 요코'''||<:>→||<:> '''제46~47대'''[br][[오치 다카오]] || ||<-2>
'''{{{#ffffff 일본국 제14대 후생노동대신 [br] {{{+1 고미야마 요코}}}}}}[* 원래 성은 가토(加藤)였다.][br]{{{#ffffff 小宮山洋子| Komiyama Yoko}}}'''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미야마 요코.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48년]] [[9월 17일]] ([age(1948-09-17)]세) || ||[[도쿄도]] || || '''{{{#ffffff 학력}}}''' ||[[세이조대학]] 문예학부 {{{-2 (국문학 / 학사)}}} || || '''{{{#ffffff 가족}}}''' ||아버지 가토 이치로[* 1922~2008. 법학자, 변호사. [[도쿄대학]] 총장, 학교법인 세이조학원 이사장 등 역임.][br]외할아버지 아오키 가즈오[* 1889~1982. 초대 대동아대신, 대장대신, 전 [[귀족원(일본)|귀족원]] 의원.] || || '''{{{#ffffff 의원 선수}}}''' ||'''4''' (중)[br]'''1''' (참) || || '''{{{#ffffff 의원 대수}}}''' ||42,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3]],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4]],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45]] (중) [br] 18 (참) || || '''{{{#ffffff 지역구}}}''' ||[[도쿄도 제6구|도쿄 6구]] || || '''{{{#ffffff 약력}}}''' ||[[일본방송협회|NHK]] [[아나운서]][br]NHK [[해설위원]][br][[참의원(일본)|참의원]] 의원 {{{-2 (비례대표)}}}[br]참의원 환경위원장[br][[중의원]] 의원 {{{-2 ([[도쿄도 제6구]])}}}[br]중의원 청소년특별위원장[br][[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재무위원장[br]후생노동 부대신[br]후생노동대신[br]내각부 특명담당대신 (저출산 대책 담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 == 생애 == [[1948년]] [[도쿄도]]에서 도쿄대학 총장 및 세이조 학원[*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세이조대학]]을 운영하는 학교법인이다.] 이사장을 역임한 가토 이치로(加藤一郎)의 딸로 태어났다. 이후 1972년 [[세이조대학]] 문예학부 국문과를 졸업한 뒤, [[일본방송협회|NHK]]에 아나운서로 입사했다. NHK 아나운서로 여러 뉴스 프로그램, 시사 프로그램 등을 진행했다. 1990년부터는 NHK [[해설위원]]으로 근무했다. NHK에서 언론인으로 근무하다 1998년에 NHK를 퇴사, 같은 해 열린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비례대표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당선 후 초선임에도 참의원 환경위원장을 맡았다. 2003년 참의원 의원 임기 중 사퇴 후, [[이시이 코키]] 의원이 살인 사건으로 사망하면서 열린 [[도쿄도 제6구]] [[중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그 뒤 같은 해에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도쿄도 제6구에서 다시 당선되면서 1년 만에 재선 중의원 의원이 되었다. 이후 민주당 그림자 내각에서 법무대신에 내정되었다.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지역구에서 자민당 [[오치 다카오]]에게 패배해, 석패율 구제로 당선되었다. 이후 중의원 청소년특별위원장, 민주당 도쿄도 총지부연합회 부회장 등을 맡았다. 2007년 도쿄도지사 선거에 후보군으로 거론되기도 했으나 불출마했다.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지역구에서 자민당 [[오치 다카오]]를 꺾고 당선되었다. 당선 후 민주당 재무위원장을 맡았으며, [[간 나오토]] 내각에서 후생노동 부대신을 역임했다. 이후 [[노다 요시히코]] 내각에서 후생노동대신을 역임했다. 고미야마는 내각 입각으로, 최초의 여성 후생노동대신, 민주당 정권 최초의 여성 중의원 의원 출신 국무대신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이후에는 내각부 특명담당대신(저출산 대책 담당)을 겸직했다.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지역구에서 자민당 [[오치 다카오]]에게 다시 패배했으며, 석패율 구제도 못 받고 낙선했다. 그 뒤 2013년, 자신의 웹사이트에 정계 은퇴를 표명했다. 이후 거주지를 지역구인 [[도쿄도]] [[세타가야구]]에서 [[나가노현]] [[카루이자와역|카루이자와]][* 일본에서 휴양지로 유명한 곳이며, 부유층들의 별장지로도 유명한 곳이다.]로 옮겼다. [각주] [[분류:일본의 전직 아나운서]][[분류:일본의 여성 정치인]][[분류:노다 내각 국무대신]][[분류:일본 후생노동대신]][[분류:일본 내각부 특명담당대신]][[분류:제18대 일본 참의원 의원]][[분류:제42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3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4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4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아나운서 출신 정치인]][[분류:1948년 출생]][[분류:도쿄도 출신 인물]][[분류:세이조대학 출신]][[분류:2013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