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사성어]]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숙어)] [include(틀:한자)] [목차] == 개요 == 고사성어([[故]][[事]][[成]][[語]])는 '''[[고사#s-7|고사]]에서 유래된 [[한자어]] [[숙어|관용어]]'''를 말한다. '고사'란 유래가 있는 옛날의 일로 주로 ''전근대의 [[중국]]에서 일어난 역사적인 일''을 가리키고, '성어'는 옛사람들이 만들어낸 관용어를 가리킨다. 단어 길이는 네 글자가 가장 많지만 짧으면 두 자(예: 完璧)부터 길면 열두 자(예 : 知命者不怨天知己者不怨人)나 된다. [[속담]]과 용법이 같으나 언어적으로 그 형태는 다른데, 고사성어는 관용'''단어'''인 반면 속담은 관용'''문구'''다. 물론 고사성어가 [[한문]]에서는 문장이 되는 경우가 많으나, [[한국어]] 안에서는 엄연히 하나의 고사성어 전체가 한 단어처럼 쓰이고 있다. == 설명 == 고사성어의 상당수는 [[전국 시대]]에 생겨났다. [[제자백가]]들이 위정자들을 상대로 유세하면서 역사적 일화를 근거로 들며 설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자백가나 위정자들 본인도 온갖 드라마틱한 사건들을 겪으며 다양한 일화들을 만들어냈다. 이 사건들이 한데 모여 관용어처럼 쓰이면서 오늘날의 고사성어 중 상당수를 이루게 되었다. 때문에 정작 [[금문]]이나 춘추 시대에 성립된 텍스트에서는 고사성어가 잘 발견되지 않는다. 운문을 맞추기 위해 한자 4글자로 이루어진 단어가 많다. 그래서 한자 4개가 모인 말이라고 해서 '사자성어(四字成語)'라고 하기도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고사성어와 사자성어는 다른 것이다. 고사성어는 역사에 대한 일을 알고 있어야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있지만, 사자성어는 한자 4개만 모이 이루어진 단어라면 전부 사자성어이다. 그래서 고사성어지만 사자성어는 아닌 단어도 있고, 반대로 사자성어지만 고사성어는 아닌 단어도 있다. 고사성어의 대부분이 사자성어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둘이 같은 말은 결코 아니다. 다음과 같이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 * 한자성어: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로 우화 등의 비유나 교훈, 그 외에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말. > * 예) [[당랑거철]]: '사마귀가 [[수레]]에게 앞발을 들고 덤빈다'라는 뜻으로 《[[장자]](莊子)》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 > * 고사성어: 한자 성어 중, 옛이야기(故事)에서 유래한 의미를 함축한 말. > * 예) [[삼고초려]]: [[촉한]]의 [[유비]]가 남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가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고사'에서 유래. > * 사자성어: 한자 성어 중 한자 네 글자(四字)로 이루어진 말. 따라서 고사에서 유래되지 않고, 한자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는 고사성어라고 볼 수 없다. 다음과 같은 경우를 보자. >예) 고사성어, 주차 금지, [[전봇대|전보산대]], 일타쌍피, 부귀영화, ... 이런 경우는 한자성어보다 더 상위 범주인 '''한자어'''에 해당된다. '고사성어'라는 말 자체도 한자어에 해당한다. 신조어가 많지만 두세 자 정도인 한자어 중에는 오래전부터 관용적 용법으로 쓰인 표현도 많이 있다. 다만 명확한 고사나 출전이 없기에 고사성어 또는 한자 성어라고 하지 않을 뿐이다. 무엇보다도 '''네 글자가 아닌 고사성어'''[* [[계륵]], [[모순]], [[등용문]], [[배수진]], [[동가식서가숙]] 등 은근히 많고 자주 쓰인다.]도 흔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헷갈림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고사성어의 '사'가 '일 事'를 쓰지만 '숫자 四'로 많이들 착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이유 중 하나다. 보통 [[중국]]의 [[역사]]나 [[신화]], 문학 등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많고, 현재도 중국어로 읽는다면 고사성어 그 자체가 문장인 것들도 많다. [[대한민국]] 고유의 고사성어도 존재한다. 같은 의미이지만 중국과 [[대한민국]]에서 서로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속담]]을 한문으로 번역한 성어, 즉 한자 성어도 많다.([[속담]] 문서 참조) [[서양]]에서도 역시 신화, [[종교]], 역사 등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많으며 격언, [[명언]]으로 인용되는 경우도 자주 있다. 한자를 사용한 단어들이기에 '발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한자'를 대입해서 원래의 뜻과는 다른 새로운 단어를 창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역]]인 것도 많지만 제법 말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일부러 재해석하여 인용한다. 거의 관용어로 굳어져서 사용되며 사람들이 어떤 일을 보았을 때 그와 관련된 고사성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 오월동주인 처지가 되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따개비 한문숙어]]라는 [[학습만화]]가 사자성어 전파에 큰 역할을 했다.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부딪히는 한 가지 장벽이다. 위 네 언어들을 배우기 어려운 언어로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자 고급 수준의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를 구사하려면 넘어야 되는 벽 중 하나다. 고사성어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그 말이 만들어진 배경까지 알아두고 있어야 하는데, 이게 한자의 본고장인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된 말들이 많기 때문. 단순히 한자를 안다고 말의 뜻을 이해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보니,[* 여기서 [[한자 문화권]] 버프가 제대로 드러난다. 학교에서 어느 정도 가르쳐 주는지라 굳이 큰 노력 없이 일반적인 사자성어는 알아낼 수 있다.] 한자까지 어느 정도 능숙하게 구사하는 외국인조차도 고사성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기란 또 다른 노력이 요구된다. 이는 동양권 사람들이 서양권 언어를 배울 때마다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라틴어]] 표현을 어려워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서양권 숙어도 그 숙어가 만들어진 배경을 알아두고 있어야 알기 쉬워지는 숙어가 많다. '다리나 부러져라!(Break a leg!)'가 '행운을 빈다(Good luck)'라는 뜻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울 테니. 또한 시대가 지남에 따라에 따라 고사성어가 생명력(통용력)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고사성어가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옛사람들의 가치관이므로 시간이 지난 현재의 시대정신과 조화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그러므로 고사성어라 해서 무작정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은 않다. [[공무원 시험]]에서 툭하면 등장하는데, 등장하기만 하면 오답률 톱을 찍는다. == [[고사성어/목록|목록]] == * [[고사성어/목록]] * [[:분류:고사성어]] === 고사성어가 아닌 것 === 고사성어로 착각하기 쉬우나 아닌 단어 또는 고사성어처럼 [[줄임말]]로 만들어진 유행어. 20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일반에 한문 교양이 다소 남아있어서, "대마불사(大馬不死)", "복지부동(伏地不動)" 같은 유사 고사성어가 만들어지고 유행어가 되기도 했었으나, 오늘날의 한국어에서는 한자 어원이 더 이상 상식으로 작용하지 않게 됨에 따라 어원 회복성(resilience)이 사라지고 4자 형태의 비한자 성어들이 많이 생겼다. [[내로남불]], 할많하않, [[자강두천]] 등을 모양만 사자성어인 유행어를 언론이나 방송에서 쓰이기도 한다고 비하할 여지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음운부의 표상성을 나타내는 아주 대표적인 예시로서 언어학적으로는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이다. 즉, 한국어에서 기능하는 성어 자체가 4음절이라는 표상체(template)에 구성어들을 끼워 넣는 작용으로 형성된다는 것이지 그 구성어의 어원은 무관하다는 의미이다. 또한 층위 혼동의 예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마지노선'의 경우 각 음절은 한자에 대응되기 때문에 마치 한자에 기반한 고사성어로 혼동되는 것이다. 층위 혼동의 다른 예시로는 시소, 도대체 등이 있다. 각각 외래어와 한자어인데 고유어로 착각되는 것이다. * [[가패삼기]] - "'''가'''둬놓고 '''패'''다 보면 '''삼''' 대 영은 '''기'''본." - [[축구]]계 은어이다. * [[강약약강]] -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하다. 2010년대 들어와서 생긴 축약어이다. * [[권악징선]] - [[권선징악]]의 [[안티테제]]이다. * [[낙장불입]] - [[복수불반분]]과 비슷하게도 쓰인다. 다만 원본이 화투 용어이므로 진지한 자리에서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내로남불]]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 '불(不)' 만 한자어다. 심지어 '로(romance)'는 외국어이다.[*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라는 ~~그럴싸한~~ 신조어로 재창조되어 2020년 교수신문에서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되긴 했다.] * [[동귀어진]] - 엄연히 한자 네 글자로 이루어진 말이기는 하지만 무협 소설 등에서 시작해 현실에서도 많이 쓰이는 언어일 뿐. 고사성어나 사자성어는 아니다. * 러심푸난 - [[러바오]] 심은 데 [[푸바오]] 난다 * [[마지노선]] - '''[[프랑스]]'''의 방어선이다.[* 영어로 쓰면 'Maginot Line'이다.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구상한 사람의 이름에 '선'이 붙은 것. 다만 어감도 어감이고,[* 魔之路線, 즉 마의 노선으로 착각하기 딱 좋은 어감이다.] 최후의 보루라는 뜻으로 고사성어처럼 사용되는 빈도는 높다. * 모기지론 - 한자어가 아니라 영어인 Mortgage Loan이며 경제 용어다. 그런데 언뜻 보기에 '론'까지 붙어 있는 게[* 이론, 담론, 논쟁, 논문 등 논~론을 한자로 쓰는 사례가 많기 때문.] 한자어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에 사자성어인 줄 아는 사람들도 꽤 있다. 실제로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0387172?sid=101|母基地論]]으로 인식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한자어 모기지(母基地)는 항공 용어로 항공기의 등록 기준지를 뜻한다. * [[반농반목]] * [[복지부동]] - 고사성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1990년대의 유행어이다. 공무원들이 일 안 하고 나 몰라라 하는 모습을 풍자한 것. * [[부초서천]] - "[[부산광역시|'''부'''산]]은 '''초'''라하고 [[서울특별시|'''서'''울]]은 '''천'''박하다." - 2020년에 [[이해찬]] 전 의원에 의해 만들어진 [[망언]]이다... 게다가 '초'와 '서'는 고유어다. * [[사탕발림]] - '발림' 부분이 한자가 아니다. * [[삼한사온]] - 한국의 겨울철 기후를 말하는 것이다. * 삼한사미 - 최근 들어 겨울의 중국발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면서 삼 일은 혹한, 사 일은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린다는 뜻. * [[신토불이]] -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뜻은 [[20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 [[여촌야도]] - 농촌에서는 [[여당]] 찍고 도시에서는 [[야당]] 찍는다. 80년대까지 한국 선거의 대략적인 구도를 나타내는 의미이다. * [[예송논쟁#s-6]] -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55324|실리 없이 명분만을 위한 싸움]] 내지는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1722006612776840&mediaCodeNo=257&OutLnkChk=Y|시시콜콜해 보이는 논쟁 속에 정치적 대립 관계가 있는 상황]]을 비유하는 상황에서 언론 등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데,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지 고사성어로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다. * [[예토전생]] - 만화 [[나루토]]에 등장하는, 죽은 사람을 되살리는 술법. 예토와 전생 둘 다 국어사전에도 있는 말이고 단어가 실제로 한자로만 구성되어 있어 어감이 있기 때문에 인터넷 은어로 무언가를 부활시킨다는 뜻으로써 고사성어처럼 자주 사용된다. * [[이부망천]] - "'''이'''혼하면 [[부천|'''부'''천]]가고 '''망'''하면 [[인천|인'''천''']]간다." - 2018년에 [[정태옥]] 의원에 의해 만들어진 [[망언]]이다. * [[일도이부삼백]] - '백'은 영어 background에서 유래되었다. * [[자강두천]] - "'''자'''존심 '''강'''한 '''두 천'''재의 대결." - 고사성어가 아닌 신조어며 '두'는 한자어가 아니고 순우리말이다. * [[홍동백서]], 조율이시 - [[제사]]상 법칙. 생긴 지 100년도 안 된 말이다. * [[화천대유]] - 회사 이름이다. 유래는 [[주역]]의 64괘 중 ☰ + ☲인 대유(大有). * [[아재개그|회유불탁, 회유부탁]] - '''회'''원님의 '''유'''우머에 '''부'''랄을 '''탁'''~! 치고 갑니다. * [[아시타비]] - [[내로남불]]과 같은 뜻. 사실 한자 성어의 넓은 의미를 따져보면 강약약강, 검수완박, 권악징선, 삼한사온, 삼한사미, 신토불이, 이부망천, 여촌야도, 예송논쟁, 예토전생, 홍동백서, [[https://youtu.be/qQwQ87Iatx4|어주구리]]는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는 있다. == 한자 성어를 많이 사용하는 캐릭터 ==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앙골 모아]] 나중에 가면 소재 고갈(?)로 인해, 그냥 4글자 한자어부터 시작해 점점 사자성어와 먼 말도 한다. --말하자면 '아무거나'--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엘리자베트 블랑토르쉬]] XIII의 라운드 전 대사와 승리 대사를 보면 사자성어를 많이 쓴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따개비 한문숙어]] - 등장인물 전원 * [[듀라라라!!]] - [[키시타니 신라]] * [[런닝맨(애니메이션)|런닝맨]] - [[리우(런닝맨)|리우]] 작전명을 붙일 때 사자성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단순히 사자성어가 아닌 4자로 이루어진 단어 또는 영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 [[명탐정 코난]] - [[모로후시 타카아키]] * [[모험왕 비트]] - [[바라사(모험왕 비트)|바라사]] * [[변신자동차 또봇]] - [[이사팔]], [[최희죽]] * [[사이퍼즈]] - [[루시 리]] * [[사키 -Saki-]] - [[아마에 코로모]] - 평소에 한자어를 많이 섞어 쓴다. 팬픽 같은 데 나오기라도 하면 마냥 귀여운 모드가 아닌 이상 작가의 어휘력을 시험하는 존재. * [[삼국지 조조전]] - [[여몽]] * [[앙상블 스타즈]] - [[미케지마 마다라]] * [[우리는 공부를 못해]] - [[키리스 미하루]] * [[지박소년 하나코 군]] - [[야시로 네네]] * [[철권 시리즈|철권]] - [[요시미츠(철권)]] *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 [[자두맛 쿠키]]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아카자 반반]] * [[프리파라]] - [[토도 시온]] * [[푸른 뇌정 건볼트 爪]] - [[텐지안]] * [[휴먼버그대학교]] - [[와나카 소이치로]] * [[Library of Ruina]] - [[샤오(Project Moon 세계관)]] - 샤오뿐 아니라 같은 [[리우 협회]] 소속 캐릭터들은 고사성어로 된 스킬 이름이 많다. 하지만 대사에서 고사성어를 쓰는 것은 샤오 하나뿐. == 관련 문서 == * [[금수회의록]] * [[올해의 사자성어]] * [[사이비 고사성어]] * [[언어 관련 정보]] * [[한문]] * [[문예 관련 정보]] * [[무협소설/용어]] * [[신화 관련 정보]] * [[역사 관련 정보]] == 외부 링크 == * [[http://cybergosa.net/|사이버백과 고사성어]] 01: 가계야치 ~ 격화소양 .... 25: 호사다마 ~ 희황상인까지 수많은 고사성어의 의미를 정리해둔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