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https://arca.live/b/city/87898675|이미지화 한 모습]]'''[*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철도가 지나지 않는 곳]]도 포함.] [[대한민국]]은 동고서저의 지형으로 [[강원특별자치도]] 및 [[경상북도]] 북부 지역은 지형이 험해 교통이 불편했다. 그 영향으로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또한 수도권에서 [[경상남도]] 또는 [[전라남도]]를 잇는 형태로 발달하여 한국에는 아직 고속도로가 통과하지 않는 지역이 있다. 여기서의 고속도로는 '''도로법 제 11조'''에서 정하는 대통령령으로 지정된 고속국도(법적 명칭) 내지 2014년 폐지된 구 고속국도법 적용 도로로 [[한국도로공사]] 및 기타 민자 고속도로회사 관리구간만 말하며 [[제3경인고속화도로]] 등 고속국도가 아닌 자동차전용도로는 제외한다. == 정의 == * 이 페이지에 등록되는 지역은 '''대한민국'''을 그 대상으로 한다. 기준은 '''나들목이 시/군 내에 설치되지 않은 지역'''이다. 또한, 이 문서 중, '''30분 내로''' 타 지역의 고속도로 진입로에 도달할 수 '''있는''' 지역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며, [[도시고속도로]][*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에서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와 같은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가 지나는 경우 ^^★^^ 표시한다. 밑줄은 조만간 이 항목에서 사라질 지역을 의미한다. * [[전라북도]]의 모든 시·군, [[세종특별자치시]] 및 [[대전광역시]]의 모든 구에는 고속도로가 지나가므로 여기서 언급하지 않는다. == 지역 일람 == === [[서울특별시]] === 없는 구보다 있는 구가 훨씬 적다. 경부고속도로(양재~한남)(현 [[경부간선도로]])나 경인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을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나 [[고속화도로]]로 바꾸는 등 시내를 관통하는 고속도로를 교외로 걷어낸 영향도 있다. * '''[[중구(서울)|중구]]'''[*A 2002년 [[경부고속도로]] 양재-한남 구간, 현 [[경부간선도로]] 해제 전까지는 원래 종로구, 중구에서도 20분 이내에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었다.][*D [[평택파주고속도로]] [[남고양IC]]] * '''[[종로구]]'''[*A][*D] * '''[[용산구]]'''^^★^^[* [[경부고속도로]] [[양재IC]]. 2002년 경부고속도로 양재-한남 구간 해제 전까지는 15분 이내로 접근이 가능했다.][*D] * '''[[도봉구]]'''^^★^^[*B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의정부IC]], [[호원IC]].] * '''[[노원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기는 하므로 이 항목의 표제어에는 부합하지 않으나, 나들목이 없어 실질적으로는 고속도로가 없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의정부IC]]가 의정부시와의 경계선 부근에 인접해 있다. 상계 재정비촉진지구 관련 교통대책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덕릉로 연결하는 (가칭)상계IC 신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강북구]]'''[*B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의정부IC]], [[호원IC]].] * '''[[성북구]]'''^^★^^[* [[세종포천고속도로]] [[중랑IC]].] * '''[[동대문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IC]]·[[남양주IC]]· [[토평IC]], [[세종포천고속도로]] [[중랑IC]].] * '''[[성동구]]'''^^★^^[* [[세종포천고속도로]] [[중랑IC]].]: 1970년[* 지금의 서초구 내곡동 일대는 영등포구가 아닌 성동구 관할이었다.]부터 1975년까지는 경부고속도로가 성동구를 지났다.[* 당시에는 현재의 강남3구가 성동구 관할이었다.] 1975년 성동구의 한강 이남 전역이 분구되면서, 지금의 성동구는 고속도로가 없는 곳이 됐다. * '''[[광진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토평IC]]·[[강일IC]]· [[상일IC]]· [[송파IC]], [[세종포천고속도로]] [[중랑IC]]· [[남구리IC]].] * '''[[서대문구]]'''^^★^^[*D] * '''[[마포구]]'''^^★^^[*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북로JC]].][*D] * '''[[은평구]]'''[*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북로JC]],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통일로IC]], [[평택파주고속도로]] [[흥도IC]], [[남고양IC]].] * '''[[영등포구]]'''^^★^^[* [[경인고속도로]] [[신월IC|신월동 종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88JC]]와 [[김포공항IC]], [[서해안고속도로]] [[금천IC]],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소하JC]].]: 다만, 여기는 본래 경인고속도로의 시점인 양평IC가 있었으나, 양평IC부터 신월IC까지의 구간은 [[국회대로]]로 고속도로에서 해제되었다. 또한 경부고속도로의 옛 시점인 한남IC를 비롯한 현 [[경부간선도로]]도 개통 당시에는 영등포구 관할이었다. * '''[[구로구]]'''^^★^^[* [[경인고속도로]] [[신월IC|신월동 종점]], [[서해안고속도로]] [[금천IC]],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IC]]와 [[석수IC]],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IC]]와 [[시흥IC(서울)|시흥IC]], [[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소하JC]]] * '''[[관악구]]'''^^★^^[* [[제2경인고속도로]] [[삼막IC]].] * '''[[동작구]]'''^^★^^[* [[경부고속도로]] [[양재IC]],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학의JC]], [[서해안고속도로]]/[[평택파주고속도로]](수원~광명) [[소하JC]]] === [[경기도]] === 대부분 북부에 위치한 시군이 해당된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파주고속도로(광명-서울)]]가 건설중에 있다. 건설중인 고속도로가 모두 개통되고 나면, 경기도에서는 [[동두천시]], [[연천군]]만 남는다. 통일이 깜깜 무소식이긴 하지만, 통일이 된다고 가정할 경우 [[서울양주고속도로|서울연천고속도로]]가 들어올 예정인데 이렇게 되면 경기도에서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지역은 없어진다. * '''[[과천시]]'''^^★^^[* [[제2경인고속도로]] [[북의왕IC]]. [[북의왕IC]] 문서에서 나와있듯이 애초에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이름과는 달리]] 과천시와 의왕시에 걸쳐있다. 이 외에도 [[과천시]]에 [[용인시]] [[기흥구]] [[동백동]] 부터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까지 연결하려던 동백-신림간 고속도로가 계획되어 있었으나, [[분당신도시]]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이 된 이력이 있다. 결국 이 고속도로는 [[용인시]] 구간만 미완성인 상태로 완공하였다. 자세한 항목은 [[동백죽전대로]] 문서참조.]: 유일한 경기 남부. [* [[북의왕IC]] 일부분이 [[과천시]] [[갈현동]]에 걸쳐있다. 그나마 개통 당시는 고속도로 진출입로가 의왕(포일동)으로만 연결되어 있어서 과천시의 나들목으로 보기는 어려웠으나 2023년 4월 28일부로 연결도로가 개통함에 따라 고속도로가 없는 도시라고 하기는 무리가 있다. 나들목 이름에 과천이 붙지 않았을 뿐이지 [[서세종IC]], [[남세종IC]]와 비슷한 관계이다.] * '''[[동두천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양주IC]]]: '''경기도 최전방''' 라인. * '''[[연천군]]'''[* [[평택파주고속도로]] [[내포IC]]]: '''경기도 최전방''' 라인. [[서울양주고속도로|서울연천고속도로]] 계획이 있다. === [[인천광역시]] ===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하지만, [[중구(인천광역시)|중구]]의 영종도를 제외한 섬에는 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다. * [[동구(인천광역시)|동구]][*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 지상에 설치된 나들목은 없지만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김포~인천 구간 중반부 구간인 인천북항터널이 동구 지역의 지하를 통째로 관통해서 중구 쪽으로 나간다.]: [[인천대로|경인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일반도로로 전환되면서]][* [[가좌IC]]는 동구와 [[서구(인천광역시)|서구]]의 경계지점에서 1km 남짓 떨어져 있기 때문에 [[송림동(인천광역시 동구)|송림동]] 쪽에서는 10분 내, [[송현동(인천광역시 동구)|송현동]] 쪽에서도 길어야 20분 내 고속도로 진입이 가능했다. 그러나 [[인천IC]]부터 [[서인천IC]] 직전까지 구간이 일반도로로 전환되면서 고속도로 진입지점이 멀어졌다.] 조금 더 멀어졌다. 추후 중구의 내륙지역을 편입해 [[제물포구]]로 개편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이 명단에서 빠질지도 모른다. * [[강화군]]: '''섬이다.''' 그나마 육지와 가까워 연륙도로가 있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서김포통진IC]]와 [[대곶IC]]가 가장 가깝다. [[서울강화고속도로]]와 [[서해남북평화도로|영종-강화간 연도교]]가 건설될 예정이다. 다만 영종-강화 간 연도교의 고속도로화 여부는 미정이다. [[강화간성고속도로]]도 장기계획엔 있어 보이지만 이 또한 미정. [[계양강화고속도로]]가 개통하게 된다면 강화군 내부까지 서울방향 고속도로가 들어온다. * '''[[옹진군(인천)|옹진군]]''': '''섬이다.''' 그것도 [[신안군]]처럼 크고 작은 섬들이 엄청 많이 분산돼 있다.[*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공항신도시JC]]. 북도면 신도에서 카페리를 타면 20분 이내로 갈 수 있다. 아울러 2025년 영종-신도 연도교가 개통되면 카페리보다 빠르게 [[공항신도시JC]]로 접근할 수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 === 그동안 강원 지역은 남북축 위주의 도로개발 경향과 남북분단으로 인한 군사적 규제, 탄광의 사양화 등에 맞물려 낙후된 탓에 고속도로가 없는 도시가 상당히 많았다. 점차 개선되고는 있으나 추진속도가 빠르지는 않은 편. * [[철원군]]: '''강원특별자치도 최전방 시리즈 1''', [[포천시|밑동네 포천]] 신북까지 [[세종포천고속도로|들어온 고속도로]]를 연장하려고 혈안이다. 처음에는 구철원([[철원읍]])까지 연장을 꿈꾸었으나 현실을 감안하여 지금은 신철원([[갈말읍]])까지 연장하는 방안에 집중하고 있다. 과거부터 [[중앙고속도로]] 철원 연장도 이야기는 있었지만 두마리 토끼를 다 잡기에는 수요 타당성 문제가 있을테니 남북통일이 더 빠를지도... * [[화천군]]: '''강원특별자치도 최전방 시리즈 2''', [[강화간성고속도로]]나 [[중앙고속도로]] 철원 연장 시 화천군을 통과할 수도 있지만 기약이 없기에 남북통일을 기다려야 될지도... * [[양구군]]: '''강원특별자치도 최전방 시리즈 3''', [[강화간성고속도로]]와 [[영천양구고속도로]]가 계획이 있기는 하지만 역시 기약이 없다. * '''[[고성군(강원도)|고성군]]'''[* [[동해고속도로]] [[속초IC]].]: '''강원특별자치도 최전방 시리즈 4''', [[국토종합계획]]에 [[동해고속도로]]가 포함되어 있기는 한데... 고성군에서는 동해고속도로 간성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http://news.donga.com/3/all/20161127/81549518/1|#1]] 그나마 동해고속도로가 속초까지라도 연장되어서 사정이 나아졌다고 봐야 하며, [[속초IC]]에서 500m 정도 떨어진 곳에 [[토성면]]이 접한다. 속초고성고속도로 사업을 위한 설계비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를 통과했다.[[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604311|#2]] [[강화간성고속도로]]는 진척이 없는 상태. * '''[[정선군]]''': 계획 상으로는 제천삼척고속도로가 남부를 지나갈 수도 있고, 영천양구고속도로가 계획이 있긴 하지만 모두 지지부진하다. 다만 도로 인프라가 평창 동계 올림픽으로 상당히 발전되어 30분내에 영동고속도로와 접하게 된다. 시내를 관통하는 [[42번 국도]]가 그 예. 또한 [[38번 국도]] 역시 관내를 통과하여 [[평택제천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와의 접근성도 준수한 편. * [[태백시]]: 강원 지역에서 유일하게 고속도로가 없는 '''시'''. 탄광도시로 흥할 때에는 금방 고속도로가 생길 뻔하였으나 [[망했어요]]…. 향후 [[평택제천고속도로|제천삼척고속도로]]가 건설될 때 [[태백시]] 북부를 통과할 가능성이 열렸다. 물론 그게 언제인지도 불명이고, 만일 동해시를 경유하는 안이 나오게 되면 태백시를 경유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 '''[[영월군]]'''[* [[중앙고속도로]] [[신림IC]], [[제천IC]], [[남제천IC]].] : 그나마 제천과 가까운게 위안거리. [[평택제천고속도로|제천삼척고속도로]]가 [[국토교통부]]의 고속도로 건설 5개년 계획에 반영되었다. === [[충청남도]] === * '''[[태안군]]'''[* [[서해안고속도로]] [[서산IC]], [[해미IC]], [[대천IC]].]: 충남에서 유일하게 고속도로가 없는 지역. 서쪽으로 툭 튀어나온 지리적 한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서산시|옆동네]]로 스쳐 지나가버렸다. 고속도로 추진 노력은 오래전부터 하고 있었지만[[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709587|#]]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194913|#]]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가 2023년 들어서야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12161341279290922|서산~태안 고속도로]] 사업에 대한 사전 타당성 평가 단계에 진입한 상태이다. === [[충청북도]] === * '''[[증평군]]''': 충북에서 유일하게 고속도로가 없는 지역. [[증평IC]]가 있고 증평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것도 맞지만 소재지는 [[청주시]]이고 톨게이트 입구도 청주시와 [[진천군]]의 사이에 있다. 그래도 고속도로가 없는 것이 그렇게까지 체감되지는 않는 수준. 증평군은 당진-증평-울진간 고속도로를 구축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중.[[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252213|#]] === [[부산광역시]] === 자동차전용도로가 많아서 고속도로도 많이 지나갈거 같지만, 의외로 서울처럼 교외에만 있다. [[금정구]]에 경부고속도로 시점이 존재하며, [[북구(부산)|북구]], [[사상구]], [[강서구(부산)|강서구]]로 [[남해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이 지나간다. 그리고, [[해운대구]], [[기장군]]으로 [[동해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부산]]의 경우 [[도시고속도로]]가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와 직결되어 대부분 지역이 20분 이내로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번영로(부산)|번영로]]는 [[경부고속도로]]에서 갈라져 [[금정구]], [[동래구]], [[해운대구]], [[연제구]], [[수영구]], [[남구(부산)|남구]], [[동구(부산)|동구]]([[충장고가로]]와 직결)를 이어주고, [[동서고가로]]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직결되어 [[사상구]], [[부산진구]], [[남구(부산)|남구]]([[우암고가로]]와 직결)를 이어주고, [[관문대로]]의 경우 [[중앙고속도로]]와 직결되어 [[백양터널]]과 [[수정터널]]을 거쳐 [[사상구]], [[부산진구]], [[동구(부산)|동구]]를 이어준다. [[부산]] [[도시고속도로]]의 종점은 대부분 [[부산항]] 쪽에 있으며, 그렇지 않은 [[강변대로(부산)|강변대로]]와 [[서낙동로]] 또한 각각 다대포항 및 감천항과 부산신항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중구(부산)|중구]], [[동구(부산)|동구]], [[서구(부산)|서구]]는 사실상 한 권역이고, 이들 구와 [[영도구]]는 [[관문대로]]와 [[번영로(부산)|번영로]]를 이용하면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남구(부산)|남구]]와 [[부산진구]]는 [[동서고가로]], [[동래구]], [[연제구]]는 [[번영로(부산)|번영로]]나 [[만덕터널]]을 이용하면 된다. [[사하구]]는 [[강변대로(부산)|강변대로]]를 이용하면 된다.][* [[백양터널]], [[수정산터널]], [[광안대교]]의 톨게이트 시설을 뜯어고친 이유가 이 때문이다. 이들 도로가 고속도로와 직결돼 있거나 간접연결돼 있기 때문에, 톨게이트 시설을 고속도로 쪽에 맞췄다. 하이패스차로를 먼저 설치했고, 일반차로에서도 하이패스카드로 요금을 지불할 수 있게 시설을 바꿨다.] * '''[[중구(부산)|중구]]'''[* 남해제2고속도로지선 사상IC.]: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지역인데다가 지형 자체도 항구도시에 최적화되어 있다. * '''[[동구(부산)|동구]]'''^^★^^[* 중앙고속도로 삼락IC.] * '''[[서구(부산)|서구]]'''[* 남해제2고속도로지선 사상IC.] * '''[[남구(부산)|남구]]'''^^★^^[* 동해고속도로(부산-울산) 종점을 지나 광안대교를 이용하면 된다.] * '''[[동래구]]'''^^★^^[* 경부고속도로 구서IC, 남해고속도로 덕천IC.]: [[경부고속도로]]가 처음 개통했을 때에는 동래구에 속했으나, 1988년 금정구의 분구 이후 사라졌다. * '''[[연제구]]'''[* 남해제2고속도로지선 사상IC, 남해고속도로 덕천IC.] * '''[[부산진구]]'''^^★^^[* 남해제2고속도로지선 사상IC.]: [[남해고속도로]]가 처음 개통했을 때에는 부산진구에 속했으나, 1978년 북구의 분구로 인해 현재의 부산진구에는 없게 되었다. * '''[[사하구]]'''[* 남해제2고속도로지선 사상IC.] * '''[[수영구]]'''^^★^^[* 부산울산고속도로 종점을 지나 수영교 통과.] * [[영도구]]^^★^^: '''섬'''이다. 작은 섬에 있을건(심지어 [[한국해양대학교|국립대]] [[고신대학교|사립대]]도 있다.) 다 있는데 고속도로와 철도는 없다.[* 영도구 영선동, 남항동, 대평동, 대교동의 경우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사상IC까지 30분 내에 진입이 가능하나, 그것도 남포동 일대의 교통체증이 없어야하며, 그 이외 지역에는 어느 고속도로에도 30분내 진입이 불가능하다. 물론 청학동에서는 동해고속도로 해운대IC에 30분 내 진입이 가능하기는 하다.] === [[대구광역시]] === [[경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새만금포항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상주영천고속도로]]가 지나간다. * '''[[중구(대구)|중구]]'''^^★^^[* [[중앙고속도로]] [[동대구IC]],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남대구IC]].] * '''[[남구(대구)|남구]]'''^^★^^[*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남대구IC]].]: 1981년부터 1987년까지는 구마고속도로(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가 남구에 속했으나, 1988년에 [[달서구]]로 분리되었다. === [[울산광역시]] === [[경부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지나간다. * '''[[중구(울산)|중구]]''': [[동해고속도로]] 포항-울산 구간이 지나가기는 하지만, 나들목은 없다. 울산고속도로 종점이 그나마 가깝다. * [[동구(울산)|동구]] * [[북구(울산)|북구]]: 중구와 마찬가지로 동해고속도로 포항-울산 구간이 지나가기는 하지만, 나들목은 없다.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계획에 있다. === [[경상북도]] === * '''[[봉화군]]'''[* 중앙고속도로 [[영주IC]], [[풍기IC]].]: 봉화읍에서 [[36번 국도]]를 이용해 인근 영주에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영천양구고속도로]]가 계획이 있기는 하지만 기약이 없다. * '''[[영양군]]'''[*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IC]], [[동청송영양IC]].]: 제대로 된 신호등도 4차선 도로도 없는데 고속도로가 있을리가 없다. [[서산영덕고속도로]]가 바로 옆 청송으로 스쳐지나가 버렸고 나들목 이름이나마 [[동청송영양IC]]을 병기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영양군/행정|입암면, 석보면을 제외한 다른 읍면]]들은 고속도로 접근성이 만만치는 않다. 영천양구고속도로가 계획이 있기는 하지만 기약이 없다. * '''[[울진군]]''' [* [[동해고속도로]] [[근덕IC]], [[서산영덕고속도로]] [[영덕IC]].]: 추후 [[동해고속도로]] 북부와 남부를 연결하는 구간이 개통된다면 자연스레 이 곳에도 들어오겠지만, 지금은 윗동네 [[근덕IC]]와 아랫동네 [[영덕IC]]에 발끝만 걸치고 있다. * [[울릉군]]: 섬. 그것도 저 멀리 [[독도]]를 관할하는 지역이다. [[울릉도]]만 두고 보더라도 섬 내 교통망에 고속도로가 필요할리 없고 훨씬 더 큰 [[제주도]]나 [[거제도]]에도 고속도로가 없는데, 당연히 울릉도는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존재하지 않는다. === [[경상남도]] === * '''[[거제시]]''': 섬. [[통영대전고속도로]]를 통영에서 탈 수는 있는데, 그래도 국가교통망 고시에서 거제까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다만, [[통영IC]]에서 [[남해안대로]]를 이용하면 5분 내로 거제시계에 닿는다. [[거가대교]]를 거쳐 [[가락IC]]로 들어간다면 40분이 걸린다. * '''[[남해군]]''': 섬. [[하동IC]]에서 남해군 고현면까지 [[19번 국도]] 확장공사 및 [[노량대교]] 건설공사가 완료되었다. 그 외에도 어느 방향에서 오가느냐에 따라 [[사천IC]], [[진교IC]]도 [[남해고속도로]]와 남해군을 잇는 길목 역할을 한다.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4670|사천시 대선공약 건의사항 확정(부산-창원-고성-사천-남해-여수-고흥을 잇는 남해안 제 2고속국도 건설)]] * '''[[의령군]]''': 추후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지나갈 예정이다. 의령읍 기준으로는 [[함안군]]의 [[군북IC]]가 10분 거리에 위치할 정도로 가깝다. === [[광주광역시]] === 북쪽으로 [[호남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서쪽에 [[무안광주고속도로]]의 종점이 있다. [[고창담양고속도로]]는 광주를 지나가지만, 나들목은 광주에 없다.[* [[북광주IC]]은 [[담양군]]에 있다.] [[광산구]] 소재의 [[광산IC]]를 제외한 모든 나들목이 [[북구(광주)|북구]]에 있다. * '''[[동구(광주)|동구]]'''^^★^^: 제2순환로를 통해 호남고속도로와 연결이 된다. 교차로는 문흥분기점. [[동광주IC]]는 개통 당시에는 동구였으며, [[용봉IC]]는 동구(오치동)와 서구(용봉동)에 걸쳐 있었다. * '''[[서구(광주)|서구]]'''^^★^^: 제2순환로와 빛고을대로를 통해 호남고속도로(산월IC)와, 무진대로를 통해 무안광주고속도로와 연결된다(운수IC). [[서광주IC]]는 개통 당시에는 서구였다. * '''[[남구(광주)|남구]]'''^^★^^: 제2순환로를 통해 호남고속도로와 연결이 된다. 교차로는 문흥분기점 === [[전라남도]] === * '''[[목포시]]''': 사실 이 경우는 [[서울특별시|서울]]과 [[인천광역시|인천]] 등지처럼 고속국도 지정해제에 따라 등재된 특별한 경우이다. 한때는 [[서해안고속도로]]의 시점이 시 [[목포IC]]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무영대교]] 개통과 동시에 고속도로 시점이 [[죽림JC]]으로 단축되었기 때문이다. 단순히 고속도로 지정해제만 되었을 뿐 기존의 도로가 사라진 것이 아닌 만큼 실질적으로는 고속도로의 접근성이 사라졌다고 볼 수는 없다. * '''[[여수시]]''': [[순천완주고속도로]]가 여수까지 연장되는 줄 알았으나 아니었다. 대신 연계인프라인 [[17번 국도]]가 고속화도로로 잘 닦여있어 타 지역보다 접근성 불편은 적은 편이다. 2022년 지방 [[https://www.news1.kr/articles/?4742610|민선8기]]에 들어 지역정치권을 중심으로 '''[[호남고속도로]] [[http://www.n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7902|여수연장]]'''을 전남도에 요청했고, 지역 숙원사업으로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5030700054|추진]]될 모양이다. 여담으로 일부 순천 시민들은 여수는 고속도로 필요없는 도시고 순천은 필요해서 그렇다! 라는 궤변을 늘어놓기도 하는데, 여수 - 순천 간 고속화도로가 유료가 되는 것보다 자동차전용도로[* 덕분에 순천 연향~신대지구로 인구유입에 도움되는 꼴이 되어 여수와 순천인구 순위가 뒤바뀌어 원망하고 이를 가는 일부분 여수시민도 있다.]로 개통하는게 나으니 그렇게 된 것이다. 두 도시간 교통이동이 많기 때문에 [[863번 지방도]]를 4차선으로 확장 & 풍덕동방향 접근성 개선하자는 예기도 조차 없이 양측 시민들을 배려한 것. [youtube(Z1XZ0iKDFoE)] [youtube(UCVdrgvvVS8)] * [[완도군]]: '''섬이다.''' [[강진광주고속도로]] 2단계 강진 - 완도 구간이 계획 중이긴 하지만 계획상에서는 [[해남군]] 북평면에서 끝나기 때문에 아직 모른다. * '''[[신안군]]''': 대부분이 '''섬이다.''' 일단 신안군청이 소재한 압해읍은 [[서해안고속도로]] [[죽림JC]] 또는 [[무안광주고속도로]] [[무안공항IC]]와 자동차로 20분이면 접근이 가능하긴 하다. 다만 지도읍은 [[북무안IC]]에서 40분 정도는 가야 나온다. 즉 지역마다 편차가 크다. * '''[[해남군]]''': [[강진광주고속도로]]가 2026년에 개통 예정이고, 현재는 [[남해고속도로]] [[강진무위사IC]]와 그나마 가깝다. * [[진도군]]: '''섬이다.''' 2000년대, [[서해안고속도로]]의 진도연장이 추진되었지만 [[77번 국도]]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선하게 됨으로서 사실상 무산이 되었지만 인구소멸 위기지역에 포함되어 있어 지역의 존망이 풍전등화에 걸린 만큼 진도군의 민선 7기에 들어서야[[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03579|재추진]]을 하기 시작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2738587|#]] * [[화순군]]: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계획 중이다. 남북축 노선방향으로는 한때 [[광주광역시|광주]]~[[고흥군|고흥]] 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되었지만 [[27번 국도]]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선하게 되어 사실상 물거품이 되었지만 최근 민선7기에 들어서면서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219726|광주~고흥 우주센터간 고속도로 사업을 재추진]]에 들어가기 시작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2738587|#]] ===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없다. 심지어 [[국도]]도 없다. [[지방도]]와 [[국가지원지방도]] 뿐. 사실 국도의 경우 2006년에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기존의 국도를 제주특별자치도 관할의 지방도로 변경하게 된 것이다. 이는 5개 노선, 총 연장 453km에 해당한다. 그런데 제주도에서 도로 관리에 부담을 느끼면서 옛 국도들을 다시 국토부 관리로 환원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에서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그중 [[1135번 지방도]]의 일부 구간(서광2교차로~무수천사가로)은 중간에 횡단보도와 신호가 없는 [[고속화도로]]로 운영중이긴 하다. == 관련 문서 == *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 * [[고속도로/대한민국]] * [[고속도로]]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