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 고속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756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jgjeb-ngp.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FF0000> {{{#ffffff 고속버스 전주 ↔ 광주(호남제일문 경유)}}} || || 기점 ||<-2>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전주)|금암동]]([[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종점 ||<-2>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서구]] [[광천동]]([[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2> 광주행 || 첫차 || 06:1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전 06:00] ||<|2> 전주행 || 첫차 || 06:3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전 06:05] || || 막차 || 22:30[*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전 23:00] || 막차 || 22:30[*A] || ||<-3> 배차간격 ||<-3> 일 27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전 일 37회] || ||<-2> 운수사명 || [[금호고속]] ||<-2> 인가대수 || ?대 || ||<-2> 경로 ||<-4>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온고을로|{{{#bbb 온고을로}}}]] ↔ {{{#bbb 혁신로}}} 또는 {{{#bbb 가리내로}}} ↔ {{{#bbb 사평로}}} ↔ [[기린대로|{{{#bbb 기린대로}}}]]) ↔ [[호남제일문]].[[전주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 ↔ [[전주IC|{{{#bbb 전주IC}}}]] ↔ [[호남고속도로|{{{#bbb 호남고속도로}}}]] ↔ (→ [[서광주IC|{{{#bbb 서광주IC}}}]] → [[북문대로|{{{#bbb 북문대로}}}]]([[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 → [[죽봉대로|{{{#bbb 죽봉대로}}}]] → / ← [[동림IC|{{{#bbb 동림IC}}}]] ← [[빛고을대로|{{{#bbb 빛고을대로}}}]] ← [[무진대로|{{{#bbb 무진대로}}}]] ←)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6><#FF0000> {{{#ffffff 시외버스 전주 ↔ 광주(전북혁신도시 경유)}}} || || 기점 ||<-2>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전주)|금암동]]([[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종점 ||<-2>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서구]] [[광천동]]([[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2> 광주행 || 첫차 || 06:40 ||<|2> 전주행 || 첫차 || 06:55 || || 막차 || 19:45 || 막차 || 20:20 || ||<-3> 배차간격 ||<-3> 일 6회 || ||<-2> 운수사명 || [[금호고속]] ||<-2> 인가대수 || ?대 || ||<-2> 경로 ||<-4> [[전주고속버스터미널]] ↔ [[온고을로|{{{#bbb 온고을로}}}]] ↔ {{{#bbb 혁신로}}} ↔ {{{#bbb 농생명로}}} ↔ [[전북혁신도시]] ↔ [[716번 지방도|{{{#bbb 716번 지방도}}}]][[콩쥐팥쥐로|{{{#bbb (콩쥐팥쥐로)}}}]] ↔ [[서전주IC|{{{#bbb 서전주IC}}}]] ↔ [[호남고속도로|{{{#bbb 호남고속도로}}}]] ↔ (→ [[서광주IC|{{{#bbb 서광주IC}}}]] → [[북문대로|{{{#bbb 북문대로}}}]]([[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 → [[죽봉대로|{{{#bbb 죽봉대로}}}]] → / ← [[동림IC|{{{#bbb 동림IC}}}]] ← [[빛고을대로|{{{#bbb 빛고을대로}}}]] ← [[무진대로|{{{#bbb 무진대로}}}]] ←) ↔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 == 개요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광주광역시]]를 잇는 [[전환고속]]([[호남제일문]] 경유), [[시외버스]]([[전북혁신도시]] 경유) 노선. [[금호고속]]이 운행하고 있다. == 역사 == * [[2019년]] 04월 11일부터 [[호남제일문]].[[전주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의 경유지가 일 6회를(우등을) [[전북혁신도시|혁신도시]]로 조정되었다. * [[2020년]] 11월 27일부터 호남제일문.월드컵경기장 경유 편에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개통되었다. * 시기 미상. 일 4회 → 일 5회로 확대되었다가 일 9회로 다시 확대되었다.[* 그 만큼 일반 및 우등이 축소되었다.] * [[2021년]] 10월부터는 노선이 2팀(직행부)에서 1팀(고속부)(으)로 넘어갔다. == 특징 == === 공통 === * 동일 노선에 [[전주시외버스터미널|전주(시외)]] ↔ [[유스퀘어|광주]]([[전북고속]])도 운행 중이나 일 8회로 많지 않다. ~~그냥 회송용으로 다닌다.~~ 운임은 고속버스 노선과 동일하다(경유지 포함). [[호남제일문]]을 경유하는 고속버스와 달리 완산동 경유 [[순창IC|순창 나들목]]([[27번 국도]])로 운행하며, 전주 방향 운행 시 평화동(시내버스의 코오롱아파트 정류장) 및 서부시장(효자동)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다.~~터미널까지 가는 버스가 없고 시내로 돌아가는 비효율적인 운행으로 완산동, 효자동, 삼천동 주민들은 시간 맞춰 시외버스를 탄다.~~ 이 중 3회는 [[전북혁신도시]]를 추가로 경유하며, 광주 방향 운행 시의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과 전주 방향 운행 시의 서부시장(효자동)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다. 또한, 고속 노선하고 동일하게 자연스레 [[서전주IC|서전주 나들목]]으로 진입한다. [[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은 고속버스와 달리 양 방향 경유한다. === [[호남제일문]].[[전주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 경유 편 === * 일반: 전주행(07:30) 및 광주행(10:00(터미널)(10:10)) →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전북혁신도시]] 경유 편 === 현재 이후 5편으로 전주고속-광주보다는 많이 없지 않다. 다른 시간으로는 호남제일문.월드컵경기장 경유편 확정이며 이 경우 [[전주시 시내버스]]를 통해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일 3회로 영 좋지 않아서..[*시간표 광주행: 07:10, 09:40, 17:20 / 전주행: 06:50, 14:20, 18:30]] == [[전라도|호남]] 양대도시를 이어주는 주요 노선 == 이 노선은 [[전라도|호남]] 지방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호남 양대도시인 [[광주광역시|광주]]와 [[전주시|전주]]를 남북으로 이어주는 대중교통수단에서 거의 유일함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고속]]에서 운영하는 [[시외버스]] 노선이 존재하나 편수가 고속에 비해 적기 때문에 고속버스 이용 비중이 높은 편이다. 사실상 유일한 교통수단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전북특별자치도|전북]]의 중심 도시 [[전주시|전주]]와 [[광주광역시|광주]]/[[전라남도|전남]]의 중심도시 [[광주광역시|광주]]를 이어주기 때문에 상호 교류와 이동을 위한 이용객과 전북권, 전남권 시외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환승객들로 북적인다. 특히 양 도시간을 직결하는 [[철도]]교통이 부재하다는 것은 이 노선의 중요함을 부각시키는 아주 큰 이유 중 하나인데, [[경상도|영남]] 양대도시 [[부산광역시|부산]]과 [[대구광역시|대구]], 충청 양대도시 [[대전광역시|대전]]과 [[청주시|청주]]는 철도 노선은 물론 고속철도까지 구비되어 있으나, [[전라도|호남]]의 경우 [[전주역|전주]]는 [[전라선]], [[광주송정역|광주]]는 [[호남선]], [[호남고속선]]으로 지나가는 철도 노선 자체가 아예 다르다. 안그래도 호남권의 여객열차편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판에 굳이 철도로 양 지역을 가려면 [[익산역]]에서 환승해야 하는데, 시간, 거리, 요금 모두 버스에 비해 손해다. 이렇기 때문에 두 도시간 이동은 도로교통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그 중에서도 [[금호고속]]이 운영하는 고속버스 비중이 아주 높다. 도로교통 자체로서도 이 노선은 아주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시외버스는 편수가 적고 이 노선이 두 도시를 잇는 유일한 노선이나 다름없이 운행중이다. 당장 [[전주시]], [[전북특별자치도]]와 광주전남 이상으로 교류가 많은 대전충남권의 수부 [[대전광역시]]로 가는 교통수단의 경우, [[시외버스 대전복합-전주|대전 ↔ 전주]] 고속버스와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과 [[유성시외버스정류소]]를 오가는 시외버스 중 하나를 편리한 대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주역]]과 [[서대전역]]을 이용한 철도를 탈 수도 있다. 이렇게 선택폭이 넓은 전주 - 대전 노선과 달리, 전주 - 광주 노선은 선택의 폭이 좁은편이라 할 수는 없고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 이용객 == 배차도 많고, 승객도 많아서 임시 배차가 자주 등장하는 노선이다.[* 단, 전주 → 광주의 편도로는 [[호남제일문]]을 경유하지 않는다.] [[광주광역시|광주]]와 [[전주시|전주]]는 각자 다른 생활권의 도시이기 때문에[* 대부분 지방이 그렇지만, [[전라도|호남권]]은 남북도간 생활권이 유독 분리된 축에 속한다. [[노령|노령산맥]]이 [[전북특별자치도|전북]]과 [[전라남도|전남]]을 철저하게 가르고 있으며 [[대구광역시|대구]]나 [[대전광역시|대전]], [[청주시|청주]]와 달리 [[전주시|전주]]와 [[광주광역시|광주]]는 다른 도와 인접하지 않아 생활권이 겹치는 지역이 거의 없다. [[정읍시|정읍]], [[남원시|남원]]처럼 [[광주광역시|광주]]가 가까운 전북 남부권 도시 역시 [[전주시|전주]]와 교류가 훨씬 많다.] 승객이 적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꽤 높은 수요를 자랑한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두 도시를 잇는 유일하다시피한 교통수단이고, 사업적 이유나 학업 등 다양한 요인이 있다. 대표적으로 전주고속/시외터미널에서 아주 가까운 [[전북대학교]]에는 광주 출신 학생들 비중이 꽤 높아서 이들의 이동수요도 상당하며[* 전주시내버스로 전북대를 왕복하면 최소 1정거장 혹은 최대 3정거장으로 간다.], [[전라남도]] 지역의 학생들이 광주에 도착하여 [[유스퀘어]]에서 시외버스로 환승한다. 주말이나 방학에는 [[전주 한옥마을]] 등 관광도시 전주를 방문코자 하는 광주 관광객들 비중 역시 높다. == 여담 == * [[전주IC|전주 나들목]]으로 진출입하는 다른 고속버스 노선과 마찬가지로, 직선도로인 [[백제대로]]를 이용하지 않고 [[온고을로]]를 통해 [[만성지구]]와 서신동을 지나 [[전주고속버스터미널]]로 향한다. * [[전주IC|전주 나들목]]이 아닌 [[서전주IC|서전주 나들목]]을 이용하자는 주장이 언론보도 등을 통해 존재했다.[[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39908|기사]] 서전주로 오가는 것이 10분 정도 시간이 단축되며, [[호남제일문]].[[전주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의 이용객이 아주 적다는 것이 근거였는데, 당시 소수라도 호남제일문의 승객을 위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19년 기준 서전주IC와 터미널을 오가는 도로인 [[716번 지방도]]([[콩쥐팥쥐로]]) 구간이 [[전북혁신도시]] 인구 증가로 만성체증에 시달리는 도로가 되었으며. 호남제일문이 있는 여의동에 아파트가 들어서고, [[만성지구]], [[전북혁신도시]], [[전주에코시티]] 등 서북부, 북부권에 신도시 입주 및 인구증가가 시작되며 호남제일문 이용객이 늘어 주장의 근거가 많이 약해진 상태이다. 또한 경로에 따라 고속도로 운행비율 미달 또는 거리 미달로 인해 [[전환시외|고속버스 요건을 상실, 시외로 전환해야하기 때문이다]]. * [[주말]]이나 공휴일 연휴의 경우 전주-광주 구간은 미리 예매해두지 않으면 마감하는 경우가 많아 미리 예매하는 게 좋다. * 버스 시간대 사람이 꽉 차서 임시버스가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 주말과 공휴일 연휴의 경우 임시버스 말고 * 기사 재량으로 사람이 꽉 차서 호남제일문으로 가지 않고, [[서전주IC|서전주 나들목]]으로 가서 고속도로에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 * 단거리 노선 특성 상 휴게소을 들르지 않는다. * 일반은 일 1편으로 줄어들었고, 프리미엄이 많아졌다. 현재 프리미엄 버스가 들어가는 고속버스 노선 중 운행 거리가 가장 짧다. 이 노선보다 짧으면서 프리미엄 버스가 들어가는 노선들은 모두 시외버스이기 때문이다. == 주의사항 == * 광주 방향 운행시 [[운암동시외버스정류소|운암동]](경유지)의 전산 명이 없다. → '''광주'''로 발권 후 하차 *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으로는 [[고속버스 프리패스|프리패스]] 불가능하다. * 프리미엄은 개통 전부터 [[전환고속]]으로 특성상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 불가능하며,[* 개통 당시 2팀으로 운행 시절의 흔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별도로 [[국가유공자]] 할인 불가능하다. * [[전북혁신도시]] → [[유스퀘어|광주]] 및 [[센트럴시티|강남]]으로는 반대편의 시외 노선하고 다르게 창구 및 [[인터랙티브 키오스크|키오스크]]가 없기 때문에 각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KOBUS]] 또는 [[티머니|티머니GO]]의 앱을 통해 발권하는 방법밖에 없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현 상황]]으로 인해 매 달마다 운행 시간표가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 == 시각표 == 인터넷과 어플에서 운행 시각표를 확인할 수 있으며, 교통 상황(정체)에 따라 2시간 넘게 걸릴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소요 시간은 대체로 1시간 30분이다. 빠르면 1시간 10~20분도 가능하다. 2시간을 넘기지 않는 노선이라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중간에 휴게소를 들르지 않으니 출발 전 용무를 꼭 해결하고 타야 한다.. == 운임표 == * [[호남제일문]].[[전주월드컵경기장|월드컵경기장]]에서 승하차 시에도 운임은 동일하다. * 할증은 임시로 편성된 시간에만 적용되므로 사실상 할증 요금을 낼 일은 드물다. * [[전북혁신도시]]에서 승하차하는 차량은 우등만 있으며, 요금이 다르니 참고할 것.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 일반 || 우등 || 프리미엄 || 심야우등 || 혁신도시 || || 성인 || 7,900 || 11,500 || 14,900 || 12,600 || 10,100 || || 아동 || 4,000 || 5,800 || 7,500 || 6,300 || 5,100 ||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고속버스]] [[분류:시외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