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include(틀:대구광역시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dgeb-unn.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dgeb-unp.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고속버스 서울경부↔동대구(서대구 경유)}}}|| ||<-2><:>기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2><:>종점||<:>[[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5:00[* 월, 토요일 한정 운행이고, 서대구 미경유.]/06:00|| ||<:>막차||<:>01:30||<:>막차||<:>01:30|| ||<-3><:>배차간격||<-3><:>30~60분|| ||<-2><:>운수사명||<:> [[금호고속]][*2 최근에는 우등고속도 투입중이다.], [[중앙고속]], [[동양고속]], [[한일고속]], [[천일고속]], [[삼화고속]][* 프리미엄 1대 고정 투입으로 배차 대폭 감소.] ||<-2><:>인가대수||<:>46대[* 금호 8대, 동양 18대, 삼화 3대, 한일 6대, 중앙 7대, 천일 4대, 한시적 감회운행중.]|| ||<-2><:>노선||<-4><:>[[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신갈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선산휴게소]] ↔ [[김천JC]] ↔ [[경부고속도로]] ↔ [[금호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서대구IC]] ↔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6><:>{{{#ffffff 고속버스 서울경부↔동대구(대구혁신도시 경유)}}}|| ||<-2><:>기점||<:>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서울고속버스터미널)||<-2><:>종점||<:>[[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2><:>종점행||<:>첫차||<:>10:50||<|2><:>기점행||<:>첫차||<:>10:50|| ||<:>막차||<:>17:40||<:>막차||<:>17:40|| ||<-3><:>배차간격||<-3><:>1일 2회|| ||<-2><:>운수사명||<:>[[금호고속]], [[동양고속]], [[한일고속]], [[천일고속]]||<-2><:>인가대수||<:>4대[* 회사별로 1대씩 투입한다.]|| ||<-2><:>노선||<-4><:>[[서울고속버스터미널]] ↔ [[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신갈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선산휴게소]] ↔ [[김천JC]] ↔ [[경부고속도로]] ↔ [[동대구JC]] ↔ [[대구부산고속도로]] ↔ [[동대구IC]] ↔ [[대구혁신고속버스정류소]] ↔ [[화랑로(대구)|화랑로]]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 개요 == [[서울특별시]]와 [[대구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호고속]], [[중앙고속]], [[동양고속]], [[한일고속]], [[천일고속]], [[삼화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 역사 == [[경부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 다음날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70800329207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7-08&officeId=00032&pageNo=7&printNo=7617&publishType=00020|1970년 7월 8일에 개통되었다.]] 대한민국 고속버스 노선들 중 초창기 고속버스 노선이므로, 개통일이 정확히 알려져 있는 노선이다. 1972년에 동대구역 앞 대구한진 터미널이 대구 측 터미널이 됐으며, 1982년에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생기면서 중간 승하차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 지금의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로 이전하였다. 2010년에 [[선산휴게소]]가 [[환승휴게소]]로 지정되었다. [[프리미엄 버스]]는 2017년 6월 30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동양고속]]과 [[삼화고속]] 배차를 제외하면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고 동대구터미널 직통으로 운행하였으나, 수익성 부족과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이용객들의 민원으로 2017년 11월 6일부터 모든 시간대에 서대구를 경유하게 되었다.[* 단, 드물게 서대구터미널 하차 승객이 없다면 바로 동대구터미널로 직행한다.] 당장 이용 승객 절반정도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 이용객들이고, 여기서 만석이 일어난다. 당연히 서대구에서 중간 하차하는 승객들도 많다. 2018년부터는 1일 2회 동구 신서동 [[대구혁신고속버스정류소]]를 경유하는 노선을 개통하였다. 이 편성은 모두 우등고속만 들어가고,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대신 신서동에서 중간 승하차하기 때문에 [[동대구IC]]를 이용하므로 주의할 것. 쉽게 말해 뒤로 돌아서 가는 노선이지만, 신서동으로 가는 승객이 아예 없으면 그냥 서대구 무정차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에서 운행을 마치기도 한다. 신서동 경유편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운휴 중이다. == 특징 == * [[KTX]], [[SRT]]와의 경쟁 속에서도, 여전히 배차간격이 주간 15 ~ 30분, 심야 30분으로 유지 중인 노선이다. [[KTX]] 개통 이전에는 [[고속버스 서울호남-광주|서울-광주]] 노선과 함께 5분배차를 했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빗자루질을 보여준 노선이었으며, 당시 광주행과 함께 가히 고속버스 노선의 제왕이었다. 최근에도 연휴기간이나 대체공휴일이 껴있는 기간동안은 임시차를 대거투입하여 10분 배차를 이뤄낸다. * 소요시간은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까지 3시간 10분[* 거리는 275km],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까지 3시간 30분[* 거리는 282.9km] 소요되고, [[대구혁신고속버스정류소|신서동]] 경유 시간대는 신서동까지 3시간 30분, 동대구까지 3시간 50분이 소요된다.[* 이 노선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에서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까지의 거리가 시간을 정말 많이 잡아먹는 편이다. 그 구간은 시내구간이라 그런 것 같다. 정확히 동대구에서 서대구까지는 기본 15 ~ 30분(거리는 7 ~ 8km) 정도 걸리고 대구/칠곡 경계 지점까지는 20 ~ 30분(거리는 12 ~ 16km) 정도 걸린다. 반면 광주는 [[유스퀘어]]에서 광주/장성 경계 지점까지는 10 ~ 15분(거리는 12km) 걸린다. 거리는 광주(290.8km)보다 더 짧고, 직선거리로 해도 광주보다 30km 더 짧은 편인데 시간은 오히려 대구가 더 걸린다. 왜냐하면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서대구]]를 거쳐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까지의 구간이 고속도로가 아닌 대구 시내도로 구간이라 신호도 자주 막히고, 제한속도도 낮기 때문에 그렇고, 광주는 광주 시내도로 구간이 얼마 안 되고 곧바로 [[동림IC]]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때문에 그렇다. 만약 대구도 광주처럼 곧바로 고속도로를 진입 하고 서대구를 들리지 않고 간다면, 3시간 10 ~ 2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로 광주 노선은 향후 [[산월IC|산월 나들목]] ~ [[광산IC|광산 나들목]] 사이에 중간 승/하차 정류소가 계획되어 있다. 광주 노선의 중간 승/하차 지점은 고속도로에 지어질 예정이며,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은 시내 한복판에 있다.] 무정차는 3시간이 걸린다. 심야시간대에는 서대구를 경유함에도 3시간도 안 걸리기도 했다. * [[선산휴게소]]가 [[환승휴게소]]로 지정되어 있으나, 환승객이 없을 시 [[괴산휴게소]]에서 휴식하는 경우가 꽤 있는 편[* 주로 [[동양고속]], [[중앙고속]] 차량 탑승 시 발생하는 상황. 일부 프리미엄이 괴산에서 쉬기도 한다. [[삼화고속]]도 환승객이 없으면 괴산에서 15분간 휴식한다. 그러나 환승객이 없어서 괴산에서 쉬었다가 알고보니 선산에서 탑승할 환승객이 있어서 휴게소를 두 번 들르게 되는 골때리는 상황도 가끔 일어난다.]이고, 아예 [[경부고속도로]]로만 주행하여 [[금강휴게소]]나 [[추풍령휴게소]]에서 쉬는 경우도 간혹 가다 보인다.[* 이런 경우는 [[동양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의 [[프리미엄 버스]]를 탑승할 때 자주 볼 수 있다. 프리미엄은 선산휴게소를 경유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고, 동대구에서 선산은 비교적 가까운 편이라 다소 어중간한 편이다. 그러나 [[금호고속]]과 [[한일고속]], [[삼화고속]]은 거의 [[선산휴게소]]를 들렀다 간다.] === 운임표 === ||<-2> 대상 || 성인 || 아동 || ||<|3> 주간 || 일반 || 20,300원 || 10,200원 || || 우등 || 30,000원 || 15,000원 || || 프리미엄 || 39,000원 || 19,500원 || ||<|3> 심야 || 일반 || 22,300원 || 11,200원 || || 우등 || 33,000원 || 16,500원 || || 프리미엄 || 42,900원 || 21,500원 || ||<|3> 할증 || 일반 || 24,300원 || 12,200원 || || 우등 || 36,000원 || 18,000원 || || 프리미엄 || 46,800원 || 23,400원 || 금요일과 토요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는 프리미엄 고속버스의 15% 할인이 적용되어 주간 33,200원 심야 36,500원 이다. == 시간표 == 2018년 3월 기준 [[대구혁신고속버스정류소]] 경유편 노선 시간표이다.[[https://m.blog.naver.com/dgdonggu/221222410812|#]]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만평역]] * 일반 철도역: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고속버스 서울경부]][[분류:197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고속버스 동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