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남한의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rd1=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 other2=경상남도 고성군, rd2=고성군(경상남도))] [include(틀:강원도(북한)의 시군)] ||<-2> {{{+2 고성군}}} [br] 高城郡 / Kosŏng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역시도 || [[강원도(북한)|강원도]] || || 행정구역 || 1읍 23리 || || 인구 || 61,277명 || || 시간대 || UTC+9 || ||<-2>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고성군, 높이=250px, 너비=100%)] || ||[youtube(tfZAuN0cqX0)]|| || 고성읍에서 출발하여 [[통천군]] 일대[* [[동해역(금강산청년선)|동해역]]은 고성이 아니라 통천에 있다.]로 가는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도(북한)|북한 강원도]]의 군. [[옹진군(인천)|옹진]][[옹진군(황해남도)|군]], [[철원군]]과 함께 남북한에 동일한 명칭이 있는 군이며, [[남한]]이 대부분을 차지한 [[철원]]과 달리 고성군은 [[북한]]이 고성읍을 차지했다.[* 고성읍의 [[수복지구]](송현.명호.송도진.대강)은 남한의 [[고성군(강원도)|고성군]] [[현내면]]에 편입되었다.][* 남북한의 옹진군, 철원군은 각각 [[옹진군(인천)]]/[[옹진군(황해남도)]], [[철원군]]/[[철원군(북한)]] 참고.] 북한에서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곳이기도 한데 장전(長箭)의 연간 강수량은 1519.9mm에 달하며, 남한의 다우지역인 [[섬진강]] 하구에 버금간다. == 역사 ==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고성군'과 '[[간성군]]'이라는 두 개의 독립된 군이었으며, 대략 옛 고성군은 지금의 북한 고성군, 옛 [[간성군]]은 지금의 남한 고성군 영역과 똑같지는 않지만 비슷하다. 고성은 한사군 시대에는 임둔군(臨屯郡) 전막현(前莫縣)이었고 이후 [[동예]]에 편입되었다. [[고구려]] 때는 달홀(達忽)이었으며 [[신라]]에 편입된 후 [[경덕왕]] 때 지금까지 사용되는 고성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고성에 있는 삼일포(三日浦)는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에서 으뜸으로 뽑은 명승지이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고성군을 폐지하여 [[간성군]]에 합치고 군청을 [[간성읍|간성면]]에 두었다. 그러다가 1919년 군청을 고성으로 옮기고 고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에 [[삼팔선]]이 그어지면서 다 [[북한]]으로 넘어갔다가 [[6.25 전쟁]] 이후 남한이 간성을 비롯한 상당수 지역을 가져갔다.[* 그래서 남한령 고성은 '''남고성''', 북한령 고성은 '''북고성군'''이라고 한다.] 사실상 '''간성'''이라고 할 수 있는 남한의 고성군은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 문서 참조. 1914년 이전의 고성군 지역은 수동면 남부를 빼고 북에 남았다. 1952년 북한이 행정 구역을 개정하며 [[통천군]] 최남부의 임남면[* 금강산댐이 있는 지역과는 다르다.]을 합치고 장전으로 군청을 옮겼다. 원래의 고성읍은 휴전선에 가깝고 장전읍이 더 컸으며, 군의 남쪽 지역은 남한의 관할로 넘어가서였다. 대한민국이 통치하고 있는 군사분계선 이남의 고성군에서는 이곳을 "북고성군"으로 부른다. == 하위 행정구역 == * 읍 : 고성읍(구: 장전읍) * 리 : 고봉리, 구읍리, 금천리, 남애리, 두포리, 염성리, 능동리, 복송리, 봉화리, 삼일포리, 성북리, 순학리, 신봉리, 온정리, 운곡리, 운전리, 월비산리, 장포리, 종곡리, 주둔리, 초구리, 해금강리, 해방리 == 교통 == [[동해북부선]]이 있다가 철거됐다가 남북 화해 분위기속에 북한이 먼저 다시 [[금강산청년선]]으로 다시 깔았고, 남한과도 연결되어 있다. [[동해선]]과 연결되는 북한지역의 첫 역인 [[고성역]]이 고성군 고성읍(해방 이전 행정구역은 장전읍)에 위치한다. 남한 구간인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에서 출발하여 이외 휴전선을 거쳐 [[43번 국도|국도 43호선]]이 여기서 끝난다. 실질적인 종점은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 읍내삼거리. == 관광 == 북한이 대대적으로 광고하고 있는 [[금강산관광지구]] 근처답게 [[금강산]]이 제일 유명하다. 그 외에도 옛 [[고성행궁]] 터에 지어진 [[온정리 온천]]이 관광지로 [[외국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해금강]]이 금강산에는 밀리는 듯 했으나, 최근에는 해금강도 유명해졌다. [[관동팔경]] 중 1경(삼일포)이 이곳에 위치한다. == 행정 == 1읍 23리이다. 해방 당시를 기준으로 원고성군 지역은 고성(高城, 4개리 제외)·장전(長箭)읍, 서(西)·수동(水洞, 북쪽 절반)·외금강(外金剛) 3개면, 통천군 임남(臨南)면 2개리[* 북한이 림남면이라고는 하지만, 나무위키에서는 두음법칙을 인정하므로 임남면이라고 정의한다.]이다. || [include(틀:지도, 장소=장전읍, 높이=250px, 너비=100%)] || 한편 1읍 23리 명칭은 고성읍(옛 장전읍), 온정리(옛 외금강면 소재지), 금천리, 주둔리, 순학리, 월비산리, 봉하리, 구읍리, 삼일포리, 장포리, 해방리, 운곡리, 종곡리, 성북리, 남애리(옛 외금강면), 운전리, 두포리, 복송리, 렴성리(옛 통천군 림남면 외렴성리와 내렴성리), 릉동리, 신봉리, 해금강리, 고봉리, 초구리이다. 일부 리 표기는 북한이 두음법칙을 안 쓰는 부분이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분단 이전 기존 고성군의 행정구역은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행정]] 항목 참조. [각주] [[분류:강원도(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