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메가PSAT 강사)] ||<:><-2>
'''{{{#white '''{{{+1 고병빈}}}'''[br] [[사이타마(원펀맨)#s-7.2|{{{#ffffff '''진심'''}}}]] {{{#ffffff 언어논리}}} }}}'''|| ||<:><-2>[[파일:sotddooggung123.png|width=50%]] || ||<:> {{{#white '''출생''' }}}||<(> 1991년 ??월 ??일[br]경상남도 마산시 || ||<:> {{{#white '''학력''' }}}||<(> 마산중학교 졸업[br][[마산중앙고등학교]] 졸업[br][[파일:chunganglogo2017.png|width=25]]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졸업(행정학 학사) || ||<:> {{{#white '''병역''' }}}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width=20]] [[대한민국 공군|공군]] 복무([[병장]] 만기 전역)[br]{{{-2 병 798기/ [[제16전투비행단]] 군사경찰대대 }}}[* 방어소대 [[과학화 경계시스템|상황감시병]]을 맡았다.] || ||<:> {{{#white '''경력''' }}}||<(> 메가PSAT 언어논리 외주 출제 경력 || ||<:> {{{#white '''소속''' }}} ||<(> [[메가PSAT|[[파일:메가psat.jpg|width=20%&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메가PSAT]] [[공직적격성평가]] 언어논리강사이다. 2021년부터 PSAT 강의를 시작했다. == 생애 == 3남매의 장남으로 경남 마산 출신이라고 한다. 마산중학교, 마산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5급공채 일반행정직 수험생활을 시작해 2013년, 2016년, 2017년 5급공채 제1차시험(PSAT) 합격 경험이 있다고 한다. 중간에 메가피셋 전국모의고사 언어논리도 출제하였다. 2019년 3월에 공군으로 입대를 하였다. 이후 동년 5월에 공군 [[제16전투비행단]]에서 복무하여 2021년 1월에 [[군복무]]를 마쳤다. == 강사 생활 == === 메가PSAT 강의 === 2021년부터 [[사이타마(원펀맨)#s-7.2|진심 시리즈]]로 강의를 시작했으며, 5급 종합반에서 강의를 맡기 시작했으며[* 아무래도 지금까지 행보로 보아 강사가 많아지는 언어논리, 상황판단은 신규 강사가 종합반을 맡는 모양이다] 7급 강의는 2022년 대비 강의부터 진행할 예정이다. 따로 5급 단과강의에는 공지가 올라오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학원에서는 종합반 강의를 업로드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2022년 대비 기초입문강의인 진심 STARTER강의도 단과 실강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종합반 강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기본강의인 진심 BASIC 강의도 7월에 업로드되고 있다.] == 강의 및 컨텐츠의 특징 == === 강의 및 컨텐츠 === 발성이 큰 편이다. 특히 지문을 읽어야 하는 언어논리 수업에서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같은 학원 [[이수민(강사)|동료 강사]]와 같이 독해 중심의 밸런스를 갖춘 타입이다. 문제풀이에 대한 방법론, 선지구성원리, 기초논리학도 공부를 해야하나 실질적인 독해력 자체가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의미가 없다고 보는 주의이다. 특히 독해 파트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문의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단순히 정답과 오답의 근거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거나 선지 구성 원리를 학습하는 데 같이 공부하는 것을 넘어서 그것에만 치중하는 것은 하지말아야 한다고 한다. 이는 [[한승아]] 강사와 반대되는 입장이다. 오히려 본인은 지문의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는 논증에서도 필요하다고 한다. 한편 논리 파트 문제와 관련해서는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논리학적 지식을 익히고, 기출로 연습하라는 주의이며 [[신성우(강사)|신성우]]와 다르게 기호화 연습도 해야한다고 한다.[* 공식자료집에서 '기호논리학을 알아야만 풀 수 있는 문제는 출제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그 기호논리학의 범위를 말하지 않았는데, 대학교의 기호논리학 과목 자체를 이야기하는지 기초적인 기호화도 포함하는지 이야기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 PSAT시장에서 널리 쓰이지만 전자의 경우 양화사, 존재사 등의 전문적인 기호화도 쓰이기 때문이다. PSAT시장에서는 [[김우진(강사)|김우진]] 강사만 이렇게 즐겨쓰고 [[이해황]]의 논리퀴즈 매뉴얼도 수위를 아슬아슬하게 갈 뿐 타 강사들은 그 정도까지 많이 쓰지 않는다. 언어논리 출제, 검토위원 경험이 있는 신성우 강사는 PSAT시장에서 많이 쓰는 기호화도 잘 쓰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것 같지만 출제된 기출문제들을 보면 후자보다는 전자의 입장이 출제처의 입장인듯 하다. 또한 출제처의 입장에서는 교양 논리학 수준이라고 했는데 대학교에서는 그러한 과목이 학교마다 명칭이 다르겠지만 대체로 일반논리학의 수준이라고 보면 될 듯하고 실제로 그러한 수업들이 PSAT시장에서 쓰는 기호화가 많다. 대체로 그런 기호화들은 의식적으로 기호화하지 않으려고 해도 자연스럽게 문장을 읽고도 의미가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고병빈 강사의 기호화 자체도 흔히 많이 쓰는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는다] 진심 언어논리 STARTER 강의는 2015-2020 민경채 기출을 년도별로 진도를 나가면서 기본 독해법을 가르친 뒤 논리학을 가르치는 식으로 나갔다고 한다. 진심 언어논리 BASIC 강의부터는 종합반 강의 특성상 메가PSAT에서 발간하는 교재로 수업한다. 현재 강의는 주 1회씩 강의가 업로드되고 있다. 별도로 연도별로 기출문제를 분석하는 강의도 촬영해서 업로드했다. 각 년도별로 따로 구매할 수 있다.[* [[PSAT최강팀]]의 핵심강의 커리큘럼과 달리 하나하나 파해하는 강의로서 [[신헌(강사)|신헌]], [[하주응]] 등도 이런 강의를 하고 있으나 연도별로 따로 구매할 수 있는건 현재 이 강의가 유일하다.] 이외에 매주 월, 목마다 독해력 향상 도구를 업로드하며 꽤나 해설이 자세해서 보기 좋다. 본인은 총 100개를 올릴 예정이라고 한다. == 여담 == * [[분류:인터넷 강사/메가스터디]][[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