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출발 고속버스)] [include(틀:대구광역시 고속버스)] || [[파일:20230604_175957.jpg|width=100%]] || || || [목차] == 노선 정보 == ||<-6><:><#737373> {{{#ffffff 고속버스 동대구↔부산}}}|| ||<:>노선||<-2><:>[[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2><:>[[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노포동|노포동]]([[부산종합버스터미널]])|| ||<|2><:>부산행[br](하행)||<:>첫차||<:>06:40||<|2><:>동대구행[br](상행)||<:>첫차||<:>06:30|| ||<:>막차||<:>22:10||<:>막차||<:>22:30|| ||<-2><:>배차간격||<-4><:>1일 24회|| ||<-2><:>인가대수||<-4><:>7대[* 한일 3대, 중앙, 천일 2대]|| ||<-2><:>운수사명||<-4><:>[[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2><:>노선|| 평시 ||<-4><:>[[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용계역]] ↔ [[동대구IC]] ↔ [[중앙고속도로]] ↔ [[대동JC]]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JC]] ↔ [[경부고속도로]] ↔ [[노포IC]]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 심야 ||<-4><:>[[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용계역]] ↔ [[동대구IC]] ↔ [[중앙고속도로]] ↔ [[대감JC]]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 [[노포JC]] ↔ [[경부고속도로]] → [[부산TG]] → [[구서IC]] → [[두실역]]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개요 == [[대구광역시]]와 [[부산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 특징 == * 본래 [[동양고속]]이 배차했으나, 2023년 7월 14일 [[고속버스 포항-광주|포항 ↔ 광주]] 노선의 배차를 맞교환해 동양고속이 포항 ↔ 광주노선을 단독 배차하고 이 노선은 [[한일고속]]이 배차한다. * 동양고속은 한진고속을 인수한 후 배차에 참여 중이다. * [[대구부산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빠르게 대구와 부산을 이어준다. * 단거리 노선이라 [[고속도로 휴게소|휴게소]] 휴식 없이 논스톱으로 운행한다. 운행시간은 교통 체증이 없다면 대략 1시간 내외로 소요된다. * 2015년 6월 15일부터 [[동대구IC]] 진입 전에 [[용계역]]매표소 중간 승차가 인가됐다. * 막차 시간대에 도착하는 차량은 [[노포IC]] 대신 [[부산TG]]와 [[구서IC]]를 찍고 [[두실역]]에서 중간 하차한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부산 시내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부산 시내로의 접근이 더디고, 택시비도 더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의 위치와 [[경부선]] 철도의 존재로 운행 횟수가 적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 시간 이후에는 [[동대구역]]으로 가야 한다. * 완행고속버스가 활발이 운행된 과거에 부산에서 동대구까지 경부고속도로상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던 완행 노선이 존재했는데, 본래 천일고속에서 운행하다가 2002년 성남고속으로 넘어가다가 2006년 [[아성고속]], [[천마고속]]으로 넘어갔다. 2017년 10월 21일부터 [[경주고속버스터미널]]을 경계로 부산 - 경주, 경주 - 동대구로 분할되면서 1일 2회로 감축되었으나, 이용객이 여전히 저조하여 결국 2018년 1월 18일 완전히 폐지되었다. *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청룡노포동|위치가 위치인지라]], 평소에는 매진이 거의 없다. 다만 주말과 공휴일에는 보통 만석을 채우며, [[부산불꽃축제]] 기간 등에는 전 시간대 매진이 뜨는 경우가 많다. * 시간표를 보면 회사별로 6편도(3왕복) ~ 7편도(3.5왕복)으로 운행하는 편이다. == 요금 == || || 일반 || 우등 || 심야우등 || || 성인 || 7,500원 || 11,000원 || 12,100원 || || 아동 || 3,800원 || 5,500원 || 6,100원 || 현재는 의미없는 얘기지만 코로나 이전까지는 인근 울산에 비해 거리도 거 가까움에도 상대적으로 요금이 비쌌던 시절이 있었다. 울산-대구행의 경우 일반버스가 절대다수였던 반면 부산행은 절대다수가 우등이었기 때문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용계역]]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두실역]](심야 시간대), [[노포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고속버스 동대구]][[분류:고속버스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