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고속버스)] [include(틀:진주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737373> {{{#ffffff 고속버스 동대구 ↔ 진주}}}|| ||<:>노선||<-2><:>[[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2><:>[[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진주고속버스터미널]])|| ||<|2><:>진주행[br](하행)||<:>첫차||<:>06:20||<|2><:>동대구행[br](상행)||<:>첫차||<-2><:>06:20|| ||<:>막차||<:>20:30||<:>막차||<:>20:30|| ||<-3><:>배차간격||<-3><:>일 15회 || ||<-3><:>운수사명||<-3><:>[[중앙고속]], [[천일고속]] || ||<-2><:>노선||<-4><:>[[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신천대로 ↔ [[서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현풍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칠원JC]] ↔ [[남해고속도로]] ↔ [[진주IC]] ↔ [[개양정류장]] ↔ [[진주고속버스터미널]] || == 개요 == [[대구광역시]]와 [[경상남도]] [[진주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중앙고속]], [[천일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 특징 == * [[진주성]]이나 [[촉석루]]방면으로 갈 승객들은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대구서부 ↔ 진주(시외)]]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 ~~소요시간 및 우등 요금도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대구서부 ↔ 진주(시외)]] 노선이 더 싸다. 당연할 수밖에 없는 게 [[서부정류장]] 발차는 [[서부정류장역|성당네거리]]에서 [[남대구IC]]로 직진해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을 타지만, 동대구 발차는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를 따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에서 중간 승차하고 [[서대구IC]]로 진입하기 때문에 요금과 시간이 더 걸릴 수밖에 없다.~~ 우등고속 기준으로 대구서부-진주 노선이 300원 더 비싸다. 시외노선 쪽이 후술한 대로 33번 국도를 이용하는 관계로 국도임율을 적용한 것으로 추정. 게다가 시외노선은 [[고령IC]]에서 빠져서 [[33번 국도]]를 타고 가기 때문에 더 빠르기도 하다. 심지어 합천을 경유해도 더 빠르다. 또한 [[교통 체증|교통정체]]가 예상된다면 [[KTX]]로 가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 2020년대 들어 요금이 인상되면서 비슷한 구간 KTX와 요금이 거의 비슷해졌다. 동대구-진주 우등고속 15,600원, KTX 16,300원으로 불과 '''700원'''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KTX가 밀양으로 돌아가긴 해도 버스보다는 빠른데, 1시간 35분 정도 소요되어 여전히 버스보다 30분 가량 빠르다. 버스의 장점은 서대구 쪽과[* 서대구역-진주역은 1일 2~3회밖에 없으며 서대구에서 동대구까지 가는 것도 일이고, 서대구-진주고속은 빠르면 1시간 45분 컷하기도 한다.] 진주시내 접근성이 좋다는 거밖에 없으나, 시간 잘 맞춰 일반고속 시간을 타면 동대구-진주 10,100원으로 6200원을 아낄 수 있다. * [[경전선]] 철도의 존재로 운행 횟수가 많지 않고 막차도 이르다. 따라서 막차시간 이후에는 [[동대구역]]으로 가야 한다. * [[내서JC]]에서 유일하게 마산 방면으로 가지 않고 진주 방면으로 좌측으로 가는 노선이다. * 상당한 굴곡 노선이다. 진주를 출발해서 대구, 강원도 쪽으로 갈 경우 전구간 왕복 4차선의 [[33번 국도]]를 이용하여 [[합천군|합천]] 쪽으로 지난 뒤 [[고령IC]]에서 고속도로에 진입하면 빨리 갈 수 있지만 개양정류소 경유 때문에 기존 경로로 이동하고 있다. 하지만 개양정류소 경유는 표면적 이유고[*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경쟁 노선]]도 개양과 과기대를 경유해 간다.], 합천 쪽으로 노선을 변경할 경우 고속버스 요건 상실이 되어 [[전환시외]]가 될 수 있어, 고속면허 유지를 위해 선형이 나쁜 중부내륙고속도로 쪽으로 빙 둘러서 간다는 이야기까지 있다.[* 다른방법으로 [[광주대구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를 이용할수있겠지만 지도로만 봐도 심각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결국 창녕을 경유해 이렇게 간다는 뜻] 이로 인해 아예 정식 인가를 합천 쪽으로 가도록 한 [[시외버스 대구서부-진주|경쟁 노선]]에 비해 밀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다만, 시외 노선도 도동 이후 곧바로 터미널로 안가고 개양과 과기대를 거쳐 진주시내 한바퀴 투어를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굴곡이 있는건 동일한 데다가 진주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개양정류장으로 이전되어 통합될 예정이라 통합되면 이 때는 굴곡 노선에서 어느 정도 탈출하게 된다. 다만 경쟁 노선도 바로 하대동으로 직진해서 올 수 있으므로 여전히 경쟁력이 떨어지는 건 감안해야 한다.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또한, [[진주혁신도시 정류소|혁신도시]]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만평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고속버스 동대구]][[분류:고속버스 동대구]][[분류:진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