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파일:금호고속금산.jpg]]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고속버스 서울경부 - 금산}}}|| ||<-2><:>기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2><:>종점||<:>[[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금산종합버스터미널]])|| ||<|2><:>종점행||<:>첫차||<:>06:30||<|2><:>기점행||<:>첫차||<:>06:30|| ||<:>막차||<:>18:40||<:>막차||<:>18:30|| ||<-2><:>배차간격||<-4><:>1일 8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의 여파로 현재는 1일 4회 운행 중. 금~일 한정 6회]|| ||<-2><:>운수사명||<-4><:> [[금호고속]], [[삼화고속]] || ||<-2><:>노선||<-4><:>[[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반포IC|{{{#bbb 반포IC}}}]] ↔ [[서울TG|{{{#bbb 서울TG}}}]] ↔ [[경부고속도로|{{{#bbb 경부고속도로}}}]] ↔ [[비룡JC|{{{#bbb 비룡JC}}}]] ↔ [[통영대전고속도로|{{{#bbb 통영대전고속도로}}}]] ↔ [[추부IC|{{{#bbb 추부IC}}}]] ↔ 마전리 ↔ [[37번 국도|{{{#bbb 37번 국도}}}]] ↔ [[13번 국도|{{{#bbb 13번 국도}}}]] ↔ [[금산종합버스터미널]][* 마전리 하차승객이 없다면 [[추부IC]] 진출 후 로터리에서 동네로 들어가는 대신 곧바로 [[37번 국도]]로 진입한다.] || == 개요 ==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금산군]]을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산군]]은 원래 [[전라북도]] 지역이었다가 [[충청남도]]로 넘어왔고, 영남권과 교류가 '''전혀''' 없었던 지역이었다. 지금도 [[대전 버스 34|대전광역시에서 금산군을 거쳐 완주군의 전북 - 충남 도경계까지 다니는 외곽버스가 있다]]. [[금산군]]의 지리적 위치상으로는 [[센트럴시티]](서울호남)가 기점이 되어야 맞다고 생각할수 있지만, 과거에는 해당 노선이 [[37번 국도]]와 [[경부고속도로]] [[옥천 나들목]]을 경유해 운행했고, 현재도 경부고속도로와 [[통영대전고속도로]]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경부선터미널]]에서 취급한다.] [[금호고속]], [[삼화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코버스 전산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으나, 양방향 모두 추부면 마전리([[중부대학교]])를 경유한다.[* [[금산종합버스터미널|금산]] ↔ 마전리 간 구간승차 불가. 이 구간은 [[시외버스 대전복합-금산|금산 ↔ 대전복합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행은 매표소([[CU]] [[편의점]]) 앞에서 승차, [[금산종합버스터미널|금산]]행은 추부터미널([[대전 버스 501|대전 501번]] 마전리종점) 인근 골목에서 하차한다.] == 특징 == * 1979년 6월 7일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906080020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6-08&officeId=00020&pageNo=7&printNo=17744&publishType=00020|개통]]되었으며, 이 당시에는 [[37번 국도]]를 [[옥천IC]]까지 이용하여 [[경부고속도로]]로 진입하는 노선이었으며 2000년 12월부터 [[추부IC]]를 통해 [[통영대전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 [[고속버스 서울호남-서산|서울 ↔ 서산]] 노선과 마찬가지로 철도교통이 하나도 없는 금산군민들의 서울로 향하는, 사실상 유일한 발이 되는 노선이다. 하지만 1일 8회만 운행하고 [[금산종합버스터미널|금산]]발 막차도 다소 이른 편이라 만약 이 막차가 끊긴다면 [[시외버스 대전복합-금산|대전행 시외버스]]를 이용하여 환승해야 하며, 이마저도 밤 9시 30분 이후에는 끊기므로 그땐 택시로 대전까지 가서(...) 심야버스를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아니면 터미널 앞에서 추부까지 금산 택시를 이용한 후 마전 종점에서 밤 10시 30분에 출발하는 501번 막차를 타고 대전 복합터미널로 가면 된다. 이차마저 놓쳤다면 어쩔 수 없이 대전복합터미널까지 택시를 탈 수 밖에. * [[금호고속]]과 [[삼화고속]] 모두 고정 차량을 투입하여 한 차당 2왕복을 뛴다.[* 예컨대 금호고속 우등은 [[금산종합버스터미널|금산]]에서는 8시, 15시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에서는 11시 30분, 18시 40분에 출발한다.] * [[금호고속]]은 [[금산종합버스터미널|금산]]에서, [[삼화고속]]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에서 주박[* [[삼화고속]]은 서울, 인천 또는 수도권 거주 기사들이 운행하지만, [[금호고속]]은 [[금산군]] 거주 기사들이 운행한다.]한 후 다음날 일반-우등 순으로 운행한다. * 서울과 충청도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중 운행 거리가 가장 길다. 때문에 서울경부발 충청도행 고속버스 노선들 중 유일하게 휴게소에 정차한다. * 삼화고속 노선 중 유일하게 일반 차량이 정규 투입된다.[* [[고속버스 인천-대전복합|인천 ↔ 대전복합]], [[고속버스 인천-전주|전주]] 및 [[고속버스 천안-광주|천안 ↔ 광주]] 노선은 일반 시간대에 우등 차량이 투입되고, 나머지 노선은 우등 및 프리미엄 차량만 투입된다. 일반 차량이 투입될경우 100% 정비 및 임시차이다.] === 운임표 === || || 일반 || 우등 || || 성인 || 14,000원 || 20,400원 || || 아동 || 7,000원 || 10,200원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분류:고속버스 서울경부]][[분류:1979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