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북제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F0D1 0%, #AAF0D1 20%, #AAF0D1 80%, #AAF0D1)" '''{{{#black 북제 추존 존령}}}[br]{{{#black {{{+1 太慰府君 | 태위부군}}}}}}'''}}} || || '''[[시호|{{{#black 시호}}}]]''' ||<(> 태위무정부군(太慰武貞府君) || || '''[[성씨|{{{#black 성}}}]]''' ||<(> 고(高) || || '''[[휘|{{{#black 휘}}}]]''' ||<(> 밀(謐) || || '''[[자(이름)|{{{#black 자}}}]]''' ||<(> 안평(安平) || || '''{{{#black 부친}}}''' ||<(> [[고호(북위)|고호]](高湖) || || '''{{{#black 정실}}}''' ||<(> 진류군군(陳留郡君) 숙손씨(叔孫氏) || || '''{{{#black 생몰}}}''' ||<(> 428년 ~ 472년 9월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이름)|자]]는 안평(安平)이었으며, 기주 [[보하이 만|발해수현]](渤海蓚縣)[* 現 [[하북]](河北) 경현(景縣).] 사람이자 [[북위]]의 [[관료]]로 [[북제]]의 초대 [[황제]]인 [[고양(북제)|문선제]](文宣帝) 고양의 증조부였다. == 생애 == 진주자사(秦州刺史) [[고호]]의 3남으로 문무(文武)에 소질이 있었으나 '''법을 어겨''' 북변 6진 중의 하나인 회삭진(懷朔鎭)으로 이주했고, 증손대(代)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태안(太安)[* 북위 제5대 고종 [[문성제]]의 연호.] 연간 공신 고호의 아들로써 황궁에 들어가 전적(典籍)을 관리하다가 제5대 고종 문성제에게 발탁되어 비서랑(祕書郎)이 되었고, 일부 전적의 손상으로 문성제에게 청하여 새 전적을 받아 그 전적을 필사하여 소장했다. 제6대 현조 [[헌문제]] 시기 헌문제를 가르치는 스승이 되었고, 난태어사(蘭臺御史)에 임명되었다. 후에 고밀은 서적을 무단 수정 및 월권 행위의 죄목으로 탄핵되었으나 두려워하지 않았고 칭송을 받았다. 이후 472년 9월에 사망했다. 북위 제14대 [[효무제(북위)|효무제]] 시기 [[사절]], [[시중]], [[도독]]청서제제연오주제군사(都督青徐齊濟兗五州諸軍事), [[태위]]공, 청주자사(青州刺史)에 추증되었고, [[시호]]를 '''무정공'''(武貞公)이라 했다. 후에 [[북제]]가 건국되자 황조태위무정공(祖太慰武貞公)으로 [[추존]]되어 [[태조]](太祖)로써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 == 가족 == * 부친: [[고호]] * 아내: 숙손씨(叔孫氏)[* 숙손숭(叔孫崇)의 딸로 시호는 진류군군(陳留郡君)이다.] * 장남: [[고수생]] - 문목제(文穆帝)로 추존. * 차남: 고번(高翻) == 참고 항목 == * [[https://zh.wikipedia.org/wiki/%E9%AB%98%E8%AC%90|高謐]] == 둘러보기 == [include(틀:역대 북제 왕작)] [[분류:남북조시대/인물]][[분류:428년 출생]][[분류:47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