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737373> {{{#ffffff 고속버스 동서울↔동광양}}} || ||<-2> 기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동서울터미널]]) ||<-2> 종점 || [[전라남도]] [[광양시]] 중동 ([[중마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10 || 막차 || 22:10 || ||<-3> 배차간격 ||<-3> 1일 1회 || ||<-3> 운수사명 ||<-3> [[금호고속]], [[한일고속]], --[[천일고속]]-- || ||<-2> 노선 ||<-4> [[동서울터미널]] ↔ (→ [[강변북로|{{{#bbb 강변북로}}}]] → [[성수대교|{{{#bbb 성수대교}}}]] → [[올림픽대로|{{{#bbb 올림픽대로}}}]] →/← [[강변북로|{{{#bbb 강변북로}}}]] ← [[한남대교|{{{#bbb 한남대교}}}]] ←) ↔ [[한남IC|{{{#bbb 한남IC}}}]]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천안JC|{{{#bbb 천안JC}}}]] ↔ [[논산천안고속도로|{{{#bbb 논산천안고속도로}}}]] ↔ [[정안알밤휴게소]] ↔ [[논산JC|{{{#bbb 논산JC}}}]] ↔ [[호남고속도로|{{{#bbb 호남고속도로}}}]] ↔ [[익산JC|{{{#bbb 익산JC}}}]] ↔ [[새만금포항고속도로|{{{#bbb 새만금포항고속도로}}}]] ↔ [[완주JC|{{{#bbb 완주JC}}}]] ↔ [[순천완주고속도로|{{{#bbb 순천완주고속도로}}}]] ↔ [[순천JC|{{{#bbb 순천JC}}}]] ↔ [[남해고속도로|{{{#bbb 남해고속도로}}}]] ↔ [[광양IC|{{{#bbb 광양IC}}}]] ↔ [[광양터미널|{{{#bbb 광양터미널}}}]] ↔ [[58번 지방도|{{{#bbb 58번 지방도}}}]] ↔ [[백운로(광양)|{{{#bbb 백운로}}}]] ↔ [[중마버스터미널]] || == 개요 == 동서울터미널과 중마동터미널을 잇는 고속버스 노선으로, [[금호고속]], [[한일고속]]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 역사 == * 1994년 3월 11일에 개통되었다. * 개통 이후 [[중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로 주행하였다. * 그 이후 2001년부터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 후 호남고속도로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경로를 변경하였다. * [[한진고속]]도 공동 배차해 왔으나, 2006년에 동양고속으로 넘어가면서 동양고속의 배차 분으로 모두 흡수됐다. * 이후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경로가 변경되어 통영대전고속도로로 주행하지 않게 되었으며, 그와 함께 정안알밤휴게소에서 환승 정차가 이루어졌다. * 2022년 1월 24일 부로 [[동양고속]] 운행분을 [[금호고속]]이 넘겨 받았다. * 2022년 4월 1일부로 [[중앙고속]]이 철수한다. == 특징 == *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 호남권의 서울방면 고속노선을 운행하는 도시들 중에서, 특이하게도 광양은 거의 유일하게 [[센트럴시티]]행 노선이 아니라 동서울행만 오랜 기간 동안 운행해 왔다.[* 원래 호남고속도로를 경유하여 광양→동광양으로 운행하다가, 통영대전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반대로 운행하다가,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후 원래대로 환원되었다. 호남고속도로로 운행 당시 5시간 30분 걸리던 것에 비하면 4시간대 초반으로 주파하는 지금은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통영대전고속도로 경유 당시에는 영남 지방을 거쳐 호남 지방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 호남 지방으로 가는 유일한 경부선 노선이었던 셈이다.] 과거에는 매진에 주말 임시차가 수시로 배차되는 알짜 노선이었으나, [[서울남부터미널]]로 가는 노선이 개통되고 알음알음 횟수가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동서울 노선의 수요가 감소했다. 결정적으로 2017년 12월 07일 부로 서울남부행 노선이 [[센트럴시티]]로 기점을 이전하고 [[정안알밤휴게소]] 환승이 가능해지면서, 현재의 동서울 - 동광양 노선은 그다지 이익이 나는 노선은 아닌 상황이다.[* 옆동네의 [[시외버스 서울남부-남해]] 노선은 역으로 굴곡노선으로 비판받고 있다. [[진교시외버스터미널|진교]] 경유로 인해 [[통영대전고속도로]] 쪽으로 빙 둘러가고 있으며, 남해 ↔ 서울남부 기준으로 순천완주선으로 직선화를 시킬 경우 10 km 가까이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남해 단독으로는 수요가 나지 않는데다 진교 수요 또한 무시할 수 없다.] * 기사의 재량에 따라, [[경부간선도로|고속국도1호]] 대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판교JC]]의 경로로 우회하는 경우도 있다. * [[설날]] 및 [[추석]]의 특송 기간 동안 교통 상황에 따라 논산천안고속도로 대신 [[호남고속도로지선]]으로 우회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옛날 경로인 [[통영대전고속도로]] 쪽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 * 동서울에서 정안알밤휴게소까지의 루트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강변북로를 타고 한남대교까지 가서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천안까지 가는 경우도 있고, R1309/R1312번을 따라가는 경우도 있다. * 2020년 02월 07일 ~ 2020년 03월 24일까지 사매2터널 추돌사고로 상행선 한정으로 [[서남원IC]]-[[17번 국도]]-[[오수IC]]로 우회하였다. * 현재 천일고속은 결행 중이고 금호고속 한일고속은 격주[* 금요일에 운행회사가 변경된다. 즉 금호고속이 운행하고 다음주 금요일부터 1주일 동안 한일고속이 운행한다.]로 1일 1회 밖에 운행을 하지 않는다. 센트럴시티발 동광양행이 꾸준히 운행되는 것을 보면 사실상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셈. 그런고로 시간이 맞지 않을 경우 [[센트럴시티터미널|서울호남]]이나 [[순천종합버스터미널|순천]]에서 환승해야 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분류:고속버스 동서울]][[분류:199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