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 [목차] [clearfix] ==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철도가 지나지 않는 지역]] == [[철도]]는 한때 [[원산시|원산]]부터 [[부산광역시|부산]]까지를 잇는 [[동해선]]의 일부인 [[동해북부선]]이 [[일제강점기]] 말에 지어지기도 했으며, 당시에는 [[초구역]], [[제진역]], [[현내역]], [[거진역]], [[간성역]], [[공현진역]], [[문암역(동해선)|문암역]], [[천진리역]]이 있었으나 [[6.25 전쟁|한국 전쟁]]으로 대부분의 구간이 소실되어 현재는 모두 사라진 상황. 분단되고 남은 것은 [[2006년]]에 복원되어 [[현내면]] [[현내면#s-2.12|사천리]]에 있는 제진역[* [[대한민국]]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철도역이다.] 뿐이다. 그마저도 북쪽의 북한 방향으로만 선로가 놓여 있고 남쪽으로는 이어지는 선로가 없기 때문에 여객 영업은 하지 않으며, 그야말로 고립된 역이다. 그러나 [[21대 총선]] 이후 [[동해선]] [[강릉역|강릉]]~제진 구간 복원 사업이 추진되기 시작했고, [[2022년]]에 착공하기 시작해 [[2027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기존의 제진역도 복원되고[* 물론 복원된다 하더라도 제진역은 여전히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이북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은 제한된다.], [[거진읍]] [[거진읍#s-2.2|화포리]]에 [[화진포역]]이, [[간성읍]] [[간성읍#s-2.5|상리]]에 새로운 [[간성역]]이 들어설 예정이다. == 도로 ==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1개도 없다. [[1998년]] [[동해고속도로|속초고성고속도로]] 타당성조사 및 기본 설계까지 끝났으나 아직 건설되지 못했다. 그러다 [[2017년]] 제1차 고속도로 추가검토사업을 실시했다. 또한 최근에 [[동해고속도로]]가 [[속초시|속초]]까지 연장되면서 그나마 고속도로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 [[국도]] === [[7번 국도]], [[46번 국도]]가 있다. * [[7번 국도]]: 고성 교통량의 대부분이 여기서 발생한다. 속초에서 올라와 [[동해|동해안]]을 끼고 북상하여 휴전선에서 끝난다. 전구간 왕복 4차로 이상으로 확장되어 있고, 여름에는 피서객들 차량으로 붐빈다. * [[46번 국도]]: [[인제군|인제]]에서 [[진부령]]을 건너 넘어오는 국도이다. 인제에서 동해안으로 넘어가는 세 고개 중 하나였지만[* 진부령, [[미시령]], [[한계령]]], [[미시령터널]], 이후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지금은 통행량이 많지 않다. 그래도 [[영서]] 지방을 거쳐서 [[간성읍]], [[죽왕면]], [[토성면]] 쪽이 아닌 [[현내면]], [[거진읍]] 쪽으로 바로 갈 경우에는 오히려 이 국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이용량 자체는 있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만 [[56번 지방도]]가 유일하고 순수[[지방도]]는 1개도 없다. == 버스 == === 농어촌버스 === 남쪽에 [[속초시|속초]]가 인접해서 [[속초시 시내버스]] 일부가 다니며, 특히 속초 [[대포동(속초)|대포동]]에서 고성 [[간성읍]], [[거진읍]]을 지나 [[현내면]] [[현내면#s-2.8|마차진리]]까지 운행하는[* 일부 시간대에는 간성까지만 운행한다.] '''[[속초, 고성 버스 1, 1-1|1번, 1-1번 버스]]'''가 자주 다니기 때문에 교통망은 어느 정도 좋은 편이지만, 속초 부근이나 [[7번 국도]] 도로변 또는 해수욕장 등을 제외하고는 대중교통이 열악한 편이다. [[2021년]]까지는 거리비례요금제가 적용되며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처럼 환승할인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대중교통 이용 비용이 많이 들었다.[* 다만 승차할 때만 찍고 하차할 때는 찍지 않아도 되기에 편하기도 하다.] 그래도 고성의 시내버스는 교통카드로 이용 가능하다.[* 인근 속초의 경우는 수도권처럼 환승할인제도가 가능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56&aid=0011168207|그러나 2022년부터 고성군이 버스 요금을 단일요금제로 개편하여, 이제는 동일 요금으로 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이제는 고성에서 속초, 속초에서 고성을 드나들 때 이용하는 1번 버스에 탑승할 때 기본 요금[* 성인 기준 현금 1,700원 교통카드 1530원]만 내면 된다. === 시외버스 === [[버스 터미널]]로는 현내면 [[현내면#s-2.3|철통리]]에 [[대진시외버스터미널]][* [[대한민국]]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간성읍에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거진읍에 [[거진종합버스터미널]]이 있다. [[동서울터미널|동서울]] 방면과 [[동해|동해안]]을 따라서 [[강릉시|강릉]], [[부산광역시|부산]], [[대구광역시|대구]] 방면으로 내려가는 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른 방면은 없거나 운행 횟수가 극히 적다. 그리고 고성 출발 후 중간에 [[원통버스터미널]]을 거쳐 가는 경우가 많다. == [[항구]].어항 == 무역항과 연안항은 없고 전부다 어항들뿐이다. *국가어항 : 거진항, 공현진항, 대진항, 아야진항 *지방어항 : 가진항, 교암항, 문암1리항, 문암2리항, 봉포항, 오호항, 천진항(6개소) *어촌정주어항 : 반암항, 초도항 *소규모어항 : 청간항 총 : 13개소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 version=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