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iseb-unn.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익산}}}|| ||<:>기점||<-2><:>[[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센트럴시티터미널]])||<:>종점||<-2><:>[[전라북도]] [[익산시]] 평화동([[익산공용버스터미널]])|| ||<|2><:>익산행[br](하행)||<:>첫차||<:>07:10||<|2><:>서울호남행[br](상행)||<:>첫차||<-2><:>06:00|| ||<:>막차||<:>22:10||<:>막차||<:>19:10|| ||<-3><:>배차간격||<-3><:>일 8회[* 금~일 11회]|| ||<-3><:>운수사명||<-3><:>[[금호고속]] || ||<-2><:>상세 노선||<-4><:>[[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경부고속도로]] ↔ [[천안JC]] ↔ [[정안알밤휴게소]] ↔ [[논산천안고속도로]] ↔ [[논산JC]] ↔ [[호남고속도로]] ↔ [[익산IC]] ↔ [[무왕로]] ↔ 팔봉정류소 ↔ [[익산공용버스터미널]] || == 개요 == [[서울특별시]]와 [[전라북도]] [[익산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금호고속]]에서 단독 운행하고 있다. == 특징 == * 본래 [[금호고속]]과 [[중앙고속]][* 한차례 폐지했다 다시 신설한거다.]이 공동 배차했으나, 2013년에 [[고속버스 서울호남-정읍|서울 ↔ 정읍]][* 현재 일부는 정읍 경유 담양행 전환시외 노선으로 바뀌었다.] 노선의 배차를 맞교환하여 [[중앙고속]]이 정읍 노선을 단독 배차하고, 익산 노선을 [[금호고속]]이 단독 배차한다. * 전 배차 팔봉동을 경유한다.[* [[웰메이드]] 익산팔봉점에 고속버스 하차장 표지판이 있다.] 다만 원칙적으로 그렇다는 거고, (주로 늦은 밤 시간대 노선에서) 승객이 적은 경우 기사가 먼저 팔봉동 하차 승객이 있는지를 물어보기도 한다. 없을 경우, [[연무IC]]를 경유하여 운행 시간을 단축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즉, [[익산IC]]를 꼭 경유해야 하는 [[어른의 사정]] 같은 건 팔봉동 정차 문제를 제외하면 없다. 애초에 익산IC와 익산TG도 공식 주소가 완주군 봉동읍이라 엄밀히는 익산시계 밖이다.] * [[전라북도]] 지방자치단체 중 시에 있는 [[센트럴시티]] 착발 고속버스 노선 중에서 단 셋뿐인 [[프리미엄 버스]]가 운행하지 않는 노선이다.[* 다른지역은 [[고속버스 서울호남-남원|남원]], [[고속버스 서울호남-정읍|정읍]]이다.] 사실 2019년 3월 8일부터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을 1일 4회 운행해 왔으나, [[익산시|익산]]이 [[전라북도|전라북도]] 제1의 철도교통 허브인지라 [[KTX|고속]][[SRT|철도]]와의 경쟁에서 밀려 2회로 감회됐고, 그럼에도 이용률 부진이 지속되어 결국 2021년 4월에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철수했다. * 한때 익산공단에도 정차했다. 하지만 2018년 9월부터 정차하지 않으며, 일부 차량에는 [[E-Pass]] 단말기의 QR코드 인식기에 '''공단 무정차'''가 부착된 차량도 있다. * 20:30 이후 차량부터는 대부분 휴게소를 정차하지 않는다. 기사에 따라선 출발 전 미리 화장실을 다녀오라고 한다. 그래도 급한 용무 때문에 휴게소에 정차해 달라고 요청하면 가까운 휴게소로 들어가긴 한다. * 평시에는 2시간 40~50분, 주말에 논산천안선 정체라도 발생하면 3시간대 초반 소요. [[고속버스 서울호남-전주|서울 ↔ 전주]] 노선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조금 더 걸린다. 익산이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호남권 도시면서 [[전주시]]보다 더 서울 방향 쪽인 걸 감안하면 의아할 수 있는데, [[완주군|완주]] - [[익산시|익산]] 경계에 있는 [[익산IC|익산 나들목]]에서 [[익산고속버스터미널]]까지 약 30분이 걸리기 때문.[* 행정구역 상 [[익산시]] 진입부터 익산터미널 도착까지로 계산하면 익산시계 안에서 도로 정체라도 있으면 1시간 넘게 걸리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이 정도 시간이면 [[KTX]], [[SRT]]로 서울([[용산역]], [[수서역]], [[서울역]])에서 [[익산역]]까지 도착할 수 있다!'''] 이 정도면 현재 익산에서 서울로 가는 최단경로인 연무 IC까지 가는것과도 시간차이가 10분 이하일 정도다. 팔봉동에서 중간 승하차하는 시스템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는 철도와의 경쟁에서 고속버스의 핸디캡으로 작용하고 있다. 만약 팔봉동 정차를 폐지할 경우 상기하였듯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연무 나들목]]을 진출해서 익산 시내로 가는 직통도로가 2021년 12월에 개통이 되어 소요시간을 평균 10~15분정도 감소시키며 철도와의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수 있으나 아직 소식이 없다. * 고속터미널 운영사인 [[금호고속]]의 경영 사정이 악화돼 2022년 12월 31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익산고속버스터미널]]이 폐쇄됐다. 이에 따라 2023년 1월 1일부터 옆 터미널인 [[익산공용버스터미널]]으로 익산 기착 터미널을 이전하였다. * 사실상 전회 우등버스를 투입하는데, 이는 대부분의 편수가 우등고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 1회 일반고속 시간대에 [[서비스 우등]]이 운행 중이기 때문이다.[* 서울호남발 익산행은 16:00, 익산발 서울호남행은 11:30에 있다.] * 서울로 올라갈 때 막차가 끊긴 경우 [[익산역]]으로 가서 KTX를 타면 된다. 또는 서울남부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도 소요시간은 더 길지만 대안이 될 수 있다.[* 해당 노선의 경우 일반고속과 같은 요금으로 [[서비스 우등]]의 비중이 꽤 높다는 메리트도 있다. 하지만 [[서비스 우등]]이 보장되는 노선은 아니다.] 서울행 막차 시간이 이른 편이므로 막차 시간에 유의하자. == 운임표 == || || 일반 || 우등 || 심야우등 || || 성인 || 14,700원 || 21,500원 || 23,600원 || || 아동 || 7,400원 || 10,800원 || 11,800원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일반철도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익산역]] (KTX, SRT, 새마을호, ITX-새마을, 무궁화호, S-train, G-Train)[* 터미널과 역간의 거리가 1.1km이며, 도보로 15~20분 소요.] [[분류:고속버스 서울호남]][[분류:1971년 개업한 버스 노선]]