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목차] == 노선정보 == ||<-6><:> {{{#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 - 예산(직통)}}}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 ||<-2><:> 종점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산성리 ([[예산종합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12:10 ||<|2><:> 기점행 ||<:> 첫차 ||<:> 16:00 || ||<:> 막차 ||<:> 20:40 ||<:> 막차 ||<:> 16:00 || ||<-3><:> 배차간격 ||<-3><:> 1일 1.5회 || ||<-2><:> 운수사명 ||<:> [[충남고속]] ||<-2><:> 인가대수 ||<:> ?대 || ||<-2><:> [[https://www.youtube.com/watch?v=1r7ETVFa9NA|노선]] ||<-4><:>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동탄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서오산JC]] - [[평택파주고속도로]] - [[평택JC]] - [[평택제천고속도로]] - [[서평택JC]] - [[서해안고속도로]] - [[당진JC]] -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 - [[예산수덕사IC]] - [[21번 국도]] - [[예산종합터미널]] || ||<-6><:> {{{#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 - 예산(덕산 스파케슬)}}}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 ||<-2><:> 종점 ||<:>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산성리 ([[예산종합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7:10 ||<|2><:> 기점행 ||<:> 첫차 ||<:> 06:30 || ||<:> 막차 ||<:> 18:40 ||<:> 막차 ||<:> 20:30 || ||<-3><:> 배차간격 ||<-3><:> 1일 4.5회[* 일반고속은 2회] || ||<-2><:> 운수사명 ||<:> [[충남고속]] ||<-2><:> 인가대수 ||<:> ?대 || ||<-2><:> 노선 ||<-4><:>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동탄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서오산JC]] - [[평택파주고속도로]] - [[평택JC]] - [[평택제천고속도로]] - [[서평택JC]] - [[서해안고속도로]] - [[당진JC]] - [[서산영덕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 - [[고덕IC]] - 스플라스리솜 덕산(덕산 스파캐슬) - [[45번 국도]] - [[예산종합터미널]] || == 개요 == 서울 센트럴 시티에서 예산터미널을 잇는 전환고속 노선으로 충남고속이 운행한다. == 역사 == * 이 노선의 개통일지는 불명이나 1990년대 후반에 개통한 것으로 추정된다. 2004년 10월 22일 서울호남발 당진, 서산, 홍성, 보령행 노선과 동시에 전환고속으로 승격되었다. 2004년 고속버스 전환 당시에는 아직 당진대전고속도로가 없어서 덕산 스파캐슬을 경유하여 [[45번 국도]]를 타고[* 전환고속 운용 초창기에는 서산-예산간 45번 국도가 아직 왕복 2차선이었으나 2006~2007년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한서대학교 앞을 지나 [[해미IC]]에서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서평택JC에서 평택충주고속도로를 [[안성JC]]까지 경유한 뒤, 안성JC부터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서울고속터미널(호남선)까지 갔다.[* 시외버스 운용 시절에는 [[서울남부터미널]] 시종착이였다.][* 서울고속터미널호남선(현 센트럴시티터미널)로 이전 시점은 2004년 10월 고속버스 면허를 취득할 당시부터이다.] * 2009년 5월 28일에 당진상주고속도로 [[유성JC]]에서 당진JC까지 개통 이후 바로 기존 45번 국도 경유 서해안고속도로의 해미IC 진출입 경로가 폐지되고 40번 국도(구 622번 지방도) 경유 고덕IC 당진대전고속도로 진출입 경로로 대체되었고, 동년 10월 29일자로 평택화성고속도로 및 봉담동탄고속도로(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일부)[* 서평택분기점-안성분기점-신갈분기점에서 서평택분기점-평택분기점-서오산분기점-동탄분기점-신갈분기점으로 변경]로 대체 경유하게 되었다.[* 2015년 12월 서해대교 통제 당시 [[오성IC]]로 들어가기도 했다. 당시에는 평택화성고속도로의 기점인 오성 나들목에서 직결되는 팽성오성간도로([[43번 국도]] 일부)가 미개통 상태였기 때문. 오성IC는 38번 국도를 통하여 간접연결되었다.] * 일부 시간대에 덕산을 경유하지 않는 계통이 신설되었다. == 특징 == || 운행계통 || 서울(호남) || 덕산스파{{{-5 (스플라스 리솜리조트)}}} || 예산 || || 고속 || ○ || ○ || ○ || * 예산에서 서울 센트럴시티터미널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자 2022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예산터미널에서 수도권 방면 노선이 전면 운행이 중단된 현재 [[안성종합터미널|안성]], [[인천종합터미널|인천]]행 노선과 함께 감회 및 운행중단을 하지 않은 세 노선중 하나이다. * 예산 직통노선은 우등차량, 덕산을 경유하는 차량은 1일 4회가 우등차량이랑 일반차량과 2:1 비율로 운행한다. * 주의. 이 노선은 중고생 할인이 불가능하다. 중고생 대상자는 성인 요금으로 끊고 타거나 --서울남부로 갈 수 밖에 없다.-- * 참고로 이 노선은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굴곡 노선/버스|돌아가고]] 막차가 빨라 노선이 일찍 끊기기 때문에 막차 시간 이후에 움직여야하거나 이동거리나 시간을 줄이려면 예산터미널에서 [[천안종합터미널]]행 버스를 타서[* 예산-천안을 버스로 이동하는 경우 모두 국도로 운행하고 신호도 많이 걸려 소요시간과 운임 둘 다 효율이 뒤떨어진다.] 천안에서 [[시외버스 서울경부-천안|고속버스]]를 타거나 아니면 [[예산역]]에서 22시 3분에 출발하는 용산행 [[무궁화호]] 1568 열차를 타야한다. * 현재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예산발 막차 한정으로 20:30분발 서울호남행 버스 탔을때에는 덕산면에서 [[홍성종합터미널]]발 서울호남행 버스로 '''인계하니''' 주의 할것.[[https://blog.naver.com/6655jks1/222095177669|관련 게시물]] 이때는 홍성터미널발 서울호남행 고속버스 일부좌석을 막고 운행한뒤 덕산면에서 예산발 서울호남행 승객들이 승차해서 막고있던 좌석에 승차하는식으로 운행한다. * 항후 2024년에 개통 예정인 [[익산평택고속도로]]가 개통하면 [[예산IC]]에서 익산평택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안중IC]]까지만 이용하는 경로가 될 예정이다.(직통 한정) * 덕산스파 경유로 인해 다소 우회하는 실정이다. 실제 내포신도시 조성 이후 [[고속버스 서울호남-홍성|서울호남-홍성]] 노선의 운행 경로 상에 덕산이 있지만, 고속버스 요건 충족을 상실하고 양 노선 간 균형을 맞춰 승객 분산을 하기 위해 이렇게 운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속버스 노선은 기종점이 있는 시군에서만 중간 경유지를 둘 수 있고 1개까지만 둘 수 있다는 제약 요건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익산평택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는 예산종합터미널에서 덕산스파로 연장 운행하는 형태로 바뀔 수도 있다. === 운임표 === || || 일반 || 우등 || || 성인|| 9,100 || 13,300 || || 아동|| 4,600 || 6,700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일반 철도역 : [[예산역]](새마을호,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 [[분류:고속버스 서울호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