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791_1.jpg]] || 한글판 명칭 ||||||||'''고블린의 운영 실력'''|| || 일어판 명칭 ||||||||'''ゴブリンのやりくり上手(じょうず)'''|| || 영어판 명칭 ||||||||'''Good Goblin Housekeeping'''|| |||||||||| 일반 함정 ||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고블린의 운영 실력"의 매수 + 1장을 덱에서 드로우하고, 패에서 카드를 1장 선택하여 덱의 맨 아래로 되돌린다.|| 묘지에 존재하는 고블린의 운영실력의 카드 장수에 따라 드로우하는 카드의 숫자가 달라진다. 묘지에 1장도 없으면 1장 드로우, 1장 있으면 2장 드로우, 2장 있으면 3장 드로우. [[자이언트 바이러스]]처럼 패에 여러장 잡히면 오히려 제대로 쓸 수 없고 덱에서 서치하는 게 쉬운 카드를 되돌리는데 쓸 수 있다. 그외에도 패에 잡히면 인상이 일그러지는 [[메탈 붉은 눈의 흑룡]]이나 [[버스터 모드|/버스터 몬스터]], [[포츈 레이디|포츈 레이디 파이리]] 등을 덱으로 돌리는데에도 쓸 수 있다. [[비상 식량(유희왕)|비상 식량]]과의 콤보가 유명하다. 이 카드 발동 후 비상 식량을 체인, 묘지에 이 카드의 매수가 늘어난 상태에서 효과가 처리되는 것. 이 카드 3장과 비상 식량을 전부 넣어 덱 회전을 가속을 가속하는 것을 고블린 터보[* 일본 현지에서는 운영의 발음을 따서 '야리크리 터보']라 부르며, 꽤 흉악했는지 비상식량과 쌍으로 준제한을 먹기도 했었다. 일부 서치하기 힘든 카드를 메인으로 쓰는 덱이라면 지금도 써볼만한 전술이다. ~~그런 덱 자체가 티어에서는 전멸했다는 사실은 무시하자.~~ 이 카드를 3장 세트하고 한번에 발동한 상태에서 비상식량 발동시 '''12장을 드로우하고 라이프 3000을 회복한 후 패 3장을 덱 아래로 되돌리는''' 미친 짓거리가 가능하나 이건 아무래도 로망. 파트너와 묘지를 공유하는 [[태그 포스]] 시리즈라면 이론상 최대 28장 드로우+4장 되돌리기도 가능하다. 굳이 비상식량과의 콤보가 아니라도 [[제육감]]마냥 4~6장 드로우가 가능해지니 장기전으로 가는 경우가 많은 덱이거나 버스터 모드와 같이 패 조작이 필요한 덱이라면 그냥 채용해도 상당히 유용하다. 다만 AI가 영 좋지 않기로 악명 높은 게임인 만큼 제대로 쓰려면 덱갈이 카드를 같이 채용해서 묘지에 떨어지는 걸 노리거나 [[요정의 바람]]까지 꽉꽉 채워넣어서 콤보를 노리기 쉽도록 덱을 구성하는 편이 좋다. 주의 할점은 12장을 드로우 하고 3장을 덱에 넣는게 아니라 4장을 드로우 하고 1장씩 덱에 넣는 것이다. 정말로 저 로망플레이를 성공했다고 흥분해서 12장을 한번에 드로우하고 3장을 덱으로 되돌리면 상대가 바보가 아닌 이상 ~~아니면 이런 카드를 모르거나~~ 100% 저지 소환 및 반칙패로 기껏 성공한 콤보가 물거품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자. 효과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룰 위반은 물론이거니와 12장을 뽑고 패에서 3장을 되돌리는 것과 4장씩 뽑고 패에서 1장씩 되돌리는 것은 엄연히 다른 효과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차이가 크다. 극단적인 예로 덱으로 돌릴만한 카드가 마지막 4장에 몰려있다면 덱으로 돌리는 카드가 달라질 수 있다. 로망이라 불릴만큼 잘 나오는 상황도 아니고 일단 12장을 뽑을 수 있다는 막장스러운 상황이니만큼 유저가 흥분하기 딱 좋은 상황이다. 1장이라면 나중에 나온 [[더블 싸이크론(유희왕)|더블 싸이크론]]으로도 같은 짓이 가능하며, 라이프 회복보다는 마법 / 함정 파괴가 유용할 때가 많다보니 현 환경에서 고블린 터보를 시도한다면 이쪽도 괜찮은 선택지. 비상식량이나 더블 싸이크론 병용이 아닌 경우 보통은 처음 1장은 패 코스트, 세트하고 상대의 제거를 유도하거나, [[매지컬 실크햇]]같은 카드로 처리하고 2번째와 3번째를 노리면 좋다. 일러스트의 가계부를 보고 있는것은 이제는 가난해져서 마음을 고쳐먹고 근검하게 살고 있는 [[갑부 고블린]]. 그리고 그 가계부와 주판, 필기구는 적절하게 [[마력 절약술]].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