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암석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화석(유희왕), top2=2회 공격(유희왕))] [목차] == 설명 == [[유희왕/OCG]]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aleozoicFossilKnight_Skullking-OW.png]] || 한글판 명칭 ||<-4>'''고생대 화석 기사 스컬킹'''|| || 일어판 명칭 ||<-4>'''[ruby(古生代化石騎士, ruby=こせいだいかせききし)] スカルキング'''|| || 영어판 명칭 ||<-4>'''Paleozoic Fossil Knight - Skullking'''||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땅 || 암석족 || 2800 || 1300 || ||<-5>자신 묘지의 암석족 몬스터 + 상대 묘지의 레벨 7 이상의 전사족 몬스터[br]이 카드는 "화석융합"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된다.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만, 배틀 페이즈 중에 1번만 더 공격할 수 있다.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에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었다면, 그 수치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짐 크로커다일 쿡]]이 사용한 [[화석(유희왕)|화석]] 융합 몬스터 중 하나. 125화에서 [[가면의 세 기사|화난 가면]]과의 듀얼 마지막 턴에 등장했다. [[타임 스트림]] 2장으로 [[신생대 화석 기사 스컬폰]]→[[중생대 화석 기사 스컬나이트]]를 거쳐 소환했으며, 직후 스컬킹으로 "분노의 앵커 나이트"를 전투로 2번 파괴해 듀얼에서 이겼다. 130화에서 다시 이차원으로 떠날 때 그 문을 열기 위해 다른 인물들의 에이스를 실체화시킬 때 짐이 이 카드를 고른 걸 보면 본인은 이걸 자신의 에이스 몬스터로 생각하는 모양. 공격명은 '킹스소드 플레이(キングスソード・プレイ / King's Sword Play)', 효과로 더블어택할 때의 공격명은 '''킹스소드 플레이 세컨드(キングスソード・プレイ・セカンド / King's Sword Play Second)'. === [[유희왕 태그 포스]] === || 한글판 명칭 ||<-4>'''고생대 화석 기사 스컬킹'''|| || 일어판 명칭 ||<-4>'''[ruby(古生代化石騎士, ruby=こせいだいかせききし)] スカルキング'''|| || 영어판 명칭 ||<-4>'''Paleozoic Fossil Knight - Skullking'''||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땅 || 암석족 || 2800 || 1300 || ||<-5>자신 묘지의 암석족 몬스터 + 상대 묘지의 레벨 7 이상의 몬스터[br]이 카드는 "화석융합-파슬 퓨전"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공격한 후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1회 더 공격할 수 있다.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이 카드의 공격력이 수비 표시 몬스터의 수비력을 넘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 OCG === [include(틀:유희왕/OCG/컬렉터즈 팩 커버 카드)] [[파일:古生代化石騎士 スカルキン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고생대 화석 기사 스컬킹, 일어판명칭=古生代化石騎士(こせいだいかせききし)スカルキング, 영어판명칭=Fossil Warrior Skull King, 속성=땅,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300, 종족=암석족, 소재=암석족 몬스터 + 레벨 7 이상의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화석융합-파슬 퓨전"의 효과로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3=③: 상대 턴에\,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버리고\, 대상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OCG화되면서 일러스트가 역동적으로 바뀌고, 융합 조건은 태그 포스 버전을 따랐으나 소환 조건이 완화돼, 소생 제한만 만족한다면 묘지 / 제외 존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도록 상향됐다. 더블 어택으로 직접 공격도 가능해졌고, 상대 턴에 한정해 패 1장을 코스트로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③의 효과가 추가됐다. 명실 상부한 화석 덱의 에이스로, 소환이 어려운 [[고생대 화석룡 스컬기오스|스컬기오스]]와 링크 몬스터가 많아 사용하기 까다로운 [[고생대 화석 머신 스컬콘보이|스컬콘보이]]에 비해 직관적이고 강력한 전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타점이 유희왕 에이스 카드들의 보더 라인인 3000을 넘지 못한다는 점 때문에 전투 면에서 크게 의존하기는 어려워, 다른 타점 보강 카드[* 화석 덱에서 사용할 만한 실용적인 타점 보강 카드로는 [[소환사 알레이스터]]의 타점 증강 효과와, [[일세괴=페를레이노]]의 타점 증가 효과정도가 있다.]나 고타점 몬스터와 함께 운용해야 효율성이 극대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OCG화 되면서 추가된 ③이 효과의 콤보성 또한 좋다. 패를 버리는 효과는 코스트가 아닌 효과이므로 기본적으로 패에서 버려지면 이득을 취하는 [[섀도르]], [[티아라멘츠]], [[이시즈]] 등을 버려 오히려 이득으로써 사용할 수 있고, 패에 잡혀 곤란한 [[웨더링솔저]]를 처리하면서 기적의 천공이나 화석 융합을 취할 수도 있다. 다만 기본 적으로 패 1장을 소모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결국 손질이 많이 필요한 카드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이 ③의 효과가 기대치가 높은데, 2020년 4월 룰 변경으로 '묘지로 보내졌을 때 / 경우'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 카드를, 코스트로서 묘지로 보내는 카드에 체인해, 그 보내진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꺼내놓으면 해당 체인 처리 후 그 몬스터는 유언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카드의 발동에 체인해 그 몬스터를 뺏어올 수도 있어, 묘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덱을 상대론 충분히 강력한 견제로 사용할 수 있다. 에이스 카드이지만 이런저런 단점과 허점 때문에 화석덱 유저들의 원성을 사는 카드이기도 하다. 이 카드의 타점이 스컬기오스 처럼 3500 정도만 됐었어도 화석 덱의 평가가 지금보다 2배는 괜찮았을 것이다. 하다못해 3000정도만 됐었어도 눈에 띄게 효율적이었을 텐데 여러모로 아쉬운 카드가 되었다. [[파일:유희왕 마듀 고생대 화석기사 스컬킹 소환 연출.gif|width=6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2년 5월 6일 업데이트를 통해 Live 2D 연출이 추가되었다. 이후 듀얼링크스에도 짐의 에이스로 등장하며 전용 소환씬도 받는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컬렉터즈 팩|컬렉션 팩 2020]] || CP20-KR006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컬렉터즈 팩|コレクションパック 2020]] || CP20-JP006 || [[울트라 레어]][br][[컬렉터즈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Battles of Legend: Armageddon || BLAR-EN006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화석융합-파슬 퓨전]]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화석(유희왕), version=124, paragraph=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