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height=25]]]]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 국회의원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__고성군 전역__ + 속초시, 인제군, 양양군 전역 || || 도의원 || 고성군 ||고성군 전역 || === 군의회 === [include(틀:고성군의회의 원내 구성)] == 지역 특징 == 최전방 + 농촌 + [[영동#s-1]] 지방의 특성으로 전방 지역 중에서도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고성군수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파일:1표차이.jpg|width=600]] ---- [[2008년 재보궐선거]] 당시, 놀라운 사건으로 잠시 이슈화가 되기도 했다. 당시 출마한 [[황종국]] 후보와 [[윤승근]] 후보의 개표 수가 '''불과 1표'''밖에 차이나지 않았던 것. 사실 처음에는 개표 결과 둘 다 4,597표로 집계되었는데, 재검표 결과 윤승근 후보의 표 중 하나가 무효표로 판명되어 최종적으로 [[황종국]] 후보가 1표 차로 당선되었다.[* 사실 동표였어도 연장자 당선 규정에 따라 당시 만 53세였던 윤승근 후보가 낙선했을 것이다.(황종국 후보는 당시 만 71세). 참고로 저 날은 황종국 전 군수의 71번째 생일이었다. --엄청난 생일 선물이네.--] 위 사진은 선거철만 되면 인터넷 등지에서 투표독려짤로 많이 사용된다. 참고로 투표지 한 장 차이로 패배한 윤승근 후보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공천을 등에 업고 복수를 꿈꿨으나, 18,000여 명이 투표하는 와중에 '''208표''' 차이로 다시 패배하고 말았다. [[http://news.nate.com/view/20100604n10382|2번의 석패로 인해 한동안 불면증과 두통에 시달리기도 했다고.]] 참고로 왼쪽의 황종국 전 고성군수는 [[2013년]] [[9월 17일]] 임기 도중 사망했다. 당시 다음 선거까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이라 그동안의 행정 업무는 부군수가 직무대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한편 윤승근 후보는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새누리당]] 공천을 받아 세 번째로 도전, 득표율 '''41.7%'''로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을 노리던 현역 고성군수였던 [[자유한국당]] [[윤승근]]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경일]] 후보에 패하여 재선에 실패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고성군수, 고성군의원 3명, 강원도의원 1명 총 5명을 배출해내서 [[속초시]]와 함께 정치 성향이 서서히 변하고 있다. 그러나 이경일 전 군수는 선거법 위반으로 1심에서 징역 8개월 형을 선고받았고, 2심에서도 같은 형량이 유지되었으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7&aid=0000783878|2020년 1월 9일 대법원에서 결국 징역 8개월의 형이 확정되면서 고성군수직을 상실했고 구속 수감되었다.]] 이후 문영준 부군수 직무대행 체제로 들어갔다. 그런데 [[2020년 재보궐선거]]에서도 예상을 깨고 [[더불어민주당]] [[함명준]] 후보가 48.7% 득표율로 승리하였다. 신승이었고 보수계 무소속들이 표를 갈라먹기는 했지만 그래도 보수적인 지역색을 감안하면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9% 가까이 득표한 것 자체가 이변이다.[* 심지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이경일 전 군수가 득표했던 48.9%에서 크게 낮아지지도 않았다.] [[강원도]] 선대위원장을 맡은 [[이광재]] 전 지사의 후광[* 다만 이광재는 [[영서]] 남부 지역에서 영향력이 강해 영동 최북단 지역에 줄 수 있는 버프에는 한계가 있다.] + 함명준의 개인기 + 고성군수만 5번째 나오는 윤승근에 대한 피로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듯하다. 후술하다시피 윤승근 전 군수 시절 고성군청 공무원의 20%가 예산 횡령을 한 것에 대한 책임도 있고 거기다가 함명준은 고성군의원을 계속 해왔던지라. 동시에 실시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이양수]] 의원이 고성군에서도 승리한 것과는 대비되는 결과인데, 다만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2016년]]에는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득표율이 64% : 36%이었던 결과가 [[2020년]]에는 미래통합당 : 더불어민주당 득표율이 55% : 42%까지 좁혀져 보수색이 옅어진 것이 보이기는 했다. 그리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강원도지사]]는 [[국민의힘]] [[김진태]]를 선택했으나 고성군수는 더불어민주당 함명준 후보가 2년 전 재보궐선거보다 되려 7%p 이상 높은 득표율을 보이며 낙승하는 교차 투표 양상을 보였다. == 역대 선거 결과 == ||<-4>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height=25]]]] {{{#000000,#dddddd '''고성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 ||<-4> [[속초시·고성군|속초시·'''고성군''']]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3대]] || [include(틀:통일민주당)] || [[최정식]] || {{{-2 초선}}}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4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 [[정재철]] || {{{-2 3선}}} || ||<-4>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2> [[송훈석]] || {{{-2 초선}}}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16대]]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 재선}}} || ||<-4> [[속초시·고성군·양양군|속초시·'''고성군'''·양양군]]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17대]] || [include(틀:한나라당)] || [[정문헌]] || {{{-2 초선}}}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18대]] || [include(틀:무소속)] || [[송훈석]] || {{{-2 3선}}}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정문헌]] || {{{-2 재선}}}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이양수]] || {{{-2 초선}}} || ||<-4>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 [[이양수]] || {{{-2 재선}}} || {{{#!wiki style="min-width:300px" ||<-5>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height=25]]]] '''역대 [[고성군수(강원)|{{{#000000,#dddddd 고성군수}}}]]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2008년 재보궐선거|{{{#ffffff '''2008 '''^^재보궐^^}}}]] || || [[민주자유당|{{{#ffffff {{{-1 민주자유당}}}}}}]] || [[자유민주연합|{{{#ffffff {{{-1 자유민주연합}}}}}}]]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 이영구 || [[황종국]] ||<-2> [[함형구]] [* 2008.3.14. 군수직 상실(뇌물 수수).] || [[황종국]]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2020년 재보궐선거|{{{#ffffff '''2020 '''^^재보궐^^}}}]]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무소속|{{{#ffffff {{{-1 무소속}}}}}}]] || [[새누리당|{{{#ffffff {{{-1 새누리당}}}}}}]] ||<-3>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 [[황종국]] [* 2013.9.17. 사망.] [*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윤승근]] || [[이경일]] [* 2020.1.9. 군수직 상실(선거법 위반).] ||<-2> [[함명준]]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이영구 41.25%'''[br]2위: [include(틀:무소속)] [[황종국]] 29.48%[br]3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황연배 11.22%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황종국]] 33.30%'''[br]2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황연인 27.18%[br]3위: [include(틀:무소속)] 함영환 19.88%[br]4위: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전영득 13.01%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함형구]] 43.66%'''[br]2위: [include(틀:무소속)] [[황종국]] 38.63%[br]3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이경도 17.7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함형구]] 48.43%'''[br]2위: [include(틀:무소속)] [[김원기(1958)|김원기]] 32.21%[br]3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김성진 19.35% || || [[2008년 재보궐선거#s-2|2008년]][* 그 전설의 '''1표차''' 선거가 바로 이 선거다!] ||'''1위: [include(틀:무소속)] [[황종국]] 31.17%'''[br]2위: [include(틀:무소속)] [[윤승근]] 31.17%[br]3위: [include(틀:무소속)] 황병구 19.09%[br]4위: [include(틀:무소속)] 남유현 12.98%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무소속)] [[황종국]] 44.21%'''[br]2위: [include(틀:한나라당)] [[윤승근]] 43.09%[br]3위: [include(틀:미래연합)] 신준수 12.69%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윤승근]] 41.65%'''[br]2위: [include(틀:무소속)] [[함형완]] 17.99%[br]3위: [include(틀:무소속)] [[박효동]] 17.38%[br]4위: [include(틀:무소속)] 신준수 15.48%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이경일]] 48.91%'''[br]2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윤승근]] 40.26%[br]3위: [include(틀:바른미래당)] 신준수 10.82% || || [[2020년 재보궐선거|2020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함명준]] 48.66%'''[br]2위: [include(틀:미래통합당)] [[윤승근]] 44.56%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함명준]] 56.05%'''[br]2위: [include(틀:국민의힘)] 홍남기 43.94% ||}}}}}}}}} ||}}} === 지선 === ||<-8> {{{#FFFFFF '''8회 지선 고성군 개표 결과'''}}} || ||<-8> {{{#FFFFFF '''강원도지사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광재|{{{#FFFFFF '''이광재'''}}}]] || [[김진태|{{{#FFFFFF '''김진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7,164 [br] (44.25%)''' || {{{#FFFFFF '''9,024 [br] (55.74%)''' }}} || '''- 1,860 [br] (▼11.48)''' || '''16,776 [br] (67.71%)''' || || '''간성읍''' || '''46.51%''' || {{{#FF6347 53.48%}}} || '''▼6.97''' || 63.86% || || '''거진읍''' || 40.51% || {{{#E61E2B 59.48%}}} || ▼18.96 || 69.07% || || '''현내면''' || {{{#696969 40.34%}}} || {{{#E61E2B '''59.65%'''}}} || {{{#696969 '''▼19.30'''}}} || '''71.33%''' || || '''죽왕면''' || 42.56% || {{{#E61E2B 57.43%}}} || ▼14.86 || 67.98% || || '''토성면''' || 44.02% || {{{#E61E2B 55.97%}}} || ▼11.94 || {{{#696969 60.77%}}} || || '''후보''' || [[이광재|{{{#004EA2 '''이광재'''}}}]] || [[김진태|{{{#E61E2B '''김진태'''}}}]] || '''격차''' || || || '''거소투표''' || 39.24% || {{{#E61E2B 60.75%}}} || ▼21.51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4.97%}}} || 45.02% || △9.95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이광재|{{{#FFFFFF '''이광재'''}}}]] || [[김진태|{{{#FFFFFF '''김진태'''}}}]]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E61E2B '''속초·인제·[br]고성·양양'''[* 지역구 국회의원: [[이양수]] (국민의힘, 재선).]}}}]] || 43.96% || {{{#FFFFFF '''56.03%'''}}} || ▼12.07 || 56.61% || || '''후보''' || [[이광재|{{{#FFFFFF '''이광재'''}}}]] || [[김진태|{{{#FFFFFF '''김진태'''}}}]] || '''격차''' || '''투표율''' || || '''읍 지역'''[* 간성읍, 거진읍.] || 46.51% || {{{#E61E2B 53.48%}}} || ▼6.97 || 63.86% || || '''면 지역'''[*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 42.20% || {{{#E61E2B 57.79%}}} || ▼15.59 || 65.74% || ---- ||<-8> {{{#FFFFFF '''고성군수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함명준|{{{#FFFFFF '''함명준'''}}}]] || {{{#FFFFFF '''홍남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9,149 [br] (56.05%)''' }}} || '''7,173 [br] (43.94%)''' || '''+ 1,976 [br] (△12.10)''' || '''16,777 [br] (67.71%)''' || || '''간성읍''' || {{{#004EA2 57.03%}}} || 42.96% || △14.06 || 63.91% || || '''거진읍''' || {{{#004EA2 53.45%}}} || 46.54% || △6.90 || 69.13% || || '''현내면''' || {{{#4169E1 51.08%}}} || '''48.91%''' || {{{#696969 '''△2.16'''}}} || '''71.37%''' || || '''죽왕면''' || {{{#004EA2 '''59.72%'''}}} || {{{#696969 40.27%}}} || '''△19.45''' || 68.08% || || '''토성면''' || {{{#004EA2 56.19%}}} || 43.80% || △12.39 || {{{#696969 60.81%}}} || || '''후보''' || [[함명준|{{{#004EA2 '''함명준'''}}}]] || {{{#E61E2B '''홍남기'''}}} || '''격차''' || || || '''거소투표''' || 46.54% || {{{#E61E2B 53.45%}}} || ▼6.91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0.08%}}} || 39.91% || △20.16 || || === 대선 === ||<-4> {{{#fff '''제20대 대통령 선거 강원 고성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2> '''격차'''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득표수[br](득표율)'''}}} || '''7,433[br](39.12%)''' || {{{#fff '''10,840[br](57.05%)'''}}} || '''-2,654[br](▼12.3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간성읍'''}}} || '''41.79%''' || {{{#e61e2b 53.57%}}} || ▼11.7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거진읍'''}}} || 36.09% || {{{#e61e2b 60.75%}}} || ▼24.64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현내면'''}}} || 34.22% || {{{#e61e2b '''62.30%'''}}} || ▼28.0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죽왕면'''}}} || 34.82% || {{{#e61e2b 62.25%}}} || ▼27.43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토성면'''}}} || 39.21% || {{{#e61e2b 57.02%}}} || ▼17.81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거소·선상투표'''}}} || 40.98% || {{{#e61e2b 49.76%}}} || ▼8.7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관외사전투표'''}}} || 45.83% || {{{#e61e2b '''50.04%'''}}} || ▼4.21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61.90%'''}}} || 33.33% || ▲28.57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fff '''국회의원[br]선거구별'''}}}}}}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fff '''격차'''}}} ||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e61e2b '''속초시·인제군·양양군·고성군'''[* 속초시 일원, 인제군 일원, 고성군 일원, 양양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이양수]] (국민의힘, 재선).]}}}]] || 39.94% || {{{#fff '''56.23%'''}}} || ▼16.32 || === 총선 === ==== [[속초시·고성군·양양군|속초시·고성군]] ====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 ====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8> {{{#FFFFFF '''21대 총선 고성군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동기(정치인)|{{{#FFFFFF '''이동기'''}}}]] || [[이양수|{{{#FFFFFF '''이양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7,325 [br] (42.02%)''' || {{{#FFFFFF '''9,540 [br] (54.73%)'''}}} || '''- 2,215 [br] (▼12.71)''' || '''17,865 [br] (72.90%)''' || || '''간성읍''' || '''46.01%''' || {{{#FF7E9D 51.19%}}} || '''▼5.18''' || 72.64% || || '''거진읍''' || 39.21% || {{{#EF426F 57.97%}}} || ▼18.76 || 71.24% || || '''현내면''' || {{{#696969 36.55%}}} || {{{#EF426F '''60.30%'''}}} || {{{#696969 ▼23.74}}} || '''74.41%''' || || '''죽왕면''' || 39.76% || {{{#EF426F 57.06%}}} || ▼17.30 || 71.70% || || '''토성면''' || 39.55% || {{{#EF426F 57.89%}}} || ▼18.34 || {{{#696969 67.37%}}} || || '''후보''' || [[이동기(정치인)|{{{#004EA2 '''이동기'''}}}]] || [[이양수|{{{#EF426F '''이양수'''}}}]]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3.98%}}} || 39.00% || △4.98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4.42%}}} || 40.04% || △14.38 || || || '''재외투표''' || {{{#004EA2 71.42%}}} || 28.57% || △42.86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6,993 [br] (41.96%)'''}}} || '''4,565 [br] (27.39%)''' || '''1,325 [br] (7.95%)''' || '''755 [br] (4.53%)''' || '''652 [br] (3.91%)''' || '''+ 2,428 [br] (△14.57)''' || '''17,866 [br] (72.88%)''' || || '''간성읍''' || {{{#FF7E9D 38.85%}}} || '''29.93%''' || 8.56% || 4.40% || 4.07% || {{{#696969 △8.92}}} || 72.65% || || '''거진읍''' || {{{#EF426F 44.48%}}} || 26.26% || 7.66% || 3.73% || 3.33% || △18.23 || 71.24% || || '''현내면''' || {{{#EF426F '''47.79%'''}}} || 26.03% || 4.96% || 2.71% || 3.33% || '''△21.75''' || '''74.45%''' || || '''죽왕면''' || {{{#EF426F 43.92%}}} || {{{#696969 24.91%}}} || 7.96% || 5.07% || 3.63% || △19.00 || 71.77% || || '''토성면''' || {{{#EF426F 44.23%}}} || 25.95% || 8.11% || 4.64% || 3.72% || △18.28 || {{{#696969 67.37%}}}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32.08%}}} || 30.83% || 5.83% || 12.50% || 1.66% || △1.25 || || || '''관외사전투표''' || 30.43% || {{{#006CB7 31.85%}}} || 10.09% || 6.35% || 6.85% || ▼1.41 || || || '''재외투표''' || 33.33% || {{{#006CB7 50.00%}}} || 0% || 0% || 16.66% || ▼16.66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성군(강원도), version=882)] [[분류: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